2025.05.04 일요일
맑음 서울 20˚C
맑음 부산 21˚C
구름 대구 22˚C
맑음 인천 17˚C
맑음 광주 19˚C
맑음 대전 19˚C
구름 울산 21˚C
흐림 강릉 20˚C
맑음 제주 17˚C
IT

​OECD 1월 물가 전체 상승률 31년 만에 최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2022-03-07 08:03:59

epa09744461 Secretary General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Mathias Cormann (not pictured) and Colombian President Ivan Duque hold a joint press conference at the OECD headquarters in Paris, France, 10 February 2022. Duque made his first visit to the OECD following Colombia's accession to the OECD in 2020, for meetings relating to the economic survey of Colombia. EPA/IAN LANGSDON/2022-02-11 01:46:47/ <저작권자 ⓒ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이 근 31년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은 현재 3% 후반의 높은 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상승률 수준은 다른 나라의 절반에 머물고 있다.

7일 OECD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2%를 기록했다.

한 달 전인 12월의 6.6%보다 0.6%포인트 오른 수치로, 1991년 2월 이후 근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산출 국가를 주요 20개국(G20)으로 좁힐 경우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5%로 내려간다. 주요 7개국(G7)의 물가 상승률은 5.8%를 기록했다.

물가로 가장 고전하는 OECD 회원국은 터키다.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무려 48.7%에 달했다.

터키는 올해 1월에 최저임금을 50% 인상한 데다 가스·전기·도로 통행료·버스 요금 등을 줄줄이 인상한 것이 물가 상승 압력을 더했다.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7.5%에 달했다.

자동차와 에너지, 식료품 가격이 전방위로 상승하면서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런 물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속도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영국과 독일의 1월 소비자물가 역시 각각 4.9%를 기록했다.

전 세계의 소비자물가가 이처럼 몸살을 앓는 가장 큰 원인은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을 꼽을 수 있다.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에너지 가격은 작년 동월 대비 26.2% 상승률을 기록했다.

1월 기준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를 기록했다. OECD 평균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38개 회원국 중 29위였다. 고물가 현상을 전 세계가 겪고 있는데 한국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고 있다는 의미다.

3월부터는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전 세계가 겪는 고물가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치솟은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곡물 가격이 시차를 두고 생활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SK하이닉스
종근당
DB그룹
jw
미래에셋
국민카드
KB증권
우리은행_2
대원제약
DB손해보험
신한금융지주
신한은행
한화
NH
NH투자증
국민은행
하나금융그룹
관세청
LX
우리은행_1
메리츠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