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연산까지 가능" SK하이닉스,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PIM 개발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5.01 목요일
안개 서울 13˚C
부산 14˚C
대구 15˚C
안개 인천 10˚C
흐림 광주 13˚C
흐림 대전 15˚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15˚C
안개 제주 16˚C
산업

"연산까지 가능" SK하이닉스,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PIM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문은주 기자
2022-02-16 12:36:28

메모리 반도체와 연산 기능 한 곳에...데이터 처리 속도 극대화

저전압 작동·에너지 효율 증대로 탄소 배출↓...ESG 성과 기대

SK하이닉스가 저장은 물론 연산 기능까지 갖춘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PIM(Processing-In-Memory)은 메모리 반도체에 연산 기능을 더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처리 분야에서 데이터 이동 정체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그동안에는 사람 뇌와 같은 연산 기능은 비메모리 반도체인 CPU나 GPU가 담당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가 데이터 저장 역할만 맡는다는 관념을 깨고 연산까지 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메모리를 꾸준히 연구해왔다. PIM은 그 첫 번째 결과물이다. 

SK하이닉스는 PIM을 적용한 첫 제품으로 GDDR6-AiM(Accelerator in Memory) 샘플을 개발했다. 초당 16기가비트(Gbps)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GDDR6 메모리에 연산 기능을 더한 제품이다. 일반 D램 대신 이 제품을 CPU/GPU와 함께 탑재하면 특정 연산의 속도가 최대 16배까지 빨라진다.

또 기존 제품 대비 에너지 소모가 80%가량 줄어드는 게 특징이다. GDDR6의 기존 동작 전압인 1.35V보다 낮은 1.25V에서 구동되는 데다 자체 연산을 하는 PIM이 CPU/GPU로의 데이터 이동을 줄여 CPU/GPU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앞으로 GDDR6-AiM이 머신러닝, 고성능 컴퓨팅, 빅 데이터의 연산과 저장 등에 활용될 전망이라며 이 제품이 들어가는 기기의 탄소 배출을 저감함으로써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측면에서도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내다봤다.

PIM 개발 성과는 이달 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반도체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인 ‘2022 ISSCC'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최근 SK텔레콤에서 분사한 AI 반도체 기업인 사피온과 협력해 GDDR6-AiM과 AI 반도체를 결합한 기술도 선보일 계획이다. 

안현 SK하이닉스 부사장(솔루션 개발 담당)은 “SK하이닉스는 자체 연산 기능을 갖춘 PIM 기반의 GDDR6-AiM을 활용해 새로운 메모리 솔루션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회사는 사업 모델과 기술 개발 방향성을 지속적으로 진화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 PIM을 적용한 첫 제품 GDDR6-AiM [사진=SK하이닉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