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2일 산업통상자원부 '2021년 주요 유통업계 매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빅 3 전체 업계 매출 비중은 15.9%선이다.
이마트와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개사 매출 비중 15.7%를 근소하게 앞섰다.
해당 정부 통계는 백화점 3사(롯데·신세계·현대)와 대형마트 3사(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기업형 슈퍼마켓4사(이마트 에브리데이·롯데슈퍼·GS더프레시·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쿠팡 등 12개 온라인 유통기업이 대상이다.
오프라인 유통으로 범위를 좁히면 편의점 3사 매출 비중은 30.7%다. 이는 32.9% 백화점에 이어 두번째로 많고 대형마트 30.4%는 앞지른다. 이에 따른 매출 순서는 백화점-편의점-대형마트다.
정부 통계에서 오프라인 유통업태 매출 순위는 2019년까지 '대형마트-백화점-편의점' 순서였다. 이러던 것이 2020년부터 지속된 코로나 사태로 백화점 매출이 줄고 편의점 매출이 늘면서 '대형마트-편의점-백화점' 순서가 됐다.
매출 순위 변동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지난해 명품 위주 백화점 매출이 전년 대비 24.1% 급증하면서 백화점이 매출 비중 1위로 올라섰다. 동시에 편의점 매출이 전년 대비 6.8% 확대되면서 현재의 백화점-편의점-대형마트 매출 순위가 된 것이다.
이 같은 대형마트 매출 비중 축소는 여러 요인이 겹친 데 따른 것이다. 점포수는 업계 비효율 점포 정리 등 구조조정과 맞물려 2020년 396개에서 지난해 384개로 감소했다. 여기에 다중이용시설 기피로 대다수 상품군에서 매출이 감소했다. 반면 편의점은 근거리·소량 구매 경향으로 가공·즉석식품 포함 식품군 매출이 늘었다.
업계는 이런 오프라인 유통업계 매출 비중 순위 변동에서 코로나 사태가 가장 큰 계기가 됐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