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요일
안개 서울 17˚C
맑음 부산 20˚C
맑음 대구 18˚C
맑음 인천 17˚C
흐림 광주 20˚C
흐림 대전 18˚C
구름 울산 19˚C
맑음 강릉 17˚C
맑음 제주 21˚C
금융

지방은행도 예ㆍ적금 금리인상...부산은행 최대 0.5%포인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아현 기자
2021-12-01 11:43:59

기준금리 인상 대응해 은행들 잇따라 금리 상향

BNK부산은행 전경 [사진=부산은행]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에 대응해 지방은행들이 잇달아 예∙적금 금리를 올리고 나섰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에 이어 지방은행도 예∙적금 금리를 인상한다. BNK부산은행은 예∙적금 상품별로 최대 0.50%포인트 인상하고, BNK경남은행은 이날부터 최대 0.30%포인트 상향 조정한다. 

부산은행은 지난달 30일 적금상품 금리의 경우 0.30~0.50%포인트, 예금상품 금리는 0.25~0.40%포인트 인상했다. 출산장려 상품 ‘아이사랑 자유적금(2년제)’은 0.50%포인트, 청년대상 상품 ‘BNK내맘대로 적금’은 0.30%포인트 올렸다. 

경남은행은 이날부터 거치식, 적립식 상품 금리를 0.30%포인트, ‘장병내일정기적금’, ‘재형저축’ 등 상품 금리는 0.20%포인트 올린다. DGB대구은행도 ‘목돈굴리기예금’, ‘목돈만들기예금’ 등 상품 금리를 최대 0.40%포인트 인상했다. 

다른 지방은행도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금리 인상의 구체적인 사항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도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시중은행이 예∙적금 상품 금리를 최대 0.40%포인트까지 인상하자 자산시장에 몰렸던 돈이 은행으로 이동하는 현상도 이어졌다.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 정기예금에 약 1조6000억원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은행들이 앞다퉈 금리 인상에 나서는 이유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일각에서 예∙적금 금리가 대출금리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은행들이 대출 금리는 크게 올리는 반면 예∙적금 금리는 조금 올려 예대마진 폭리를 취한다는 지적이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가 현재 굉장히 벌어져 있다”며 “필요시 2금융권의 예대금리차에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고려해보겠다”고 언급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카카오
교촌
한국투자증권
롯데캐슬
신한투자증권
스마일게이트
SC제일은행
한화
우리은행
신한금융지주
씨티
NH투자증
NH
kb금융그룹
경주시
삼성전자
DB손해보험
KB국민은행
삼성화재
포스코
db
삼성증권
신한은행
하나금융그룹
한화투자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