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MSCI 한국지수에 두산·효성중공업·LIG넥스원 신규 편입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주가지수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에 두산, 효성중공업, LIG넥스원이 새롭게 포함됐다. 반면 CJ제일제당, LG이노텍, SKC는 제외되면서 투자 수급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7일(현지시간) MSCI는 8월 정기변경(리뷰) 결과를 발표하고 한국 지수 구성 종목에 대한 조정을 단행했다. 이번 정기변경으로 신규 편입 3종목과 편출 3종목이 맞바뀌며 전체 종목 수는 기존 81개로 유지됐다. 실제 리밸런싱은 한국 시간으로 오는 27일 종가 기준으로 이뤄지며, 효력은 28일부터 발생한다. MSCI 지수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핵심 벤치마크 지수로 활용되며, 정기변경은 시가총액, 유동시가총액, 유동비율 등을 기준으로 연 4회(2·5·8·11월) 실시된다. 국내 증권사들은 이번 리밸런싱에 따른 수급 영향도 추산했다. 한국투자증권은 효성중공업에 3024억원, LIG넥스원에 3367억원, 두산에 1903억원 규모의 매수 수요가 유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편출 종목인 CJ제일제당, LG이노텍, SKC에는 각각 878억원, 946억원, 795억원의 매도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진투자증권은 더 높은 수치를 제시했다. LIG넥스원 4050억원, 효성중공업 3200억원, 두산 2090억원의 매수 수요가 예상되는 반면, LG이노텍 1140억원, CJ제일제당 1060억원, SKC 960억원의 매도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MSCI 신흥시장(EM) 지수 내 한국의 비중도 이번 변경으로 0.035%p 상승한 10.8%로 나타났다. EM 지수 내 비중은 중국 29.7%, 대만 19.1%, 인도 16.6% 순이다. 이번 편출‧입 외에도 한화오션과 신한지주는 유동비율이 상향 조정됐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HMM은 하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해당 종목들의 비중도 일부 변동될 수 있다. 시장에서는 벌써부터 11월 예정된 다음 MSCI 정기변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MSCI 지수 편입은 수급에 큰 영향을 미치며 통상 발표 이전부터 시장에 선반영되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차기 편입 후보로 HD현대마린솔루션, 에이피알, HD현대미포 등이 거론된다"며 "특히 최근 실적이 급증한 에이피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2025-08-08 13:28:39
-
AMWS 2025, 제조업의 미래를 말하다… "데이터와 로봇이 공장을 바꾼다"
[이코노믹데일리] 출근하는 직장인들 사이로 덜컹이는 버스를 탔다. 흔들리는 손잡이를 잡고 노선을 들여다본다. 오늘의 행선지는 코엑스. 분주하게 움직이는 발걸음 사이로 기대감을 안고 행사장을 향한다. 아침이지만 이미 뜨거워진 햇빛을 피해 들어온 내부가 오늘따라 더 시원하게 느껴진다. 5일 오전 일찍 도착한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는 자율제조 월드쇼 AMWS 2025가 열리고 있었다. △인공지능 △지능형 센서 △디지털 트윈 △스마트 머신비전 △지능형 로봇 △스마트팩토리 제조 솔루션 등 미래 자율제조 공장 구축을 위한 기술을 공유하는 이번 행사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자율제조플랫폼협회 등이 주관하고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후원해 진행됐다. 현장에는 삼성SDS, LS산전, LG CNS, SKC&C, 오라클,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 등을 비롯한 주요 기업들이 부스를 마련하고 있었으며 그 외에도 제조현장에 스마트 자동화 생산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이 포진해있었다. 현장 관계자에 따르면 자율생산 시스템을 구축하면 여러 기술과 솔루션을 융합해 디지털 엔지니어링으로 구현함으로써 고객들의 니즈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고도화된 모델링과 테스트를 통해 조기에 불량가능성 등 시행착오를 식별하고 고객과 제품에 특화된 커스터마이징을 실현할 수 있는 유연한 생산제조 라인 구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제조를 위한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리트머스(Litmus)는 설비 및 공정을 가시화해 데이터로 모니터링하고 예지 보전 및 설비 종합 효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산업용 자산을 연결하고 즉각적인 분석을 통해 핵심성과지표(KPI) 달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실제 이러한 기술 적용을 통해 한 식품 제조업체는 85%의 클라우드 지출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도 70%의 수동 설비종합효율(OEE) 시간 절약을 이뤄냈다고 현장 관계자는 설명했다. 행사장 한쪽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성과발표 컨퍼런스도 마련됐다. 전시기술은 △상상한대로 펼쳐지는 무한 공간현실 세상 △인공지능 융합으로 열어가는 지속가능한 세상 △초성능컴퓨팅이 만들어가는 빠르고 안전한 인공지능 세상 △모두가 연결되는 경계없는 입체통신 세상 섹션으로 이뤄졌다. 로봇 기술, 입체공간 체험 기술 등 ETRI에서 개발한 다양한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어 관객들의 반응도 높았다. 행사에 참여한 한 자율주행 업계 관계자는 "기기와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는 수준높은 기술들을 현장에서 많이 만나볼 수 있었다"며 "여러 기술을 직접 경험하고 관계자들과 네트워킹할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06-05 11:02:3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