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5건
-
LG화학, 유니세프와 2억불 규모 '영유아 필수백신' 공급계약 체결
[이코노믹데일리] LG화학이 전세계 아동 공중보건 문제 해결을 위해 소아마비백신 등 영유아 필수백신을 대량 공급한다. LG화학은 14일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Eupolio)', 5가(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간염, 뇌수막염) 혼합백신 ‘유펜타(Eupenta)’로 유니세프(UNICEF) 입찰에 참여해 총 2억 달러 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를 2년간(2024~2025) 1억 달러, 5가 혼합백신 유펜타를 5년간(2023~2027) 1억 달러 규모로 공급하는 계약이다. 이를 바탕으로 LG화학은 전세계 약 8000만명 영유아의 감염병 예방 백신 물량을 공급하게 된다. 특히 LG화학은 이번 소아마비백신 입찰에서 전체 조달 물량의 30% 이상을 확보하고 수주량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메이저 공급사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 백신사업을 총괄하는 박희술 Specialty-Care사업부장 전무는 "LG화학의 백신 개발 및 공급 역량에 대한 유엔기구의 탄탄한 신뢰를 바탕으로 유니세프 입찰에서 대량 수주에 성공했다"며 "유폴리오 기반 6가 혼합백신 및 개량형 혼합백신 개발을 가속화해 전세계 영유아 감염병 예방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은 1996년 B형간염백신 유박스(Euvax)를 시작으로 2016년 유펜타, 2020년 유폴리오의 세계보건기구(WHO) PQ 승인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약 30년간 전 세계에 영유아 필수백신을 공급하고 있으며 지난해 백신사업에서 전년보다 20%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편 LG화학은 유폴리오와 유펜타를 합친 6가 혼합백신, 개량형 정제 백일해(acellular Pertussis, aP)를 적용한 6가 혼합백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23-03-14 09:50:28
-
-
LG, 탄소중립 전환 '박차'..."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전환"
[이코노믹데일리] LG그룹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확대를 위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해외 사업장은 2030년, 국내 사업장은 2050년까지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관련 기술 개발에 3조4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게 골자다. LG는 'LG 넷제로 특별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개별 기업이 아닌 그룹 차원 탄소중립(탄소배출 0) 추진 계획 보고가 나온 것은 LG가 처음이다. 이번 보고서 제목에는 '글로벌 탄소중립의 초석을 다지고 실제적인 탄소중립 이행에 첫 걸음을 내딛는다'는 의미가 담겼다. 보고서에는 그룹 내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등 7개사가 실질적이고 단계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 제시됐다. 해당 기업들은 그룹 내 탄소배출량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LG는 2050년까지 주요 계열사의 국내·외 사업장 필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로 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진 전력 사용 비율을 단계적으로 높여 2025년까지는 54%, 2030년에는 83%, 2040년 94%에 이어 100%까지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2050년까지 주요 계열사의 필요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 △온실가스 배출량 직접 감축 △탄소 직접 흡수·제거할 수 있는 산림 조성 등 중장기적 상쇄사업 발굴 △기후 거버넌스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체계 구축 및 모니터링 강화 등의 탄소중립 4대 전략이 제시됐다. 또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받는 '블루수소' 등 신규 기술 개발에 2030년까지 총 3조4000억원을 투자한다. 구광모 LG회장은 지난해 CEO(최고경영자) 메시지에서 "LG는 전 세계가 당면한 기후위기 문제에 책임의식을 갖고 탄소중립과 신재생에너지 전환, 제품 폐기물 순환체계 구축 등을 위한 클린테크 육성·투자 등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제시된 목표는 그룹 내 ESG협의체와 기후변화협의체 등 목표 이행을 지속 점검하는 식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LG는 누구나 그룹 내 ESG 추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번 보고서를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기존과 같이 매년 보고서를 발간하기로 했다. LG 관계자는 "LG 계열사들의 탄소중립 현황과 목표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그룹 차원의 탄소중립 로드맵을 제시하는 데 주력했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실질적인 탄소중립 성과를 만들어가며 기후변화 위기 선제 대응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3-02-05 14:25:25
-
-
-
-
韓기업, 美 동남부 '신흥 제조업 벨트'에 꽂힌 이유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테네시주(州)와 조지아주를 비롯한 미국 동남부가 '신흥 제조업 벨트'로 부상하고 있다. SK·현대자동차·LG 등 국내 기업은 이들 지역에 대거 투자하며 한몫 단단히 챙기려는 모습이다. 여기에는 현지 정부의 과감한 지원과 세제 혜택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17일 각 회사에 따르면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 SK온, 현대차, 한화솔루션은 조지아주에서 앨라배마, 테네시로 이어지는 지역에 투자를 가속화한다. 지도에서 이들 지역을 하나로 묶으면 거대한 제조업 권역이 만들어진다. 테네시주에는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이차전지(배터리)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신규 공장 건설이 활발하다. LG화학은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30억 달러(약 4조800억원)를 투자해 12만톤(t) 생산 능력을 갖춘 양극재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LG화학 테네시 공장은 미국 내 최대 규모 양극재 생산 시설이 될 예정이다. 배터리 사업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 합작한 얼티엄셀즈 공장을 테네시 스프링힐에 세운다. 배터리 생산 능력은 50기가와트시(GWh)로 올해 1분기에 착공해 2025년 말부터 양산에 돌입한다. SK온도 테네시 스탠튼에 둥지를 튼다. SK온·포드 합작법인 블루오벌SK는 오는 2025년 가동을 목표로 연간 생산 능력 43기가와트시(GWh) 규모 배터리 공장을 연내 착공한다. 여기서 생산된 배터리는 포드 전기 트럭 등에 탑재된다. 조지아주에는 SK온, 현대차, 한화솔루션이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온은 지난해 1분기(1~3월) 조지아 글렌데일에 배터리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연간 9.8GWh 용량을 생산할 수 있는 조지아 1공장에서는 양극재 원료인 니켈·코발트·망가니즈 가운데 니켈 비율을 90%까지 높인 NCM9 배터리가 만들어진다. SK온은 올해 조지아 2공장을 가동할 계획이다. 현대차도 미국 내 전기차 신규 거점으로 조지아주를 낙점했다. 조지아 브라이언카운티에서 2025년 연간 30만대 전기차 양산을 목표로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조지아와 인접한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현대차 공장에서는 GV70 전기차(EV) 모델이 생산된다. 한화솔루션은 최근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3조2000억원을 투자해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 '솔라 허브'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태양광 발전설비 생산 시설 중 최대 규모다. 솔라 허브에서는 태양광 패널 핵심 부품인 잉곳, 웨이퍼, 셀, 모듈이 일관 생산된다. 국내 기업이 미국에 잇따라 생산 시설을 짓는 배경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때문이다. 단순히 IRA에 따른 보조금 혜택을 노리거나 현지 공급망에서 배제되지 않기 위해 공격적 투자를 감행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미국서도 대표적인 저개발 지역으로 꼽히는 동남부는 한국 기업의 투자를 반긴다. 수만명에 이르는 신규 고용이 창출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블루오벌SK는 3개 공장에서 인력 1만1000명을 고용하고 현대차는 조지아주 공장 운영에 필요한 8000여 명을 새롭게 충원할 것으로 관측된다. 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도 투자 유인으로 작용한다. 조지아주는 현대차 전기차 공장에 토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재산세를 감면하는 등 2조원이 넘는 인센티브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테네시주 역시 블루오벌SK에 보조금 9억 달러(1조688억원)를 지원한다. 또한 LG화학 양극재 공장에 대한 4000만 달러(535억원) 규모 인센티브 제공 계획을 지난해 11월 승인했다.
2023-01-17 11:02:12
-
-
LG그룹, 설 연휴 협력사 상생지원...납품대금 1조2000억원 선지급
[이코노믹데일리] LG그룹이 올헤 설 연휴를 앞두고 1조2000억원 규모의 협력사 납품대금을 선지급한다. LG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 CNS 등 8개 계열사들의 협력사 납품대금을 예정일보다 최대 11일 앞당겨 지급한다고 12일 밝혔다. 협력사들이 원자재 대금·상여금 등에 느낄 수 있는 자금 부담을 낮추자는 취지다. LG는 조기 지급 외에도 1조2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한다. 자금이 필요할 때 저금리로 대출을 받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상생협력펀드·직접대출 등이다. 또 2015년부터 운영해온 '상생결제 시스템' 혜택이 3차 협력사까지 이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다. 상생결제는 대기업이 1차 협력사에 지급한 물품 대금이 2차 이하 협력사에까지 조기 지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울러 LG 각 계열사들은 설 명절 지역 소외이웃들에게 생활용품과 식료품 등 생필품 전달도 실시할 예정이다. LG전자도 오는 17일 대한사회복지회 암사재활원 장애아동에 설 음식과 학용품 등을 전달한다. LG화학은 사업장을 두고 있는 여수, 대산, 나주 지역 주민과 노인복지시설에 명절 선물을, LG디스플레이는 구미 사업장 인근 독거 어르신에게 식료품을, LG생활건강은 강원, 충청 지역 농어촌에 생활용품과 화장품을 기부한다. LG헬로비전도 강원도 원주시 지역아동센터 어린이에게 떡, 한과 등으로 구성된 '마음나눔 꾸러미'를 전달하고 아동센터 어린이를 원주 오픈스튜디오로 초청해 설 연휴 어린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LG 관계자는 "설 명절을 맞아 자금 수요가 늘어나는 협력사를 돕기 위해 납품대금을 앞당겨 지급하기로 했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금리에 따른 금융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한 상생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3-01-12 13:23:34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