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8 월요일
비
서울 28˚C
맑음
부산 27˚C
흐림
대구 31˚C
비
인천 28˚C
흐림
광주 27˚C
흐림
대전 27˚C
흐림
울산 27˚C
흐림
강릉 28˚C
구름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IPTV 가입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KT, 2분기 영업이익 1조 돌파…부동산 이익·AI 사업 성과 '쌍끌이' (종합)
[이코노믹데일리] KT가 유무선 통신 본업의 굳건한 경쟁력과 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신사업의 고속 성장에 힘입어 분기 영업이익 1조원 시대를 열었다. 여기에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일회성 부동산 분양 이익이 더해지며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KT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AI 사업을 본격화하고 향후 5년간 1조원 이상을 정보보호 분야에 투자하며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KT는 11일 2025년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연결 기준 매출 7조4274억원, 영업이익 1조14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5%, 영업이익은 105.4% 급증한 수치다.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별도 기준 실적 역시 견고했다. 별도 기준 매출은 4조7728억원, 영업이익은 4687억원으로 각각 4.9%, 30.6%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입증했다. 이번 호실적의 기반은 주력 사업인 통신(MIT: 모바일·인터넷·TV) 부문이 탄탄하게 다졌다. 무선 사업은 번호이동 시장에서 가입자 순증을 기록하며 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 성장했다. 2분기 말 기준 5G 가입자는 1087만명으로 전체 휴대폰 가입자의 79.5%에 달했으며 고객당 평균 매출(ARPU) 역시 3만5236원으로 2.1% 늘었다. 유선 사업에서는 초고속인터넷이 지난 5월 국내 통신사 최초로 가입자 1000만을 돌파하는 금자탑을 쌓으며 관련 매출이 2.1% 증가했다. 미디어 사업은 VOD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IPTV 가입자 순증과 프리미엄 요금제 판매 확대로 전체 매출이 0.8% 성장했다. 미래 성장동력인 기업서비스(B2B) 부문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저수익 사업을 합리화하는 과정 속에서도 통신과 AI·IT 사업의 동반 성장으로 전체 기업서비스 매출은 4.5% 증가했다. 특히 AI·IT 분야는 대형 고객사 수주와 클라우드 사업 호조에 힘입어 전년 대비 13.8%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KT는 하반기부터 AI 사업을 전면에 내세운다.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믿:음 2.0’을 필두로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개발하는 GPT 모델, 라마(LLaMA)와 같은 오픈소스 모델까지 활용하는 ‘AI 멀티모델’ 전략을 본격 가동한다. 지난 7월 출시한 ‘믿:음 2.0’은 한국어와 영어를 지원하는 115억 파라미터의 ‘베이스’ 모델과 23억 파라미터의 ‘미니’ 모델 2종으로 구성된다. 또한 글로벌 빅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의 국내 첫 프리미엄 파트너사로서 금융 등 주요 산업 분야 공략에도 나선다. 이미 지난 7월 IPTV 서비스 ‘지니 TV’에 MS 애저 오픈AI 기반의 ‘지니 TV AI 에이전트’를 적용해 음성만으로 TV 제어와 콘텐츠 검색 등을 지원하며 AI 기술을 서비스에 접목하기 시작했다. 그룹사의 고른 성장도 실적에 기여했다. KT클라우드는 글로벌 고객사 수요 증가와 공공 부문 리더십 강화를 통해 매출이 23.0% 급증했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 및 호텔 임대 사업 호조로 2.0% 성장했으며 케이뱅크는 고객 수 1400만명을 돌파하고 여수신 잔액이 각각 17조4000억원과 26조8000억원으로 늘어나는 등 성장을 지속했다. BC카드 역시 리스크 관리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이익을 유지했다. 한편 KT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폐지 이후에도 시장 과열 경쟁은 장기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KT 측은 컨퍼런스콜을 통해 "5G 보급률이 80%를 넘었고 단말 교체 주기가 길어졌으며 통신사들이 AI와 IT 신사업 투자에 전념해야 할 시기"라며 "아이폰 신모델 출시 시점에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으나 장기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AI 시대 주도권을 잡기 위한 대규모 투자 계획도 밝혔다. KT는 AI 시대에 걸맞은 정보보호 체계 구축을 위해 향후 5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AI 모니터링 체계 강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 구축, 보안 전담 인력 확충 등을 통해 대규모 고객 정보를 다루는 AICT 기업으로서의 신뢰도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장민 KT CFO는 “통신 본업의 견조한 성장과 그룹 핵심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더해져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며 “하반기에는 기밀 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와 한국적 AI 모델을 출시해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2025-08-11 16:40:20
KT, 2분기 영업이익 1조 돌파…부동산 이익 더해 전년비 105% '껑충'
[이코노믹데일리] KT가 통신 본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AICT(AI+ICT) 기업으로의 전환 가속화에 힘입어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일회성 부동산 이익이 더해지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조원을 돌파했다. KT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조4274억원, 영업이익 1조148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통신 및 AX(AI 전환) 등 핵심 사업 성장과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부동산 분양 이익이 반영되며 105.4% 급증했다.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별도 기준 실적 역시 견고했다. 별도 매출은 4조7728억원, 영업이익은 46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9%, 30.6% 늘었다. 실적 성장의 기반에는 흔들림 없는 통신 본업이 자리했다.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비중이 전체 핸드셋의 79.5%에 달하는 등 질적 성장을 지속하며 서비스 매출이 1.6% 증가했다. 유선 사업에서는 초고속인터넷이 지난 5월 국내 최초로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하는 이정표를 세우며 매출이 2.1% 늘었다. 미디어 사업 역시 IPTV 가입자 순증과 프리미엄 요금제 확대로 매출이 0.8% 성장했다. 특히 KT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오픈AI 기반의 ‘지니 TV AI 에이전트’를 선보이며 AI 기술을 활용한 고객 경험 혁신에 시동을 걸었다.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기업서비스(B2B) 분야의 약진도 돋보였다. 기업서비스 전체 매출은 4.5% 증가했으며 이 중 AI와 IT 분야는 대형 고객사 수주에 힘입어 13.8%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KT의 AICT 기업 전환이 구호에 그치지 않음을 증명했다. 그룹사의 고른 성장세도 실적에 기여했다. KT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에 힘입어 매출이 23.0% 급증했다. 케이뱅크는 6월 말 기준 고객 1400만명을 돌파하고 여수신 잔액이 크게 늘며 인터넷은행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다. KT에스테이트와 BC카드 역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며 그룹 전체의 성과를 뒷받침했다. KT는 하반기부터 AX 사업을 본격화하며 성장 고삐를 더욱 죈다. 지난 7월 독자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믿:음 2.0'을 출시했으며 글로벌 SOTA 모델과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하는 GPT 모델까지 순차 도입하는 'AI 멀티모델' 전략을 추진한다. 또한 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의 국내 첫 프리미엄 파트너사로 선정돼 금융 등 주요 산업 분야 공략에 나선다. AI 시대에 걸맞은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해 향후 5년간 1조 원 이상을 투자하는 계획도 확정했다. 주주가치 제고 노력도 강화한다. 2분기 분기배당금을 주당 600원으로 전년 대비 20% 인상했으며 투자자 보호를 위해 배당액을 먼저 확정한 뒤 배당받을 주주를 결정하는 '선배당 후투자' 제도를 도입했다. 장민 KT CFO 전무는 “통신 본업의 견조한 성장과 그룹 핵심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더해져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도 차질없이 이행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2025-08-11 09:46:3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2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3
정부, '건설사 중대재해' 매출 3% 과징금 추진…"안전투자 늘려도 사고 못 막아"
4
이재명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직보"…건설사 옥죄는 정부, 구조 개선은 뒷전
5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6
스페이스X 스타링크, 장비 인증 통과…'우주 인터넷' 드디어 한국 온다.
7
빌 게이츠, '유퀴즈' 출연 확정…유재석과 만난다
8
김건희 목걸이 건넨 서희건설 회장…딸·사위·광고까지 연결된 '구속 퍼즐'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