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7 수요일
흐림
서울 20˚C
흐림
부산 30˚C
비
대구 29˚C
흐림
인천 21˚C
비
광주 26˚C
흐림
대전 24˚C
비
울산 30˚C
비
강릉 19˚C
구름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IAA 모빌리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5
건
삼성디스플레이, 차량용 OLED로 모빌리티 시장 공략 가속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디스플레이가 차량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플랫폼'으로 규정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 겸 부사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5’ 컨퍼런스에서 "OLED는 자율주행 시대, 자동차와 사람을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부사장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으로 진화한 미래 자동차에서 디스플레이는 사람과 차량을 연결하는 핵심 접점"이라며 "OLED는 인공지능(AI)과 결합해 주변 사물 인식, 안전 주행 솔루션 제공 등 다양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차량용 OLED 전용 브랜드 'DRIVE™'를 선보이며 새로운 성장축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 디자인 차별화, 신뢰성, 지능형 안전 기술, 고품질 화질, 확장성 등 다양한 고객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슬라이더블·벤더블·롤러블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폼팩터 구현 가능성과 플렉스 매직 픽셀(FMP), 언더 패널 카메라(UPC) 등 기술을 통해 차량 인테리어 개선과 안전성 제고가 가능하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멀티 라미네이션' 솔루션도 공개했다. 여러 장의 디스플레이를 자유롭게 조합해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객사는 비용 효율성과 개발 기간 단축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부사장은 "고객은 삼성디스플레이라는 플랫폼에서 새로운 기술과 소재 등을 레고 조립해보듯 테스트해보고, 이를 통해 중장기 인포테인먼트 로드맵을 구상하면 된다"며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 개발 로드맵도 이와 동기화해 필요한 시점에 신속하게 OLED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2025-09-11 14:15:51
현대모비스, IAA 모빌리티 2025서 '글로벌 Top3' 비전 재확인
[이코노믹데일리] 현대모비스가 독일 뮌헨에서 개막한 국제 모빌리티 전시회 'IAA 모빌리티 2025'에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할 혁신기술 전략을 공개하며 '글로벌 Top 3' 부품기업 도약 의지를 재확인했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글로벌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티브뉴스가 집계한 100대 부품사 순위에서 6위를 기록했고 이번 행사에서 전동화·기능 통합·사용자 경험(UX) 혁신을 3대 지향점으로 제시하며 기술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현지시간 9일 뮌헨 메쎄 옐로우 스테이지에서 열린 포럼에서 악셀 마슈카 현대모비스 영업부문장 겸 부사장은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Top 3 도약'이란 비전은 명확하다"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실행력이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동화 전략을 앞세워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으로부터 대규모 수주에 성공한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핵심 기술에 연구개발 자원을 집중하면서 전기차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시스템 분야에서는 냉각 시스템과 소화약제 자동분사 장치 등 안전 중심 기술을 개발해 전기차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아울러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듀얼 냉각 기술을 통해 고열 문제를 사전에 제어하고 안전성을 강화했다. 소프트웨어 기반 자동차(SDV) 전환 흐름에 대응해 전자식 조향·제동, 후륜 조향 기술을 통합 제어기로 묶는 차세대 샤시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이는 차량 구조 단순화와 무선 업데이트를 통한 성능 개선을 가능하게 해 SDV 시대의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는 세계 최초로 홀로그래픽 광학 필름을 적용한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디스플레이(HWD)'를 선보였다. 운전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 앞 유리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보다 넓은 시야각과 몰입감을 제공하며 내비게이션·엔터테인먼트 콘텐츠까지 표시 가능한 차세대 칵핏 기술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지난 2021년 IAA에서는 '전기차(EV) 스케이트보드'를 공개한 이후 폭스바겐과 배터리시스템 협력을 성사시켰다. 이를 기반으로 스페인에 연간 36만대 생산 규모의 배터리 시스템 어셈블리(BSA) 공장을 건설 중이다. 현대모비스는 고부가가치 제품과 연구개발에 집중해 글로벌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2033년까지 핵심부품 글로벌 고객 비중을 40%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번 IAA 2025에서도 주요 고객사와 함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영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은 지난달 개최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신기술 경쟁력과 고도의 실행력, 속도 삼박자를 갖춰 모빌리티 기술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25-09-10 11:09:22
삼성D, IAA서 차량용 OLED 브랜드 공개…"모빌리티 공략"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디스플레이가 글로벌 패널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9~14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IAA 모빌리티 2025’에 참가해 미래 모빌리티 디스플레이 전략을 공개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차량용 OLED 전용 브랜드 ‘DRIVE’를 처음 선보이며 오토 사업 확대 의지를 분명히 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프리미엄 전기차를 중심으로 대형화·고급화된 패널을 채택하면서 OLED 기술력을 앞세운 삼성의 점유율 확대 전략에 속도가 붙는 모습이다. 9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글로벌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4년 115억 달러(약 16조원)에서 2028년 151억 달러(약 21조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유비리서치도 최근 보고서를 통해 기존 LCD 중심이던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2030년에는 OLED와 미니LED의 매출액이 급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미래 자율주행차 콘셉트의 새로운 '디지털콕핏' 시연을 선보인다. 운전자, 동승자의 손길이 닿는 곳마다 다양한 형태의 OLED 디스플레이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차량용 OLED가 단순한 디스플레이를 넘어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솔루션임을 강조했다. 특히 디지털콕핏 PID에 탑재된 OLED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특허 출원한 플렉스 매직 픽셀(FMP) 기술이 적용됐다. 이는 픽셀을 조정해 조수석 탑승자에게는 화면이 보이면서 운전석에서는 시야를 차단해 안전한 주행을 지원한다. 여기에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 소재, 부품 등을 플랫폼화한 '리지드 OLED 기반 OTS(Off-The-Shelf) 솔루션'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최소 7형부터 최대 17형까지 다양한 크기의 리지드 OLED 제품 7종을 규격화해 선보여 맞춤형으로 상품 기획과 개발 과정을 단축한다는 설명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유지하는 동시에 정보기술(IT)과 자동차 분야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삼고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박준영 부사장은 2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스마트폰 수요 약세에도 지속됐지만 IT와 오토 등 신사업 매출 확대 덕분에 실적이 개선됐다"며 "하반기에도 오토 제품 판매를 지속 추진하다"고 말했다. 8일 새롭게 론칭한 차량용 OLED 브랜드 'DRIVE'는 삼성디스플레이 차량용 OLED의 다섯 가지 핵심 기술인 △디자인 차별화(D) △견고한 신뢰성(R) △지능형 안전 기술(I) △고품격 화질(V) △확장형 디스플레이(E) 특성을 담은 브랜드다. 업계에서는 전기차·자율주행차 시대를 맞아 차량 내부 공간이 단순 주행 기능을 넘어 엔터테인먼트·인포테인먼트 허브로 변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화질·곡면 구현에 강점을 지닌 OLED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OLED는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와 같은 미래 모빌리티의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라며 "이번 IAA에서 글로벌 고객들과 만나 DRIVETM를 알리고 차량용 OLED 분야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지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9-09 18:08:14
폭스바겐, IAA 모빌리티 2025서 미래 모빌리티 비전 제시
[이코노믹데일리] 폭스바겐이 오는 9월 9일(현지시간)부터 5일간 뮌헨에서 열리는 '뮌헨 국제 모빌리티쇼(IAA) 2025'에서 순수 전기 컴팩트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콘셉트카를 최초 공개한다. 26일 폭스바겐에 따르면 뮌헨 시내 오데온 광장에서 개방형 체험 전시 공간인 '오픈 스페이스'를 운영한다.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공개되는 이곳에서 새로운 전기차 콘셉트카와 신형 티록(T-Roc), 한정판 GTI 에디션 등 4종의 신차를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 콘셉트카는 '브랜드 그룹 코어'의 도심형 전기차 패밀리를 완성할 양산형 모델의 청사진으로 디자인·품질·공간·효율성 모든 면에서 전기차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소형 SUV인 '신형 티록' 역시 오픈 스페이스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다. 여기에 독일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파이어 앤 아이스(FIRE+ICE)와 협업해 제작한 'ID.3 GTX 파이어 앤 아이스 스페셜 에디션'도 함께 선보인다. 뉘르부르크링 24시간 레이스에서 처음 공개된 50주년 기념 모델인 '골프 고성능 가솔린 차량(GTI) 에디션 50'도 뮌헨 무대에 등장한다. 최고출력 325마력(239kW)을 발휘하는 이 모델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양산형 GTI로 평가된다. 이 외에도 오픈 스페이스에서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무료 공연과 토크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마틴 센더 폭스바겐 승용 부문 마케팅·세일즈·AS 총괄은 "폭스바겐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줄 수 있는 무대가 바로 오픈 스페이스"라며 "혁신적인 모빌리티와 감성적인 제품, 그리고 고객과의 약속을 중심으로 폭스바겐의 미래 비전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라고 말했다.
2025-08-26 14:53:05
BMW, IAA 모빌리티 2025에서 '뉴 iX3' 세계 최초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BMW 그룹이 9월 9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공식 개막하는 '뮌헨 국제 모빌리티쇼(IAA) 2025'에서 첫 양산형 순수전기 모델 'BMW 뉴 iX3'를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12일 BMW 그룹에 따르면 뉴 iX3은 BMW만의 전기차 기술 모델인 노이어 클라쎄(Neue Klasse)를 기반으로 한 첫 양산형 모델로 올해 연말 본격적인 생산을 앞두고 있다. BMW 그룹은 뮌헨 시내 두 곳에서 뉴 iX3을 핵심 모델로 선보인다. 메세 뮌헨(Messe München)의 IAA 모빌리티 서밋에는 BMW 그룹 전시관을, 도심의 막스-요제프 광장(Max-Joseph-Platz)에는 무료로 개방되는 BMW 그룹 오픈 스페이스를 마련한다. 오픈 스페이스에서는 뉴 iX3에 탑재된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스템인 BMW 파노라믹 비전과 최신 운영 체제인 BMW 오퍼레이팅 시스템 X를 시연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IAA 2025에서 BMW 그룹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M5 투어링과 순수전기 모델 iX, i4, i5, i7 등을 함께 전시한다. 또한 전기 스쿠터 CE 02, CE 04와 미래 콘셉트 모델 비전 CE(Vision CE)를 통해 도심형 전기 모빌리티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IAA 모빌리티가 개최되는 뮌헨은 BMW 그룹 본사가 위치한 도시로, 행사 기간 동안 도심 전역에서 체험 콘텐츠와 전시, 전문가 강연 등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2025-08-12 10:15:5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삼성중공업, 산업재해 보고의무 2회 이상 위반…대기업 중 유일
2
엔비디아, AI 추론용 GPU에 GDDR7 탑재…삼성 반격 기회 열리나
3
'레전드 축제' 2025 아이콘매치 오늘 개막…벵거·베니테스 지략 대결 '관심 집중'
4
[단독]삼성전자, 헤드셋·스피커 출시 '초읽기'...오디오 명가 거듭난다
5
새 판 짜는 유통업계, 핵심은 '생존'
6
KT, '가짜 기지국'에 뚫려 신뢰 추락…김영섭 대표, '리더십·연임' 최대 위기
7
'아이콘매치 2025 ' 첫날, FC스피어 '이벤트 매치' 승리…내일 본경기 '설욕전' 예고
8
KT·LGU+, '해킹 침해 없다'더니…협력업체는 KISA에 '해킹 신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가짜 기지국'의 공포, 통신사를 넘어 국가 인증 시스템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