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03 일요일
맑음
서울 32˚C
흐림
부산 28˚C
맑음
대구 31˚C
맑음
인천 31˚C
흐림
광주 27˚C
흐림
대전 27˚C
비
울산 29˚C
흐림
강릉 30˚C
흐림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AI 교육 프로그램'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메가존클라우드, 베트남 하노이과기대와 협력…교육 인프라 클라우드로 전환
[이코노믹데일리] 메가존클라우드가 베트남 최고 공과대학인 하노이과학기술대학교(HUST)와 손잡고 현지 교육 인프라의 클라우드 전환과 AI 인재 양성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UNDP와의 협력에 이은 베트남 시장 공략의 두 번째 행보로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최근 HUST와 'AI 산학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염동훈 메가존클라우드 대표와 타 하이 퉁 HUST 정보통신기술학부 학장 등이 참석해 △교육 인프라의 클라우드 전환 △클라우드·AI 교육 프로그램 공동 개발 △제조업 및 자동차 산업 분야 공동연구 등을 약속했다. 협약에 따라 메가존클라우드는 HUST의 온라인강좌(MOOC)와 학습관리시스템(LMS)을 아마존웹서비스(AWS) 기반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한다. 단순한 시스템 이전을 넘어 HUST 기술팀을 대상으로 한 실무 교육과 전문 교육 프로그램 공동 개발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협력이다. 양측은 또한 제조업 분야의 AI 활용, 산업용 센서 데이터 분석, 오토모티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등 베트남의 핵심 산업과 연계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메가존클라우드는 HUST 학생들에게 인턴십과 취업 연계 기회를 제공해 실무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에도 직접 기여할 계획이다. 타 하이 퉁 HUST 학장은 “메가존클라우드와 함께 지능형 자동차 시스템, 임베디드 플랫폼, AI 기반 디지털 서비스 등 신흥 기술 분야에서 학생들이 실무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베트남 교육사업의 디지털 전환이 한층 더 가속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염동훈 메가존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은 베트남의 교육 디지털 전환과 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의미있는 협력이 될 것”이라며 “HUST가 클라우드와 AI 기반의 교육 및 연구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혁신 인재 양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7-24 23:04:32
네이버, 행안부와 손잡고 공무원 AI 역량 강화…'하이퍼클로바X' 활용 실무 교육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행정안전부와 손을 맞잡고 공공 부문 인공지능(AI) 역량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네이버는 오는 13일 행정안전부와 ‘행정·공공기관 AI 역량 강화 교육’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공무원 대상 AI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협력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AI 시대에 발맞춰 공공 서비스 혁신을 이끌어갈 공무원들의 AI 활용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췄다. 네이버는 오는 3월 31일부터 시작되는 공공부문 AI 리터러시 강화 및 AI 전문 인재 양성 교육 과정에 핵심 기술과 플랫폼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네이버는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자사의 최첨단 AI 기술 도구들을 교육 현장에 투입한다. 생성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와 클라우드 기반 AI 개발 플랫폼 ‘클로바 스튜디오(CLOVA Studio)’를 제공하여 교육생들이 실제 AI 기술을 체험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이론 학습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교육생들은 금융, 교육, 모빌리티, 게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는 네이버의 AI 및 클라우드 기술을 직접 활용하여 실습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AI 서비스 구현,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적용한 민원 응대 챗봇 개발 등 행정 현장에 즉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공공 분야 AI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에 네이버의 AI, 클라우드 기술이 활용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며 “다양한 실습 교육 지원을 통해 행정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AI 능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공공 영역 업무 효율성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AI 도구 개발 및 고도화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AI 혁신 시대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공분야 AI 전문 인재 육성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네이버와의 협력을 통해 우수한 역량을 갖춘 공공 인재를 적극적으로 육성하여 공직 사회 전반의 AI 전문성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네이버는 공공 부문 AI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행정안전부는 공무원들의 AI 활용 능력을 향상시켜 국민들에게 더욱 향상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03-12 18:02:3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2
퓨리오사AI, 1700억 투자 유치로 유니콘 등극…'탈엔비디아' 속도
3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기 내달 출범...민간 전문가 중심 'AI 컨트롤타워'로
4
LG엔솔 '무음극 전지' 개발 순항...상용화는 언제?
5
삼성 '갤럭시 Z 폴드7', 미국 초기 판매량 50% 급증…역대 최고 기록
6
은행계 캐피탈, 올 상반기 KB·신한·우리·하나 '줄줄이 적자'…PF 부실에 발목
7
LG엔솔, 中기업 상대 특허침해소 승소했지만..."글로벌 대응 체계 강화 시급"
8
네이버·카카오, 내달 2분기 실적 발표...AI 사업에 희비 엇갈릴 듯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