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42건
-
-
-
-
-
-
-
-
서울카페쇼, AI 기반 '스마트 전시' 도입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최대 커피 박람회인 서울카페쇼가 올해 행사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전면 도입하며 ‘스마트 전시’ 혁신에 나섰다. 아시아 최초의 커피 전문 박람회인 제24회 서울카페쇼와 월드커피리더스포럼은 한국관광공사의 AI 기반 통합 관광 서비스 ‘AI 광집사’를 전시 운영 전 과정에 적용해 관람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처음 도입된 ‘카페쇼 AI 가이드’는 한국관광공사와 딥파인, 플루언트, 트리플렛, 오후두시랩, 플리토 등 기술기업이 공동 개발한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는 △AI 지도 △AI 다국어통역 △AI 밀집도 분석 △AI 디지털휴먼 △스마트 ESG 등 총 5개 기능을 통합해 전시장 운영 전반에 적용한다. 가장 눈에 띄는 기능은 ‘AI 지도’로 코엑스 전관(A~D홀)의 부스 위치와 편의시설, 이동 동선을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해 관람 흐름을 매끄럽게 한다. AI는 관람객의 이동 패턴과 관심사를 분석해 맞춤형 동선과 부스를 추천해주는 개인화 기능도 제공한다. 매년 13만명 이상이 찾는 행사 특성상 혼잡 관리도 강화됐다. AI 기반 밀집도 분석 기능은 등록대와 전시장 곳곳의 인원을 실시간 계산해 키오스크로 안내한다. 관람객은 가장 여유로운 출입구와 전시장 구역을 확인해 이동할 수 있어 대기시간과 군집 현상이 크게 줄었다는 평가다. 글로벌 비즈니스 방문객 제공 가치도 확대했다. ‘AI 다국어통역’ 기능은 37개 언어의 통역과 42개 언어의 텍스트·음성 동시 번역을 지원한다. 월드커피리더스포럼 발표 내용도 스마트폰·태블릿으로 동시 번역돼, 해외 바이어와 연사들이 언어 장벽 없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전시관 곳곳에는 음성 기반 안내가 가능한 AI 디지털휴먼이 배치됐다. 관람객이 질문을 하면 세미나 일정, 브랜드 위치, 프로그램 정보를 즉시 제공해 복잡한 전시장 내 정보 접근성을 높였다. 서울카페쇼는 올해 ‘스마트 ESG’ 활동에도 공을 들였다. AI 시스템이 부스별 에너지 사용량과 관람객 이동 데이터를 분석해 탄소 배출량을 자동 계산하며, 참가 기업은 실시간 감축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관람객 역시 ‘나의 탄소발자국’ 서비스를 통해 친환경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서울카페쇼 관계자는 “AI 기술은 단순 편의 제공을 넘어 관람·참가·운영 전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며 “대한민국 대표 MICE 행사로서 글로벌 산업이 가야 할 미래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24회 서울카페쇼는 오는 2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며 티켓은 현장 구매가 가능하다.
2025-11-20 10:18:37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