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1˚C
맑음
부산 7˚C
맑음
대구 5˚C
흐림
인천 2˚C
흐림
광주 5˚C
흐림
대전 3˚C
흐림
울산 4˚C
흐림
강릉 1˚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9월 수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9월 경상수지 135억 달러 '역대 2위'…반도체가 흑자 견인
[이코노믹데일리] 반도체 등 수출 호조로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29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흑자 규모는 월간 기준 역대 2위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 달러(약 19조40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전월(91억5000만 달러)과 지난해 동기(112억9000만 달러)보다 각각 43억2000만 달러, 21억8000만 달러 늘어 월별 경상수지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9월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이에 따라 2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는데 이는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긴 기록이다. 상품수지 흑자 규모(142억4000만 달러)는 역대 9월 중 2017년(145억2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9월 수출(672억7000만 달러)은 전년 동기보다 9.6% 증가했다. 전월(564억4000만 달러)보다도 63억 달러 이상 늘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22.1%)·승용차(14.0%)·화학공업제품(10.4%)·기계류정밀기기(10.3%)·무선통신기기(5.3%) 등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반대로 컴퓨터주변기기(-13.5%)는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1.9%)·EU(19.3%)·일본(3.2%) 등에서 늘었고, 미국(-1.4%)에서 줄었다. 9월 수입(530억2000만 달러)은 지난해 같은 기간(507억3000만 달러)보다 4.5% 증가했다.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원유(-13.3%)·석유제품(-9.8%)·화학공업제품(10.2%)·가스(2.4%) 등 원자재 수입 증가율은 0.4%에 수준이었다. 다만 국내 소비 회복과 영업일수 증가 등으로 정보통신기기(29.9%)·수송장비(24.4%)·반도체제조장비(11.6%) 등 자본재 수입이 12.2% 늘었고, 승용차(36.3%) 등 소비재 증가율도 22.1%나 크게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33억2000만 달러 적자로 나타났다. 적자 폭은 전월(-21억2000만 달러)과 전년 동기(-21억 달러)보다 커졌다. 서비스수지에서 여행수지 적자(-9억1000만 달러)는 전월(-10억7000만 달러)대비 줄었지만, 운송수지(-1억2000만 달러)에서 5개월 만에 적자 전환했다. 8월 대비 사용료 수입이 줄면서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폭(-8억5000만 달러)도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9억6000만 달러)는 전월(20억7000만 달러)과 비교해 약 9억 달러 늘면서 9월 기준으로 역대 2위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9월 중 129억 달러 증가했다. 증가 규모가 전월(78억8000만 달러) 대비 50억2000만 달러 확대됐다. 직접투자액은 38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월(-7억1000만 달러) 대비 흑자 전환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6억6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18억 달러씩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는 21억1000만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11억9000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주식과 채권을 중심으로 90억8000만 달러 늘었다.
2025-11-06 09:01:57
반도체·車 호조에 9월 수출 사상 최대…관세 여파는 부담
[이코노믹데일리]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 호조에 힘입어 한국의 9월 수출이 12.7% 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도체 수출은 월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자동차 역시 미국발 관세 여파에도 불구하고 유럽 등으로 판로를 다변화하며 역대 9월 중 최고 실적을 올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액은 659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2.7% 증가했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3년 6개월 만에 기록한 사상 최대치다. 월간 수출은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수출을 견인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DDR5 등 고부가 제품 수요가 늘면서 수출액은 166억1000만 달러로 22% 증가,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5%를 넘어섰다. 자동차는 순수전기차(EV)·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 수출이 모두 늘어나며 64억 달러를 기록해 9월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이 밖에 선박(21.9%), 바이오헬스(35.8%), 일반기계(10.3%), 가전(12.3%) 등 주요 품목도 고르게 성장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수출이 늘었다. 9월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나 중국 수출은 0.5% 증가했다. 아세안(17.8%), EU(19.3%), 중남미(34.0%), 일본(3.2%) 등으로도 확대되며 수출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수입은 564억 달러로 8.2% 증가했고 무역수지는 95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 관세 조치로 불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이 수출 시장을 신속히 다변화한 결과”라며 “관세 협상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기민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0-01 14:09:5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3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4
증시 활황에 빅5 증권사 역대급 실적…내부통제 리스크엔 '경고등'
5
테슬라코리아, 완전자율주행 'FSD' 국내 출시 예고
6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7
부산 진해신항 DL이앤씨 공사 현장서 작업자 사망 호스 파열 충격에 해상 추락
8
'역대 최대 규모' 지스타 2025, 13일 개막…엔씨·넷마블·크래프톤 신작 대전 '초읽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금융경제 레드플래그] 포용금융 역설...고신용자가 외면받는 금융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