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2 일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9˚C
구름
대구 8˚C
흐림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구름
대전 9˚C
흐림
울산 11˚C
맑음
강릉 9˚C
흐림
제주 1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6GHz'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LG유플러스, AX 기반 와이파이 기술로 'WBA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와이파이 품질 관리 기술로 세계 최고 권위의 시상식에서 2년 연속 수상하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고객이 불편을 느끼기 전에 AI가 먼저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선제적 품질 관리 시스템이 글로벌 무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LG유플러스는 19일 세계무선네트워크연합(WBA)이 주관하는 ‘WBA 인더스트리 어워드 2025’에서 ‘최고 홈 와이파이 네트워크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최고 와이파이 네트워크 사업자상’에 이은 2년 연속 수상이다. WBA는 전 세계 무선 네트워크 사업자, 장비 제조사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연합체로 매년 와이파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기업과 기술을 선정해 시상한다. 이번 수상의 배경에는 LG유플러스의 AX(AI 전환) 기반 와이파이 품질 관리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AI가 고객의 이용 패턴과 네트워크 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와이파이 이용에 불편을 겪을 잠재 고객을 미리 파악하고 품질 저하 요인을 탐지한다. 이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기 전 신속하게 품질을 개선해 안정적인 무선 환경을 제공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인프라 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지난 3월 국내 통신사 최초로 6GHz 대역을 지원하는 ‘와이파이7’ 공유기를 출시했다. 이 공유기는 기존 대비 최대 4배 이상 빠른 최대 5.7Gbps의 속도를 구현하며 고객의 무선 인터넷 경험을 한 차원 끌어올렸다. 송대원 LG유플러스 기술개발그룹장(상무)은 “2년 연속 WBA 인더스트리 어워드 수상은 LG유플러스의 와이파이 기술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AX 기반 품질 관리 기술을 고도화해 고객이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2025-10-19 12:44:36
SKT, 시내버스에 와이파이 7 시범 적용…속도 1.5배 빨라져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에 차세대 통신 기술인 와이파이 7을 시범 적용해 공공 와이파이 속도를 1.5배 이상 개선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시도로 시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통신 품질이 한 단계 도약할 전망이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버스 공공와이파이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SKT는 지난 5월부터 서울과 경기 권역을 오가는 시내, 지선, 광역버스 100대에 5G와 LTE 기반의 와이파이 7 장비(AP)를 설치해 8월 말까지 운영한다. 중간 점검 결과는 성공적이다. 와이파이 7 도입 후 버스 내 다운로드 속도는 노선별로 715~1003Mbps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와이파이 6·6E 장비의 평균 속도인 429Mbps 대비 평균 1.5배 이상 향상된 수치다. 속도 개선은 즉각적인 사용량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 5월 한 달간 동일 노선에서 와이파이 7 장비가 탑재된 버스의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36만5211MB로 기존 장비 버스의 27만2979MB보다 약 2030% 많았다. 와이파이 7은 2.4GHz, 5GHz, 6GHz 등 여러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활용해 간섭 없이 빠른 통신을 지원한다.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 양을 결정하는 대역폭도 기존의 두 배인 320MHz로 늘었고 데이터를 더 촘촘하게 전송하는 QAM 기술도 4096QAM으로 향상됐다. 여러 주파수 대역을 동시 처리하는 멀티 링크 동작(MLO) 기술로 안정성까지 강화했다. 보안 기술도 대폭 업그레이드됐다. 무료 와이파이 대역에는 이용자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OWE’ 기술을 보안 접속 대역에는 기업용 수준의 ‘WPA2/3 Enterprise’ 기술을 적용해 공공 와이파이의 취약점으로 지적되던 보안 문제를 해결했다. SKT는 이번 시범 서비스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김일영 SKT Connectivity사업본부장은 “버스공공와이파이 사업에 5G·LTE의 상용망 기반 와이파이 7을 시범 도입해 국민들이 보다 나은 와이파이 서비스를 경험할 것”이며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향상된 통신 서비스 보급에 더욱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2025-08-04 09:06:59
LG유플러스, e스포츠 축제서 '와이파이7'기반 인터넷 속도 선보인다.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오는 3일과 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젠지 홈스탠드' 행사에서 와이파이7 기술을 선보이는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e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은 1020세대 고객을 겨냥해 차세대 무선 인터넷 환경을 직접 경험하게 함으로써 차별화된 가치를 전달하려는 취지다. 이번 행사는 인기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국내 프로 리그 경기를 현장에서 관람하고 프로게이머와 팬들이 소통하는 e스포츠 축제다. 주최 측은 약 1만여 명의 방문객이 현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한다. LG유플러스는 이 행사의 메인 스폰서로 참여해 젊은 세대와의 소통 강화에 나선다. 행사 기간 동안 LG유플러스는 지난달 출시한 와이파이7 공유기를 중심으로 체험 부스를 꾸린다. 방문객은 와이파이7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트북과 스마트폰으로 직접 게임을 즐기며 기존 와이파이 기술과의 속도 차이를 체감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의 와이파이7 공유기는 국내 최초로 6GHz 주파수 대역을 활용, 이론상 와이파이6 대비 4배 이상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 특징이다. 또한 최신 보안 규격인 WPA3와 강화된 암호화 기술을 적용해 해킹 및 비밀번호 유출 시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등 보안 성능도 대폭 향상됐다. 체험존에서는 AI 기술 기반의 '익시 포토부스'도 운영한다. 방문객은 이 포토부스를 이용해 인기 프로게임단 '젠지'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들과 함께 사진을 촬영하는 듯한 이색적인 경험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LG유플러스는 와이파이7의 빠른 속도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순발력 테스트 게임 등을 진행하고 참여자에게 자사 인기 캐릭터 '무너' 굿즈를 증정하는 이벤트도 마련했다. 김다림 LG유플러스 IMC담당은 "이번 행사 참여를 통해 게임 관여도가 높은 1020세대에게 자사 인터넷 및 와이파이7 서비스를 알리고 브랜드 선호도를 높이겠다"며 "앞으로도 LG유플러스는 속도, 품질, 보안면에서 안심할 수 있는 U+인터넷 인식을 확산하고 고객 경험을 혁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젊은 고객층에게 자사의 기술적 우위를 알리고 U+인터넷 서비스 전반의 신뢰도를 제고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한편 LG유플러스의 이번 2025 젠지 홈스탠드 참여는 프로게임단 젠지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양사는 지난 2023년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3년째 긴밀한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2025-05-02 14:41:0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4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5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