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8 일요일
흐림
서울 12˚C
흐림
부산 16˚C
흐림
대구 18˚C
흐림
인천 12˚C
흐림
광주 14˚C
흐림
대전 12˚C
흐림
울산 16˚C
흐림
강릉 14˚C
흐림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홍콩항셍지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트럼프 '상호관세' 경고에 숨죽인 韓 증시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카드를 꺼내 들며 관세 전쟁 서막을 알렸다. 국내 증시는 관세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큰 변동 없이 마치며 선방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0.65p(0.03%) 떨어진 2521.27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은 직전 거래일보다 6.77p(0.91%) 오른 749.67에 마감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7일(이하 현지시간) 미·일 정상회담 이후 "다음 주에 많은 국가를 상대로 상호주의적 관세 부과를 발표할 것"이라며 오는 10~11일 상호 관세안을 발표한다고 언급했다. 상대 국가가 미국에 관세를 매긴 만큼 동일하게 청구한다는 것이다. 추가로 9일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0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상호관세의 명확한 기준과 범위가 공개되지 않으면서 한국도 부과 대상에 오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개장 전 증시에서 변동성이 커질 것이란 시각이 우세했다. 관세 이슈로 우려했던 만큼 국내 증시의 큰 변화는 없었다. 다만 장 초반 오전 9시 28분경 2499.61까지 내려갔다. 이후 반등하며 2500선을 회복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719억원, 외국인은 2787억원 순매도했다. 기관이 2644억원 사들이며 지수 하방을 지켜냈다. 다만 철강 관세 부과 소식에 관련 종목들이 약세를 보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대한제강이 3.91% 내린 1만5000원에, 동국제강이 3.77% 하락한 7910원에, 현대제철이 2.03% 떨어진 2만1700원에 거래를 마무리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 주간 거래소 종가(오후 3시 30분) 대비 3.4원 소폭 상승한 1451.2원에 거래 중이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도 관세 우려에 하락 출발했지만 전 거래일보다 0.04% 상승한 채 거래를 마치며 낙폭을 회복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장 대비 0.56% 증가한 3322.17에, 홍콩항셍지수도1.73% 오른 2만1496.46에 마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같이 상호 관세가 보편관세를 대체하는 개념이라면 한국에 가해지는 부담이 덜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한국이 보편관세를 상호관세로 피할 수 있다면 오히려 현재 한국과 주요 업종들에 선반영된 관세 우려가 해소되며 증시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고 전망했다. 임정은 KB증권 연구원은 "이번 주 역시 트럼프 관세 정책에 영향을 받겠으며 특히 미·중 무역 갈등 해소 여부에 따라 증시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국의 대미 관세 부과가 발효되는 오늘까지 관세 협상이 타결된다면 시장은 일단 안도 랠리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2025-02-10 18:08:4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2
[이번 주 美 주요 일정] CPI·파월 연설…기업 실적 발표로 시장 변동성 예상
3
삼성전자, 2조4000억원 들여 데이터센터 HVAC 선점하는 이유
4
"7시간 만에 1위" 넷마블 신작 '세나 리버스' 대박 터졌다…흥행 비결은
5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6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7
'부동산 PF' 향한 온도차…대형사 '질주', 중소형사 '위축'
8
NH투자증권, 지난해 소송 리스크 '최다'…3984억원 규모 70건 진행 중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1등의 관리는 다르다"…코웨이의 남다른 고객정보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