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30 목요일
안개
서울 6˚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4˚C
맑음
인천 10˚C
흐림
광주 9˚C
흐림
대전 8˚C
흐림
울산 10˚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한미 무역'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코스피, 사상 최고치 마감…4100 '눈앞'
[이코노믹데일리] 코스피가 한미 무역 협상 기대감에 힘입어 408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일대비 70.42p(1.76%) 오른 4081.15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는 장중 4084.09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투자 주체별로는 기관이 6753억원 순매수한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386억원, 1817억원 순매도했다. 특히 반도체주가 증시를 크게 견인했다. SK하이닉스는 영업이익이 10조원에 달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전일대비 7.10% 오른 55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나머지 시가총액 상위 종목중에서는 △삼성전자(1.01%) △LG에너지솔루션(0.78%) △두산에너빌리티(11.57%) △현대차(2.99%) 등이 오른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0.8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30%) △셀트리온(-1.51%) 등은 하락 마감했다. 같은날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1.71p(0.19%) 내린 901.59에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729억원, 346억원 순매수에 나선 반면 기관은 홀로 604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선 △레인보우로보틱스(0.58%) △HLB(0.84%) △펩트론(1.92%) △삼천당제약(0.69%) 등이 상승했고 △알테오젠(-2.00%) △에코프로비엠(-1.38%) △에코프로(-4.22%) △파마리서치(-3.73%) 등은 내렸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6.0원 내린 1431.7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10-29 16:13:02
구윤철 "美 입장은 3500억 달러 '선불'…트럼프 설득 불확실"
[이코노믹데일리]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현지시간) 한미 무역 협상의 핵심 쟁점인 3500억 달러 선불 요구와 관련 "우리 입장에선 외환 사정상 어렵다는 것을 계속 설득하고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지 여부에 대해선 불확실성이 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미국 워싱턴 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한국 특파원단과 만나 "3500억 달러를 빨리 업프론트(up front·선불) 하라는 게 미국의 강한 주장이라고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3500억 달러 선불 투자 방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지에 대한 질문엔 "우리 입장에서는 외환 사정상 굉장히 어렵다는 것을 저희 카운터파트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통해서 계속 설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베선트 장관은 이해하고 있다"며 "베선트 장관에게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나 미 행정부 내부에 (한국 입장을) 이야기해달라고 요청했고, 본인이 충분히 설명하겠다는 긍정적 답변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또 "실무 장관은 이해하고 있는데, 얼마나 대통령을 설득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하느냐 하는 부분은 진짜 불확실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구 부총리는 3500억 달러 투자를 어떻게 할지 그 계획에 따라 외환 안정성을 점검해야 한다고도 밝혔다. 그는 "스킴(scheme·계획)에 따라 외환 안정성을 점검해야 한다"며 "그 스킴에 한국의 입장이 충분히 반영돼 외환 영향이 적어진다면 저희가 보완해야 할 사항은 적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대미투자 펀드는 대출과 보증을 포함하는 형식이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미투자 패키지에서 이 부분이 어떤 비중으로 구성되느냐에 따라 한국 외환시장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투자 방식에 대한 가닥이 잡힌 뒤 외환시장 방안이 논의돼야 한단 의미로 풀이된다. 3500억 달러 투자를 최대 10년간 분할하는 방안과 원화 기반으로 투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처음 듣는 이야기라 어디서 나온지 확인을 해봐야 알 것 같다"고 말했다. 한·미 통화스와프와 관련해서는 "관세 협상의 본체는 러트닉 장관과 진행 중이고, 협상 결과에 따라 외환 소요가 달라질 수 있다"며 "협상에 따라 필요한 외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스와프를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고 많이 할 수도, 적게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협상 결과에 따라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가 통화스와프"라며 "필요한 외환을 조달하는 방법은 통화스와프든 차입이든 통화공급 확대든 다양하고, 계획에 따라 조달하는 방식을 유연하게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오는 30일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 최종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과 관련해선 "반드시 APEC 전에 해야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국익 관점에서 협상 내용만 잘 정리되면 가능한 한 빨리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현재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워싱턴을 방문 중이다.
2025-10-17 16:06:59
트럼프 "韓 대미투자금 3500억 달러…그것은 선불"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한미 무역 합의에 따라 한국이 미국에 투자할 금액이 3500억 달러(약 490조원)라는 점을 재확인하며 "그것은 선불(up front)"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 합의와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우리는 다른 나라들로부터 결코 제대로 대우받지 못했지만 이제는 잘하고 있다. 우리가 이토록 잘한 적은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시다시피 일본에서는 5500억 달러, 한국에서는 3500억 달러를 받는다. 이것은 선불"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관세와 무역 합의 덕분에 한 사례에서 9500억 달러를 확보하게 됐는데, 이전에는 전혀 지불하지 않던 금액"이라며 9500억 달러 투자협정을 체결한 유럽연합(EU) 사례를 거론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한미 간에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를 놓고 양국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3500억 달러를 '선불'로 거론한 것은 그것이 한국에 대한 관세 인하의 전제조건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한미는 지난 7월 30일 타결한 무역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등을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대미 투자 패키지 구성과 이행 방법을 두고 이견이 좁히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 지분 투자를 최소화하고 대부분을 보증으로 하려고 하지만, 미국은 달러 현금을 한국에서 받아 투자처를 미국이 결정하고 투자 이익도 미국이 90%를 가져가는 등의 '일본식' 합의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미국의 요구대로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금을 제공할 경우 한국이 상당한 외환 리스크를 지게 된다는 점에서 한미간 통화스와프 체결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5-09-26 08:23:4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SDV'…편리함에 숨은 보안 위험성
2
'역대 최강' LCK, 롤드컵 8강 점령…우승컵 탈환 청신호
3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4
트래블 선두 하나카드, 해외 체크카드 점유율 소폭 ↓...KB국민카드, 60% 성장하며 3위 부상
5
삼성물산 시공 판교 공사현장서 근로자 사망… 노동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수사 착수
6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7
KT, 내달 초 차기 CEO 공모 착수…김영섭 대표 연임 '빨간불'
8
네오플 노조, 넥슨 노조와 갈등 끝에 해산…게임업계 첫 파업 중단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