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17 금요일
맑음
서울 16˚C
흐림
부산 17˚C
흐림
대구 16˚C
구름
인천 16˚C
흐림
광주 18˚C
맑음
대전 22˚C
흐림
울산 19˚C
흐림
강릉 17˚C
흐림
제주 2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한명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SK스퀘어, 2분기 영업익 1.4조... 하이닉스 업고 포트폴리오 체질 개선
[이코노믹데일리] SK스퀘어가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와 ICT 포트폴리오의 성공적인 체질 개선에 힘입어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비핵심 자산을 과감히 정리하고 수익성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한 결과 티맵모빌리티가 첫 분기 흑자를 내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SK스퀘어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4066억원, 영업이익 1조4011억원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약 2배 급증한 수치다. SK하이닉스 효과와 더불어 운영개선 중심의 경영 전략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실제로 티맵모빌리티, 11번가 등 주요 ICT 포트폴리오의 상반기 합산 영업손익은 -41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50% 개선됐다. 특히 티맵모빌리티는 2020년 출범 이후 처음으로 분기 EBITDA 흑자(8억원)를 달성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이는 서울공항리무진, 우티 지분 등 비주력 자산을 매각하고 AI 모빌리티 데이터 사업에 역량을 집중한 결과다. 콘텐츠웨이브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임원 겸임 기업결합 승인, 신규 이사진 선임, SK스퀘어-CJ ENM 공동투자 유치 등을 완료함으로써 티빙(TVING)과의 시너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기존에 보유하던 양자보안 기업IDQ지분과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의 지분을 교환함으로써 현재 유의미한 투자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수익성 개선 작업은 다른 자회사에서도 두드러졌다. 11번가는 오픈마켓 부문에서 17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가며 상반기 적자 폭을 절반 가까이 줄였다. 드림어스컴퍼니 역시 디바이스 사업부를 정리하고 MD 사업에 집중해 상반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통해 SK스퀘어 본체는 1조2000억원에 달하는 현금성자산을 확보했다. 이 자금은 미래 성장을 위한 AI·반도체 분야 신규 투자의 핵심 실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SK스퀘어는 이미 SK하이닉스, 신한금융그룹 등과 손잡고 미국과 일본의 유망 AI·반도체 기업 6곳에 투자를 집행했으며 향후 총 1000억원 규모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경영 성과와 미래 비전이 맞물리면서 기업가치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주가는 연초 대비 84% 급등했고 순자산가치(NAV) 할인율 등 기업가치 제고계획 핵심 지표들도 순항 중이다. 여기에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전량 소각하기로 결정하며 주주가치 제고 의지를 재확인했다.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은 “O/I 중심 경영으로 포트폴리오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포트폴리오 리밸런싱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며 “AI·반도체 중심 신규투자를 내실 있게 준비해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2025-08-14 16:28:04
'공룡 OTT' 탄생 초읽기…티빙·웨이브, '넷플릭스 대항마' 진짜 나온다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재편의 신호탄이 올랐다. 티빙과 웨이브의 통합을 위한 준비 작업이 자금 수혈과 리더십 교체를 통해 사실상 마무리됐다. SK스퀘어와 CJ ENM은 웨이브에 대한 추가 투자를 단행하고 통합 법인의 수장으로 CJ ENM 출신 인사를 선임하며 합병 작업에 고삐를 바짝 죄었다. 웨이브 운영사 콘텐츠웨이브의 최대주주인 SK스퀘어는 7일, 75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해 웨이브에 추가 투자를 단행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투자에서는 티빙의 최대주주인 CJ ENM이 SK스퀘어가 보유하게 될 CB 중 500억원을 인수한다. CJ ENM 역시 웨이브에 간접적으로 추가 투자를 단행하는 셈이다. 이로써 웨이브에 대한 양사의 누적 투자액은 SK스퀘어 1750억원, CJ ENM 1500억원에 달하게 됐다. 양사의 CB 투자는 지난해 11월에 이어 두 번째로, 통합 K-OTT 출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이날 콘텐츠웨이브는 이사회를 열고 서장호 CJ ENM 콘텐츠유통사업본부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서 신임 대표는 CJ ENM에서 해외 사업을 총괄해온 미디어 전문가로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양사 시너지를 극대화할 적임자라는 평가다. 이는 지난 6월 공정위가 승인한 임원 겸임 방식의 기업결합을 이행하는 조치로 통합 법인의 주도권을 CJ ENM이 쥐고 사업을 이끌어갈 것임을 시사한다. 양사 통합이 완료되면 넷플릭스에 대항할 만한 토종 OTT 1위 사업자가 탄생한다. 시장조사업체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국내 OTT 점유율은 넷플릭스 40%, 쿠팡플레이 21%, 티빙 17%, 웨이브 7% 순이다. 티빙과 웨이브가 합쳐지면 점유율 24%로 쿠팡플레이를 넘어선 2위 사업자로 도약하게 된다. 양사는 통합 전부터 ‘더블 이용권’ 출시, 콘텐츠 교류 등 협력을 강화하며 시너지 창출에 나서고 있다. 다만 통합까지는 변수가 남아있다. 티빙의 2대 주주인 KT가 양사 간 합병에 난색을 표하고 있어 실제 통합 K-OTT의 출범 시기는 아직 미지수다. 그럼에도 양대 주주는 통합을 기정사실화하고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은 “콘텐츠웨이브와 티빙 간 통합으로 K-OTT의 미래 성장을 달성하고 대한민국 OTT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2025-08-07 17:29:22
SK스퀘어 1분기 영업익 1.6조…SK하이닉스·ICT자회사 선전에 400%↑
[이코노믹데일리] SK스퀘어가 2025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 4028억원 영업이익 1조6523억원 순이익 1조6123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증가와 주요 정보통신기술(ICT) 포트폴리오 회사 손익 개선에 힘입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영업이익 3238억원 순이익 3333억원)보다 각각 약 400% 급증했다. 운영개선(O/I) 중심 경영을 통해 포트폴리오 회사의 본원적 경쟁력을 높이고 수익성을 개선한 점이 호실적 배경으로 꼽힌다. 1분기 SK스퀘어 주요 ICT 포트폴리오의 합산 영업손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70% 이상(302억원) 개선된 마이너스 114억원으로 질적 성장의 기틀을 다졌다. 특히 SK플래닛(+113억원) 11번가(+98억원) 티맵모빌리티(+72억원) 원스토어(+22억원) 인크로스(+12억원) 등의 영업손익 개선이 두드러졌다. 티맵모빌리티는 지난해 동기 대비 약 43% 개선된 마이너스 94억원의 영업손익을 기록했으며 올해 상각전영업이익(EBITDA) 흑자 달성을 목표로 한다. 11번가는 손익개선에 집중하며 지난해 동기 대비 약 50% 개선된 마이너스 97억원의 영업손익을 기록했고 SK플래닛은 1분기 83억원의 영업손익으로 흑자전환했다. 원스토어는 마케팅 효율화 등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1% 호전된 마이너스 32억원의 영업손익을 거뒀다. SK스퀘어는 비핵심자산 유동화도 속도감 있게 추진 중이다. 티맵모빌리티는 올 들어 서울공항리무진 굿서비스 우티 지분 등을 매각했고 원스토어는 콘텐츠 자회사 로크미디어를 매각했다. 콘텐츠웨이브는 현재 기업결합심사가 진행 중이며 SK스퀘어는 1분기 양자보안 기업 IDQ 지분과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 지분을 교환하는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성과도 냈다. AI·반도체 투자회사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신규 투자도 준비하고 있다. 최근 SK하이닉스 신한금융그룹 LIG넥스원 등과 공동 출자해 미국 일본 AI·반도체 기업 5곳에 투자를 완료했으며 기존 투자를 포함해 총 1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SK하이닉스와 시너지를 염두에 두고 글로벌 AI 칩 인프라 영역에서 대규모 투자도 검토 중이다. SK스퀘어는 무차입 경영을 이어가며 올해 약 1.3조 원의 투자 재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1분기 말 기준 현금성자산은 약 4316억원이며 자회사 배당금수익 SK쉴더스 잔여 지분매각대금 등 현금 유입이 예상된다.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한 주주가치 강화도 지속한다. 지난 3월 1000억원의 추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발표했으며 2021년 11월 출범 이후 지난달까지 누적 5100억원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SK스퀘어 주가는 14일 종가 기준 10만3500원으로 올 초 대비 약 32% 상승했다. 순자산가치(NAV) 할인율은 올 1분기 말 기준 62.8%로 개선됐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7.6%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68배로 상승했다.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은 “O/I 중심 경영과 비핵심자산 유동화를 통해 포트폴리오의 본원적 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다”며 “AI·반도체 중심 신규투자를 착실히 준비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SK스퀘어의 체질 개선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면서 AI·반도체 투자 전문 기업으로서의 행보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025-05-15 16:54:0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먹튀' 해외 게임사 막는다…해외 게임사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화
2
[2025국감] 과방위 국감 13일 시작…'역대급' 과방위 국감, '해킹·갑질' 정조준
3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의 숨은 인프라, '데이터센터'...차세대 성장 엔진으로
4
[2025국감] 현대건설, 국감서 '3대 의혹' 정조준… 관저 안전관리·파인그라스·가덕도 신공항까지
5
[2025국감] 이재명 정부 '3차 부동산 대책' 조만간 발표…"세금은 최후의 수단, 규제 지역 확대·공급 속도전 병행"
6
PF 만기 13조원… 건설업계, '11월 분기점' 앞두고 신뢰 시험대
7
[2025국감] "안전점검만 6만번"… 10대 건설사, 중처법 대응에 연 8300억원 쏟았다
8
카드업계, 하반기도 '브랜드 전쟁'...제휴·PLCC 카드 출시 '속속'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네이버-두나무 빅딜, '간절함'이 빚어낸 ICT 지형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