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2 일요일
맑음
서울 6˚C
맑음
부산 10˚C
맑음
대구 10˚C
흐림
인천 7˚C
맑음
광주 7˚C
구름
대전 5˚C
맑음
울산 7˚C
맑음
강릉 6˚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파운드리 사업'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머스크 "삼성, 테슬라 AI6 이어 AI5 칩도 공동 생산"
[이코노믹데일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칩셋 ‘AI5’ 생산에 삼성전자가 참여한다고 공식 확인했다. 최근 수주가 알려진 차세대 칩셋 ‘AI6’뿐 아니라 그 이전 세대인 AI5도 TSMC와 공동 생산한다는 의미다. 머스크는 22일(현지시간) 열린 테슬라 3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이번 기회에 명확히 하고 싶다”며 “AI5 칩은 TSMC와 삼성전자 모두 제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에는 테슬라의 5세대 자율주행 칩셋 AI5를 TSMC가 전량 생산하고 삼성은 이전 세대인 AI4와 차세대 AI6만 맡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머스크가 이를 직접 부인하면서 삼성의 테슬라 칩 생산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해석된다. 머스크는 “AI5 칩의 과잉 공급 확보가 명확한 목표”라며 “차량과 로봇에 쓰이는 AI 칩이 남을 경우 데이터센터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엔비디아를 대체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테슬라는 자체 수요만 충족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테슬라의 5세대 오토파일럿 칩 AI5는 2026년 말 양산이 예상되며 최대 2500TOPS(초당 1조 회 연산) 성능을 목표로 한다. 차세대 AI6는 2027~2028년 출시가 목표로 최대 6000TOPS 성능을 구현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7월 자신의 SNS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삼성의 텍사스 테일러 공장이 테슬라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현재 삼성전자가 AI4를 생산 중이며 AI5는 TSMC가 대만에서 첫 생산 후 애리조나 공장에서 이어질 예정”이라고 말해 AI5의 TSMC 단독 생산설이 확산된 바 있다. 삼성전자는 테슬라 외에도 엔비디아, AMD, 인텔 등 글로벌 팹리스 기업들의 첨단 AI 반도체 생산 파트너십을 확대하며 파운드리 사업 외연을 넓히고 있다.
2025-10-23 09:08:51
"파운드리 의구심 날렸다"...삼성전자, 테슬라와 23조원 수주 체결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가 테슬라의 자율주행 차량과 휴머노이드 로봇에 들어가는 차세대 인공지능(AI) 칩을 생산하는 계약을 맺었다. 이에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 정상화 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29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테슬라와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수탁생산 공급 계약을 맺었다. 계약 기간은 이번달부터 오는 2033년 12월까지다. AI6은 테슬라의 6세대 자율주행용 칩셋으로 오는2027~2028년쯤부터 출시된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번 계약을 통해 일각에서 제기하는 파운드리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 파운드리 기술력이 빅테크 물량을 다시 수주할 만큼 올라왔다"고 말했다. 그동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드라이브를 걸었지만최근 2~3년 대형 고객사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28일 테슬라에서 따낸 22조7648억원 규모 인공지능(AI)칩 생산 계약은 이를 뒤집을 계기가 될 전망이다. 2나노미터(㎚) 등 최첨단 공정 기술력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고 대형 고객을 추가 확보할 계기가 돼서다. 이번 계약은 삼성 반도체(DS) 부문이 단일 고객으로부터 수주한 역대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와 테슬라는 테일러의 2㎚ 파운드리 공정을 활용해 AI6를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실제 생산 규모는 이보다 몇 배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는데 수주 규모가 더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수주를 통해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도 정상화 궤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시스템LSI, 파운드리 사업 적자 등의 여파로 올 2분기 1조원 미만의 영업이익을 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수주로 인해 전체 반도체 부문 수익성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7-29 11:12:5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4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5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6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7
대형카드사 신한·삼성카드 3분기 실적도 하락...수익성 악화에 전업 카드사도 '먹구름' 전망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