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4 화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맑음
대전 9˚C
흐림
울산 12˚C
맑음
강릉 10˚C
맑음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착한 과금'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가디스오더' 출시 40일 만의 좌초…카카오게임즈 '퍼블리싱 제국'의 구조적 한계 드러나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게임즈의 야심작 '가디스오더'가 출시 40일 만에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 개발사의 자금난이라는 표면적 이유 뒤에는 '퍼블리싱 명가'라는 허울에 가려져 있던 카카오게임즈의 구조적 한계와 무책임한 사업 관리가 자리하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신작 하나가 실패한 사건을 넘어 외부 IP에 기생하는 국내 대형 퍼블리셔들의 사업 모델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적나라한 사례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 3일 공식 커뮤니티를 통해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전했다. "개발사로부터 자금 사정과 경영상의 문제로 예정된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가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3년간의 개발, 수십억원의 마케팅 비용 그리고 이용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신작이 출시 단 40일 만에 사실상 사망 선고를 받은 것이다. 카카오게임즈는 "서비스에 차질을 빚은 것에 대해 대단히 죄송하다"며 인앱 결제를 차단했지만 이는 이용자들의 분노에 기름을 붓는 격이었다. '가디스오더'는 시작부터 남달랐다. '크루세이더 퀘스트'로 실력을 입증한 개발진, 아름다운 2D 도트 그래픽, 수동 조작의 손맛을 내세우며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특히 '확률형 아이템' 대신 원하는 캐릭터를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착한 과금 모델'은 수많은 이용자의 찬사를 받았다. 출시 직후 한국과 대만 구글플레이 인기 1위에 오르며 성공 가도를 달리는 듯 보였다. 하지만 비극의 씨앗은 바로 그 '착한 과금'에 있었다. 이용자 만족도는 높였지만 수익성은 처참했다.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가디스오더'의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는 10월 5일 54위에서 불과 20여 일 만인 10월 28일 167위로 곤두박질쳤다. 게임의 생명줄인 '매출'이 나오지 않자 개발사 픽셀트라이브는 버티지 못하고 쓰러졌다. 여기서 카카오게임즈의 '퍼블리셔'로서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제기된다. 퍼블리셔는 단순히 게임을 유통하는 회사가 아니다. 개발사의 자금 사정, 개발 현황, 시장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고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지원과 관리를 책임져야 한다. 하지만 카카오게임즈는 개발사의 자금난이라는 치명적인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했거나 혹은 알고도 방치했을 가능성이 크다. 더 큰 문제는 카카오게임즈의 사업 구조 자체에 있다. '검은사막', '가디언 테일즈',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등 카카오게임즈의 캐시카우는 대부분 외부 개발사의 작품이다. 자체 개발 역량 없이 남의 IP로 손쉽게 돈을 버는 구조에 안주한 결과 개발사가 흔들리자 서비스 전체가 좌초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이는 비단 카카오게임즈만의 문제가 아닌 다수의 국내 대형 게임사들이 가진 구조적 한계이기도 하다. 실적 부진은 이러한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증권가에 따르면 카카오게임즈는 올해 3분기에도 약 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일한 신작마저 공중분해 되면서 4분기 실적 전망 또한 암울하다. 위기 상황 속에서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서비스사인 만큼 내년에도 나올 타이틀이 많아 라인업에 더 집중하겠다"는 안일한 답변만 내놨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외면한 채 또 다른 '퍼블리싱 대박'만을 기다리겠다는 무책임한 태도로 비칠 수밖에 없다. 결국 '가디스오더'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는 게임을 믿고 시간과 돈을 투자한 이용자들이다. 이들의 신뢰를 저버린 카카오게임즈가 '퍼블리싱 명가'라는 타이틀을 계속 유지할 자격이 있는지 시장은 냉혹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2025-11-04 09:59:3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가디스오더' 출시 40일 만의 좌초…카카오게임즈 '퍼블리싱 제국'의 구조적 한계 드러나
3
T1 vs KT, 롤드컵 결승서 '통신사 더비'…T1, 3연패·KT, 첫 우승 놓고 '격돌'
4
대우건설 원주 재개발 현장서 하청노동자 사망… 노동부, 중대재해법 수사 착수
5
60만 닉스·11만전자 부럽지 않은 HJ중공업…1년 새 10배 오른 코스피 '1등 주식'
6
'해킹 후폭풍' 통신업계 덮쳤다…SKT '수장 교체', KT '교체 수순'
7
거래소, 삼성·한국투자증권 공매도 미공개 내용 유출…"내부통제 구멍" 비판
8
어도어 vs 뉴진스 '전속계약 분쟁', 오늘 1심 선고…향방 주목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2025 APEC이 산업계에 남긴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