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7 일요일
흐림
서울 25˚C
흐림
부산 29˚C
비
대구 25˚C
흐림
인천 26˚C
흐림
광주 27˚C
흐림
대전 26˚C
흐림
울산 28˚C
흐림
강릉 27˚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중국 판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 중국 매출이 미국발 대(對)중국 제재와 중국 전방 수요 둔화 등으로 감소했지만 미국 매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삼성전자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수출액은 28조791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32조3452억원) 보다 11% 감소한 수치다. 삼성전자가 중국에 판매 및 수출하는 반도체는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LPDDR), 낸드, 이미지센서, 디스플레이 구동 칩(DDI) 등 모바일용 제품과 고대역폭메모리(HBM2)·HBM2E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생산 및 판매법인의 실적도 줄었다. 중국 시안에서 운영 중인 낸드 플래시 생산법인 삼성 차이나 반도체(SCS)의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4조4146억원, 5336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동기 매출(6조214억원)과 영업이익(6444억원)보다 감소한 수치다. 상하이 삼성 반도체(SSS)의 매출도 15조8779억원에서 12조3457억원으로 감소했다. 업계는 올해 상반기 이구환신(낡은 제품을 새 것으로 바꾸는 중국 정책) 효과가 둔화하고 중국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전방 산업의 위축 등이 영향을 끼친 것이 부진 이유라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하면서 대중국 제재가 더욱 강화한 것도 이유로 보고 있다. 반면 미국 생산·판매법인의 매출은 증가했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생산법인(파운드리) 삼성 오스틴 반도체(SAS)는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조2968억원, 423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226억원, 영업이익은 1674억원 늘었다. 미국 반도체 판매법인 삼성 반도체(SSI)의 매출은 같은 기간 17조7267억원에서 22조7204억원으로 28.2% 증가했다. 이는 빅테크를 중심으로 생산과 판매·영업을 확대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서버·데이터센터 투자를 늘리면서 AI 반도체 수요 급증으로 인한 수혜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고객 확보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2025-08-17 15:57:11
BYD, 韓 시장에 '씰' 재고떨이 논란 잡음…"투 트랙 운영해 사실 무근"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가 한국에 자국(중국)에서 팔리지 않은 자동차 재고를 판매한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내수 시장과 수출 시장의 제품 전략을 분리해 고객에게 인도한다고 선을 그었다. 전문가들은 BYD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29일 BYD에 따르면 최근 일각에서 BYD 씰(SEAL) 구형 모델이 국내에 판매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일 BYD는 고성능 중형 세단 씰 다이내믹 AWD 모델 판매가를 확정하며 국내 고성능 중형 전기차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했다. 하지만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모델이 3년 전 중국에 출시됐던 모델이라는 의혹을 제기하며 국내에 재고떨이로 재판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에 출시한 씰이 지난해 8월 중국에서 공개한 부분 변경(페이스 리프트) 신형 모델이 아니라 지난 2022년 7월 공개한 구형 모델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같은 의혹에 BYD코리아는 판매 국가 별로 법적 규제나 인증 요건, 도로 환경과 소비자 니즈를 반영해 중국 내수 차량과 수출용 차량을 철저히 구분해 개발, 생산한다고 해명했다. BYD 관계자는 “기존 완성차 브랜드들이 신차를 출시하고 나서 1년 내 전 세계 시장에 동일한 모델을 공급하는 것과 달리 BYD는 중국 내수 시장과 수출 시장의 제품 전략을 철저히 분리한다”고 해명했다. 이어 “한국 시장에 출시되는 씰은 단순 과거 모델이나 미판매 재고 차량이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 요구하는 인증 기준과 고객 수요를 고려한 한국 시장만을 위한 모델”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중국에서 판매 중인 씰은 내수 전용으로 개발된 차량으로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에서는 판매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 골자다. 향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모델은 각국의 요구사항과 인증 기준에 맞춰 제품을 개발한 이후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라는 것이 BYD코리아의 설명이다. 또한 중국 내 모델에 탑재된 최신 주행 보조 시스템인 신의 눈이 한국 모델에 적용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각국의 법과 인증 요건, 운행 환경 등 다양한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개별 시장에 최적화한 모델 개발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29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 3월 국내 출시된 아토3는 현재까지 1280대가 판매되며 나름 선방했다. 씰의 사전계약 대수가 공식적으로 밝혀지진 않았지만 구형 출시 논란이 고객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자동차는 운전자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시각적인 요소인데 혐중 감정이 있는 가운데 논란이 겹치면 소비자 인식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BYD는 이같은 감정을 해소하는 방법을 적극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가격 경쟁력이 좋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려는 수요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2025-07-29 17:29:3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DL·대우·현대건설 줄줄이 사망사고… 정부, 입찰금지·과징금 정조준
4
슈카월드가 쏘아올린 '빵값 논쟁'…가격 형성 핵심 요인은
5
KT·LGU+ '김수키 해킹' 의혹 증폭…정부 "정밀 분석 중" 뒤늦게 밝혀
6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7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8
[K-제약, 뷰티 트렌드①] '먹는 화장품 시대'...제약업계, 신성장 동력으로 이너뷰티 선택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