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8 월요일
맑음
서울 20˚C
맑음
부산 24˚C
맑음
대구 23˚C
맑음
인천 22˚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1˚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21˚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중국수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트럼프 관세 속 5월 수출 1.3% '뚝'…미·중 수출 8%대 감소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으로 세계 무역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지난달 한국의 수출 물량이 전년버다 1.3% 감소하며 수출 증가율이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5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5월 수출액은 572억7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1.3% 감소했다. 양대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은 각각 8.1%, 8.4% 줄었다. 미국 수출의 경우 트럼프 관세가 한국 수출에 끼치는 영향이 커진 것으로 평가된다. 주력 수출 상품인 자동차 수출은 30% 이상 수출액이 급감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뒷걸음쳤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첫 달인 지난 4월 19.6% 감소한 데 이어 지난달 감소율이 10%포인트 이상 커진 것이다. 자동차에 앞서 미국이 지난 3월부터 25% 관세를 매긴 철강 대미 수출도 5월 20.6% 감소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미국 관세 조치가 세계 경제와 우리 수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같은 자동차 수출의 급감 속에서도 이차전지(33.6%)와 석유제품(23.1%) 등 품목의 수출은 호조세를 보여 대미 수출 감소율이 그나마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이와 함께 지난달 한국 최대 교역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함께 줄어들었다. 지난 5월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서 반도체(-14.6%)와 석유화학(-11.4%) 등 중간재로 구분되는 상품의 수출이 크게 감소했다. 트럼프 관세와 미·중 대립 지속 상황에서도 지난달 한국 수출은 양호한 반도체 경기와 기업들의 절박한 수출 다변화 노력 등이 더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지역적으로는 자동차 등 분야 기업들의 EU로의 수출 전환 노력도 상당한 충격 완화에 기여했다.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 감소에도 EU로의 수출은 자동차, 반도체를 중심으로 4.0% 증가한 60억 달러를 기록해 3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특히 EU로의 자동차 수출이 전기차를 중심으로 37.6% 증가했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에 따른 영향이 시간이 갈수록 더 선명해질 것"이라며 "기업들이 나름대로 임시 조치 등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고 있지만 지금보다 더 힘든 상황이 예상돼 여파가 확산하기 전 미국과의 관세 협의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2025-06-01 14:28:2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슈카월드가 쏘아올린 '빵값 논쟁'…가격 형성 핵심 요인은
4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5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6
[K-제약, 뷰티 트렌드①] '먹는 화장품 시대'...제약업계, 신성장 동력으로 이너뷰티 선택
7
인천공항사고로 드러난 공기업산재 실태… 이학재사장 책임론 확산
8
삼성전자·LG전자, 로봇청소기 보안 이끌지만…국내 제도는 여전히 미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