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1 수요일
맑음
서울 23˚C
맑음
부산 23˚C
맑음
대구 23˚C
맑음
인천 22˚C
흐림
광주 22˚C
맑음
대전 25˚C
맑음
울산 24˚C
맑음
강릉 23˚C
맑음
제주 24˚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전력변환시스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電'代未聞 코너에서는 그동안 헷갈리셨을 만한, 또는 한 주간 이슈가 됐던 '전'자에 '대'한 '미'더운 소식을 '문'제 없이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자 관련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은 전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과거 정전이나 전력 복구를 위해 며칠이 걸리고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인데 ESS는 생산된 전기가 적재적소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각 가정에서 ESS를 설치하게 되면 발전소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정전이 되는 등 극단적인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지난 5월 '글로벌 ESS 시장 전망' 리포트에 따르면 ESS는 그린에너지 전환과 전력시장 안정화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고 밝혔다. 그중 리튬이온 배터리를 활용한 ESS는 배터리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전력 변환 시스템(PCS),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로 구성된다.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배터리와 다양한 전자 시스템을 하나로 묶었다고 볼 수 있다. 배터리는 ESS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대규모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기통신(IT) 제품에 비해 셀의 개수와 용량이 훨씬 많다. 이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모듈과 랙의 형태로 탑재된다. 셀을 여러 개 묶은 것이 모듈이며, 모듈을 여러 개 연결한 것이 랙이다. BMS는 셀의 전압과 전류, 온도 이상을 감지해 이상이 있을 때 충전과 방전을 멈춘다. ESS는 많은 배터리를 장착하기에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수천개 혹은 수만개의 셀을 하나처럼 움직이도록 관리해야 해서다. PCS는 전기의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데 충전 시에는 송배전을 통해 흐르는 전기를 배터리에 맞게 변환하며 방전 시에는 사용자에 맞게 스스로 변환한다. 이로써 PCS는 전기의 형태를 목적에 맞게 변환해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전기 사용이 되도록 돕는다. EMS는 ESS전체의 전기량을 살펴보는 시스템으로 운영 소프트웨어로 보면 된다. BMS가 배터리를 관리하는 장치라면 EMS는 랙 전체를 관리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2025-08-16 06: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3
"근로자도 안전의무 위반 시 제재 필요"…건설안전특별법 논의 확산
4
국정자원 화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서 발화...화재 발생 원인 '촉각'
5
네이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자회사로 편입…주식교환 추진
6
'행정부판 카카오 사태', 예산에 막힌 정부의 '절반짜리' 재난 대비
7
강태영號 농협은행, 디지털 기반 체질 개선 속도…건전성 지표 '파란불'
8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금융권 총파업, '1억 연봉' 앞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