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7 일요일
흐림
서울 25˚C
맑음
부산 24˚C
구름
대구 23˚C
흐림
인천 26˚C
구름
광주 24˚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5˚C
흐림
강릉 26˚C
맑음
제주 2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자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FDA, 가바펜틴·프레가발린 '자살 사고 경고' 추가
[이코노믹데일리]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신경통과 간질 치료 등에 쓰이는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 계열 약물인 ‘가바펜티노이드’에 대해 새로운 안전성 경고를 추가했다. 이번 경고에는 치료 중 뿐만 아니라 약을 중단한 뒤에도 자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7일 FDA에 따르면 지난 6월 가바펜티노이드 계열 약물 제조사들에 제품 라벨 변경을 공식 통지했으며 이에 따라 △뉴론틴 △리리카CR △호리존트 △그랠리즈 등의 약물 라벨이 개정된다. 기존에도 항경련제 계열 약물이 복용 중 자살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FDA는 이번 개정을 통해 약물 중단 후에도 자살 사고와 행동이 보고됐다는 점을 새롭게 명시했다. 이에 FDA는 "환자가 약을 끊는 경우에도 기분 변화나 자살 관련 징후를 세심히 살펴야 한다"며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지 말고 최소 1주 이상 서서히 줄여야 한다는 지침도 새로 추가됐다"고 말했다. 라벨 변경에는 자살 사고 경고뿐 아니라 금단 증상과 신생아 금단 증후군 위험도 포함됐다. 프레가발린과 가바펜틴을 갑자기 중단할 시 불면, 불안, 구역, 두통, 심한 경우 우울증과 자살 사고가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가 FDA에 접수됐다. 또한 산모가 분만 직전에 오피오이드(마약성 진통제)와 함께 가바펜틴노이드를 투여받으면 신생아 금단 증상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도 새로 추가됐다. 국내 츨시 된 프레가발린과 가바펜틴 성분이 포함된 의약품은 △삼진제약 뉴로카바피지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뉴로펜틴캡슐 △종근당 가바렙캡슐 △한미약품 프레발린 △보령바이오파마 가바프로캡슐 △대웅바이오 리리베아 △셀트리온제약 리프레가 △비보존제약 뉴바틴캡슐 △동아에스티 동아가바펜틴캡슐 △일동제약 메가펜틴캡슐 △HLB제약 씨트펜틴캡슐 △HK이노엔의 카발린 등이 있다.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개정 사항에 대해 식약처 권고가 있을 경우 이에 따라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현재 정보 안정성 정보를 수집해 검토 중이다"며 "검토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경우 반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상황에 대해 해외 안전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어 인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5-08-07 10:41:23
밴스 美부통령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는 자살행위"
[이코노믹데일리]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미국이 이란과 전쟁 상태에 있지 않으며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의 전쟁 상태에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밴스 부통령은 22일(현지시간) 미 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이뤄진 미국의 이란 핵 시설 공격의 성과로 이란 핵 프로그램을 상당히 지연시킨 것을 꼽으면서 앞으로 영구 해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밴스 부통령은 "우리가 한 일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파괴한 것"이라며 "우리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후퇴시켰다고 생각한다"라고 평가했다. 이란이 보복 공격을 할 경우 미국의 대응에 대해선 "궁극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될 것"이라면서 "하지만 우리가 이란에 말한 것은 우리가 이란과의 전쟁을 원치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밴스 부통령은 "우리는 이란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갖지 않는 맥락에서의 평화를 원한다"며 "이란이 미군 공격을 배제하고 핵무기 프로그램을 완전히 포기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명확히 했듯 우리는 이란과 좋은 관계를 가질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 후 이란은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 공격을 했지만 중동 주둔 미군 기지를 향해서는 지금까지 보복 공격을 감행하지 않은 상태다.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에 대한 이란의 봉쇄가 '레드라인'이 될 것이냐는 질문에 그는 "우리의 가장 큰 레드라인은 이란의 핵무기 프로그램"이라고 답한 뒤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판단했다. 밴스 부통령은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대해 "그것은 이란인들 입장에서 자살 행위"라며 "이란의 전체 경제는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돌아가고 있다. 그것(해협 봉쇄)은 전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언급한 대로 미국은 이란에 지상군을 파병하거나 이란의 정권교체를 원하지 않는다면서 "이란과 장기적 분쟁 종식을 논의하고 싶다"고 밝혔다.
2025-06-23 10:49:2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서희건설, 부사장 '385억 부풀리기' 13억대 횡령…특검·상폐 위기 겹악재
2
삼성·LG, 디스플레이 '왕좌의 대결'…"같은 듯 달랐다"
3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 논란… "법치주의 무시한 발언" 반발 확산
4
희비 엇갈리는 '1세대 K-뷰티'…팔리거나 혹은 버티거나
5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6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7
정부, '건설사 중대재해' 매출 3% 과징금 추진…"안전투자 늘려도 사고 못 막아"
8
특검 칼끝 겨눈 서희건설… 지주택 성장 뒤에 쌓인 민원과 의혹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