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이찬우號 농협금융, 1분기 첫 성적 '선방'…전년 比 10.7%↑
[이코노믹데일리] NH농협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 실적이 공개된 가운데 핵심 자회사인 농협은행의 순이익이 크게 오르면서 그룹 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30일 농협금융의 경영실적 공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714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6448억원)보다 10.7%(692억원) 증가한 수치다. 그룹의 1분기 이자이익은 2조6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1324억원) 감소했다. 반면 은행·증권 등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방카슈랑스, 전자금융 및 투자금융 관련 수수료이익 성장에 힘입어 비이자이익은 증가했다. 비이자이익은 5971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8.3%(925억원), 수수료이익은 47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1%(287억원) 각각 증가했다. 대출이나 채권 부실화에 대비해 미리 적립해두는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2211억원, 충당금적립률은 169.2%로 전년 동기 대비 35.5%p 감소했다. 다만 건전성은 악화했다. 자산 건전성 지표이자 회수에 문제가 발생한 여신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의 비율은 0.72%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0.16%p 증가했다. 전년 말과 비교해서도 0.04%p 증가했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각각 0.59%, 9.16%를 기록했다. 전 분기보다 ROA는 0.07%p, ROE는 1.18%p 상승한 수치다. 농협금융의 핵심 자회사인 농협은행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4215억원) 대비 31.53% 증가한 5544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이자이익은 1조9829억원에서 1조845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370억원가량 줄었다. 비은행 계열사들은 모두 전년보다 감소하며 아쉬운 성적을 보였다. NH투자증권은 7.67% 줄어든 2082억원, 농협생명은 16.96% 감소한 651억원, 농협손해보험은 61.80% 감소한 204억원, 농협캐피탈은 3.68% 줄어든 15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그밖에 농업·농촌 지원을 위한 농업지원사업비는 1625억원, 취약계층 및 지역 소외계층 등 지원을 위한 사회공헌금액은 485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최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부동산PF 시장, 금리 정책 불확실성, 무역 갈등 심화 등 점증하고 있는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안정적인 경영사업 기반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2월 취임한 이찬우 농협금융 회장은 임직원에게 고객 신뢰, 리스크 관리, 금융혁신 등을 중점으로 강조하면서 그룹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지난 10일엔 최고경영자(CEO) 메시지를 통해 "고객의 신뢰 없이 금융회사의 미래는 없다"며 "우리 모두가 내부통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금융사고 예방을 최우선으로 실천한다면 농협금융은 더 강한 조직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협금융은 매주 1회 임직원에 윤리·준법 교육을 실시하고, NH윤리경영 자가진단이나 참여형 캠페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해 농협금융 기업문화 변화를 유도하겠단 방침이다. 최근엔 모든 계열사 디지털 부문 최고 책임자들을 소집해 디지털 전환 관련 최고협의회를 개최했다. 자사 금융 플랫폼인 'NH올원뱅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범농협 계열사 간 협업 및 차별화된 서비스를 당부했다. 아울러 경제지주·농축협·공공기관·외부 혁신기업과도 다각적으로 협업해 서비스 영역을 적극 확장하는 등 고객 중심의 플랫폼 혁신을 가속할 계획이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윤리 준법 경영과 내부통제 및 소비자보호체계를 강화해 고객 권익 보호를 실천하겠다"며 "최근 발생한 영남 산불 복구를 위해 농작물·가축재해 보험 신속 심사·지급, 재해기업 긴급경영안정 자금 지원 등 사회적 책임 이행과 농협금융 본연의 역할인 농업·농촌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2025-04-30 18:05:52
-
-
IBK기업은행, 중소기업 ESG 경영 지원
[이코노믹데일리] IBK기업은행은 '기본에 충실한 지속가능은행'이라는 비전 아래 ESG 경영을 적극 실천하며, 중소기업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전 사업 분야와 경영 활동에 ESG 가치를 내재화하고, 중소기업의 ESG 전환 지원을 확대하며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는 등 ESG 경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금융공공기관 최초로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신설해 기후, 환경 및 ESG 리스크 전반을 관리·감독하고 있다. 또한 2040년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하고 단계적 이행을 통해 ESG 경영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금융권 최초로 환경경영·에너지경영 국제표준인증(ISO 14001, ISO 50001)을 동시에 획득하며 ESG 경영 실천을 위한 체계적인 내부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정책금융기관 최초로 '탈석탄금융 경영원칙'을 수립해 석탄발전 관련 산업에 대한 신규 PF·채권 투자를 배제하는 등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기후 리스크를 평가·관리하고, 탄소중립 목표 국제 인증(SBTi)을 획득해 ESG 경영의 공신력을 확보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과 확산을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맞춤형 ESG 교육, 무료 자가진단 도구, ESG 컨설팅 등을 통해 ESG 경영 역량 강화를 돕고 있다. 특히 EU 공급망 실사 등 규제 대응이 시급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 컨설턴트의 현장 실사를 통한 ESG 평가 등급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ESG 정밀 진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를 통해 금융기관 최초로 중소기업 CEO들의 구인난 해소를 지원하고 있으며, 누적 22만2994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IBK기업은행은 'OECD 지속가능 중기금융 플랫폼' 공동의장으로 참여해 중소기업의 지속가능금융 지원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기후변화공개협의체(TCFD), 탄소회계금융협의체(PCAF) 등 주요 ESG 경영 표준 도입 및 이니셔티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ESG 생태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탄소배출권 최고 전문기관인 World Bank와 협력 체계를 구축해 신사업 동력을 확보하고, 탄소가격 시스템 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4-12-17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