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0 수요일
구름
서울 18˚C
비
부산 21˚C
흐림
대구 20˚C
맑음
인천 21˚C
흐림
광주 21˚C
흐림
대전 20˚C
흐림
울산 20˚C
비
강릉 20˚C
흐림
제주 2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일반은행'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 4% 넘어…20년 만에 최고치
[이코노믹데일리] 일반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금융권과 2금융권 모두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신용 점수가 낮은 취약 차주들이 상대적으로 이자율이 높은 단기 카드 대출을 이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2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일반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4.2%로 전월(3.6%) 대비 0.6%p 상승했다. 이는 2005년 5월(5.0%)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일반 은행은 금융지주 계열 카드사를 보유한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과 특수은행(IBK기업은행 등)을 제외한 나머지를 말한다. 4대 은행은 카드사를 분사한 만큼, 시중은행으로 바뀐 iM뱅크를 빼면 대부분 광주·경남·부산·전북은행 등 지방은행이 포함된다. 카드 대출은 단기간에 현금을 융통할 수 있는 현금 서비스와 장기 대출인 카드론 등을 모두 포함한다. 하루 이상 원금을 갚지 못한 경우를 기준으로 한 일반 은행 카드 대출 연체율은 2023년 12월 2.8%에서 지난해 1월 3.0%로 올라선 뒤 계속 3%대를 유지해 왔다. 지난해 10월과 11월엔 연달아 3.4%를 기록한 뒤 12월 3.1%로 주춤했으나 올해 1월 3.5%, 2월 3.8%를 기록하면서 급등 조짐을 보였다. 이어 3월 3.5%, 4월 3.6%로 나타나다 5월 4.2%로 단숨에 치솟은 것이다. 이런 배경엔 고위험 차주들이 1·2금융권 대출 문이 좁아지자, 마지막 수단으로 카드대출에 몰려가 상환 능력을 초과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실제 1금융권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안정적이고 신용점수가 높은 차주들 위주로 신용대출을 내주고 있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도 자산 건전성 관리를 이유로 신규 대출 영업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실제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지난 5월 말 95조7067억원으로, 2021년 10월(95조5783억원)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2025-07-24 10:29:4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I 자존심 굽힌 애플, '제미나이'로 시리 구한다…핵심 인재는 '이탈'
2
통신 3사 총체적 보안 붕괴… SKT 유심 유출 · KT 결제 해킹 · LGU+ 해킹 의혹
3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4
[2025 건설포럼] 건설 산업 규제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 해법…10일 국회서 논의
5
[K-뷰티, 새 지평 열다] ① K-이너뷰티, 세계를 먹고 바르고 연결하다
6
인천공항사고로 드러난 공기업산재 실태… 이학재사장 책임론 확산
7
롯데건설 김해 현장서 또 사망사고…5년간 16명 숨졌다
8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 칼럼] 기관장 임기 대통령과 함께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