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5 금요일
흐림
서울 29˚C
흐림
부산 33˚C
흐림
대구 33˚C
흐림
인천 27˚C
맑음
광주 32˚C
흐림
대전 33˚C
구름
울산 32˚C
구름
강릉 31˚C
흐림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유아용'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기준치 157배 초과"…해외직구 어린이 청바지서 유해 물질 검출
쌓여있는 직구 물품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서울시는 해외직구 플랫폼(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섬유 제품·완구 41종을 검사한 결과, 어린이 청바지에서 국내 기준치를 157배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고 28일 밝혔다. 여아 청바지의 고무 단추에서 검출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국내 기준치 157.4배를 초과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남아 청바지 주머니 감과 여아 치마 원단에서는 각각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 대비 1.2배, 1.02배 초과 검출됐다. 폼알데하이드는 피부나 점막을 침해하고 호흡기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유아용 섬유 제품에서는 납, 카드뮴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유아 블라우스의 브로치에서는 납이 기준치 대비 1.7배, 카드뮴은 기준치 대비 1.8배를 초과했다. 이외에도 마감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여아 치마, 원단의 산성도(pH) 수치가 높아 피부 자극성이 있는 유아 레깅스 등 위험한 제품들이 발견됐다. 서울시는 부적합 판정 제품에 대해 플랫폼에 판매 중단을 요청했으며 오는 5월 어린이날을 앞두고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완구 품목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나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2025-03-28 13:37:0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서희건설, 부사장 '385억 부풀리기' 13억대 횡령…특검·상폐 위기 겹악재
2
삼성·LG, 디스플레이 '왕좌의 대결'…"같은 듯 달랐다"
3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 논란… "법치주의 무시한 발언" 반발 확산
4
희비 엇갈리는 '1세대 K-뷰티'…팔리거나 혹은 버티거나
5
포스코이앤씨 공사 전면 중단…협력업체·주택공급 '비상'
6
이재명 정부, 'AI 고속도로' 구축 공식화…2030년 세계 3대 AI 강국 목표 제시
7
정부, '건설사 중대재해' 매출 3% 과징금 추진…"안전투자 늘려도 사고 못 막아"
8
특검 칼끝 겨눈 서희건설… 지주택 성장 뒤에 쌓인 민원과 의혹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개미지옥? 그보다 더한 '기업지옥'...누굴 위한 세제개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