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23 화요일
맑음
서울 27˚C
흐림
부산 25˚C
흐림
대구 27˚C
맑음
인천 25˚C
흐림
광주 27˚C
흐림
대전 25˚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3˚C
흐림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유럽당뇨병학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한미약품, 세계 최초 '근육 증가 비만 신약' 기전 규명…비만치료 패러다임 전환 기대
[이코노믹데일리] 한미약품이 세계 최초로 근육 증가 효과를 가진 비만 신약 HM17321의 작용 기전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15일~19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제61회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HM17321, 삼중작용제 HM15275, 경구용 GLP-1 신약 HM101460 등 비만 혁신 신약 파이프라인 3종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주요 발표 내용은 △HM17321의 근육 성장 및 대사 개선 효과를 뒷받침하는 골격근 단백체 분석 △HM17321의 비만 영장류 모델에서 체중 감량 효능 및 설치류 모델에서 인크레틴 병용 효능 △HM17321의 체성분 개선, 에너지 소모 및 대사 건강 증진 효과 입증 △혈액단백체 기반 HM17321의 근육 및 골격 건강에 대한 잠재적 이로운 효과 △HM15275의 강력한 항비만 효과에 대한 기전적 통찰 △HM101460의 경구용 GLP-1 작용제 가능성 입증 등이다. 이번 학회에서는 전해민 한미약품 R&D센터 임상이행팀장이 구연 세션에서 HM17321을 투약한 동물 모델의 근육 단백체 연구를 통해 분자생물학적으로 근육 증가 기전을 규명하고 대사 적응을 통한 혈당 조절 효과를 입증한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HM17321은 CRF2(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2) 수용체를 타깃하는 신개념 UCN2(Urocortin-2) 유사체로 기존 GLP-1 계열 약물이 가진 근손실 한계를 극복했다. 연구 결과 HM17321은 mTOR(라파마이신 표적 단백질) 경로와 대사 적응을 통해 근육 성장과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만 영장류 모델에서는 체중 감량·제지방 보존·혈당 개선·혈압 강하 등 다중 효능도 입증됐다. 또 다른 파이프라인인 HM15275는 GLP-1·GIP·GCG 삼중작용제로 세마글루타이드·터제파타이드 대비 우수한 체중 감소 및 대사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장기 투약 연구에서는 레타트루타이드보다 강력한 감량 효능과 근육 보존 효과를 보이며 차세대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 후보로 주목받았다. 이번 학회에서 처음 공개된 HM101460은 지속적인 약효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G-단백질 편향 활성을 나타냈으며 초기 개발 단계에서 연구 방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전해민 한미약품 R&D센터 임상이행팀장은 “HM17321은 '지방 감량+근육 증가+대사 개선'을 동시에 구현하는 세계 최초 First-in-Class 비만 혁신 신약으로 임상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며 “비만·대사질환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9-23 09:41:56
"한국산 위고비 만든다" 한미약품, 글로벌 시장 '게임 체인저'로 주목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제약사가 장악한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한미약품이 독자 기술과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앞세워 도전에 나섰다. 18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은 2023년 66억8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48.4% 성장해 2028년에는 4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시장에선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가 양분하고 있는 가운데 한미약품의 경우 국내 제약사 가운데 비만치료제 개발 경쟁에서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시장 선점까지 노리고 있다. 한미약품은 단순 체중 감량을 넘어 대사 개선과 근육량 증가까지 아우르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입지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핵심 파이프라인은 하반기 글로벌 임상 2상 진입을 앞두고 있는 HM15275이다. HM15275는 GLP-1를 주성분으로 하는 현재 비만치료제와 달리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CG)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제 치료제로 체중 감소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대사 개선 효과와 적은 부작용까지 노린다. 업계에서는 HM15275가 글로벌 빅파마가 주도하는 차세대 비만치료제 경쟁에서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보고 있다. 내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에페글레나타이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미약품의 혁신 플랫폼 기술인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국산 첫 GLP-1 계열 비만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한국형 체중 감량 효과와 함께 심혈관 질환 보호 효능까지 입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국내에서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며 연내 종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경구용(먹는)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후보물질 ‘HM101460’은 생체 내 약효가 오래갈 수 있도록 G단백질 편향성을 강화했고 체내에서 긴 약효 지속성이 특징이다. 현재 전임상 단계이며 주사제 중심의 GLP-1 계열 시장에서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다른 차별화된 파이프라인인 ‘HM17321’은 체중 감량과 근육 증가를 동시에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치료제 후보물질이다. 기존 비만치료제가 체중 감량에 치중했다면 HM17321은 근육량 유지·증가라는 새로운 임상 가치를 더해 비만 환자의 건강한 체중 관리와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편 한미약품은 오는 19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HM15275를 비롯해 HM17321와 HM101460 등 총 6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업계 관계자는 “한미약품은 다양한 제형과 다중 기전을 활용한 파이프라인으로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면서 “특히 국산 최초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를 상용화할 시 상징성과 함께 향후 기술수출(L/O), 글로벌 임상 확대, 상업화 파트너십 등에서 한미약품의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2025-09-18 16:23:37
'체중 감량을 넘어 근육 강화까지'…한미약품 비만 신약 주목
[이코노믹데일리] 한미약품이 차별화된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 성과를 토대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다음달 15일부터 5일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 신개념 비만치료제 치료제 HM17321, 경구용 비만치료제 HM101460 등 1건의 구연 발표를 포함한 총 6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주요 발표 내용은 △HM15275의 강력한 항비만 효과에 대한 기전적 통찰 △HM17321의 근육 성장 및 대사 개선 효과를 뒷받침하는 골격근 단백체 분석 △HM17321의 비만 영장류 모델에서 체중 감량 효능 및 설치류 모델에서 인크레틴 병용 효능 △HM17321의 체성분 개선과 에너지 소모 및 대사 건강 증진 효과 입증 △혈액단백체 기반 HM17321의 근육 및 골격 건강에 대한 잠재적 이로운 효과 △HM101460의 경구용 GLP-1 작용제 가능성 입증 등이다. HM15275는 식욕 억제와 대사 촉진 기전을 통해 체중 감량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근 손실을 최소화하는 신약으로 기존 치료제 대비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2상 시험계획을 제출했다. HM17321은 근육량 증가와 지방의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세계 최초 신개념 비만 치료제다. 비만 영장류 연구에서 체중 감량과 체성분 개선, 혈당 및 심혈관 기능 개선까지 입증했으며 FDA 임상 진입도 준비 중이다. 또한 한미약품은 이번 학회에서 HM17321의 근육 증가 기전과 임상 적용 가능성을 세계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한미약품은 "단순 감량을 넘어 질적 개선과 치료 지속성, 근육 보존까지 고려한 혁신적 포트폴리오"라며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해 미충족 수요를 충족하는 차세대 치료제를 개발하겠다"고 전했다.
2025-08-24 15:40:5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지스타 2025' 참가사 확정…엔씨·넷마블·크래프톤 참가, 넥슨은 불참
2
엔비디아, 인텔에 50억 달러 투자…차세대 칩 동맹 본격화
3
유튜브, AI로 '영상 제작·수익화' 혁신…텍스트만으로 '숏츠' 생성
4
애플 계정 무단 결제, 범인은 '휴면 계정' 노린 해커…애플, "시스템 해킹은 아냐"
5
KT '소액결제' 피해 362명·2억4000만원으로 늘어…IMSI 이어 IMEI·전화번호 유출 정황
6
카카오, AI·SNS 입은 '새 카카오톡' 공개…23일 이프카카오 개막
7
롯데GRS·커피빈도 가세…가성비 커피 시장, 품질 경쟁 시험대로
8
정상혁 신한은행 행장, 상반기 실적 1위 지켜냈지만...자산 건전성은 '빨간불'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디스플레이, 위기 속 골든타임…다시 기술과 신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