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4 화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10˚C
맑음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맑음
대전 9˚C
흐림
울산 12˚C
맑음
강릉 10˚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웹툰화'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네이버웹툰, 디즈니 이어 美 '붐!스튜디오' 파트너십 확장…'IP 제국' 가속
[이코노믹데일리] 나스닥 상장에 성공하며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한 네이버웹툰이 ‘IP(지식재산) 제국’ 건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디즈니와의 대규모 협력에 이어 미국 유명 만화 출판사 ‘붐!스튜디오(Boom! Studios)’와도 손을 잡았다. 이는 상장 당시 투자자들에게 약속했던 성장 전략을 본격적으로 이행하고 북미 시장의 압도적인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행보다. ◆ 디즈니·다크호스 이어 ‘붐!’까지…IP 동맹 확장 5일 웹툰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은 최근 ‘붐!스튜디오’와 콘텐츠 제작 협업 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섬싱 이즈 킬링 더 칠드런(Something is Killing the Children)’ 등 붐!스튜디오의 인기작 4편이 네이버웹툰의 장기인 세로 스크롤 방식의 웹툰으로 새롭게 제작된다. 이는 네이버웹툰이 최근 공격적으로 펼치고 있는 북미 ‘IP 동맹’ 전략의 연장선이다. 네이버웹툰은 지난 9월 디즈니와 100여 편의 만화를 웹툰화하는 대규모 파트너십을 발표했으며 앞서 6월에는 ‘헬보이’로 유명한 다크호스 코믹스, 4월에는 ‘트랜스포머’의 IDW퍼블리싱과도 손을 잡았다. 이처럼 유력 IP 홀더들과의 연이은 협력은, 북미 시장의 검증된 IP를 웹툰 생태계로 흡수해 단숨에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확장하려는 명확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 ‘키아누 리브스 만화’도 웹툰으로…왜 ‘붐!’인가 이번 파트너인 붐!스튜디오는 배우 키아누 리브스가 직접 제작에 참여해 화제를 모은 만화 ‘BRZRKR’와 ‘럼버제인스(Lumberjanes)’ 등을 보유한 미국의 대표적인 만화·그래픽노블 출판사다. 특히 붐!스튜디오는 창작자 중심의 독창적인 오리지널 IP 개발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2차 창작(영화, 드라마 등)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웹툰의 이번 선택은 단순히 인기작을 수급하는 것을 넘어 향후 영상화 등 ‘원 소스 멀티 유즈(OSMU)’ 전략에 유리한 원천 IP를 선점하겠다는 장기적인 포석이다. 네이버웹툰의 이러한 공격적인 IP 확보 전략은 결국 나스닥 상장 이후의 기업 가치 증명과 직결된다.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압도적인 양과 질의 IP 라이브러리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유료 이용자 전환과 2차 사업 확대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북미 시장에서 맹렬히 추격하고 있는 상황에서 네이버웹툰은 검증된 현지 IP를 ‘웹툰화’하는 전략으로 격차를 벌리고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하겠다는 계산이다. K-웹툰의 성공 방정식을 역으로 적용해 미국 만화 시장의 판도까지 바꾸려는 네이버웹툰의 거대한 실험이 상장 이후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2025-10-05 12:19:21
웹툰 엔터, 2분기 영업손실 88% 축소…디즈니와 IP 파트너십 체결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웹툰의 본사이자 나스닥 상장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가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을 대폭 줄이며 수익성 개선에 청신호를 켰다. 특히 월트디즈니 컴퍼니와의 대규모 콘텐츠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한층 속도를 낸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12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 3억 4827만 달러(약 4889억원), 영업손실 876만 달러(약 123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으며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7909만 달러에서 88%가량 큰 폭으로 줄었다. 수익성 개선의 핵심 지표인 조정 EBITDA는 966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번 실적은 유료 콘텐츠, 광고, IP 사업 등 모든 부문이 고르게 성장한 결과다. 특히 만화 강국 일본에서의 선전이 유료 콘텐츠 매출 성장을 이끌었고 한국과 일본의 실적 호조가 광고 및 IP 사업 매출을 견인했다.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킨 것은 디즈니와의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이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자사 글로벌 플랫폼 '웹툰'에 디즈니 전용관을 열고 디즈니, 마블, 스타워즈 등의 대표 IP를 세로 스크롤 웹툰으로 선보인다. 기존 작품의 웹툰화는 물론 신규 오리지널 시리즈를 포함해 약 100편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이는 북미 대표 코믹스 출판사 IDW, 다크호스 코믹스와의 협력에 이은 대형 파트너십으로 북미 1위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행보다. 이러한 공격적인 IP 확보 전략은 신규 이용자 유입으로 이어지고 있다. AI 추천, 트레일러 영상 도입 등 앱 개편 효과가 더해지며 영어 웹툰 앱의 월간활성이용자(MAU)는 2분기 연속 19% 성장했다. '강철의 연금술사' 같은 일본 유명 만화를 웹툰으로 만들어 영어권에 출시하는 전략도 효과를 보고 있다. 김준구 웹툰 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엔터테인먼트 프랜차이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만화를 즐길 수 있는 최고의 디지털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용자들이 좋아하는 작품을 보다 손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플랫폼 환경을 구축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2025-08-13 10:38:3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가디스오더' 출시 40일 만의 좌초…카카오게임즈 '퍼블리싱 제국'의 구조적 한계 드러나
3
T1 vs KT, 롤드컵 결승서 '통신사 더비'…T1, 3연패·KT, 첫 우승 놓고 '격돌'
4
대우건설 원주 재개발 현장서 하청노동자 사망… 노동부, 중대재해법 수사 착수
5
60만 닉스·11만전자 부럽지 않은 HJ중공업…1년 새 10배 오른 코스피 '1등 주식'
6
'해킹 후폭풍' 통신업계 덮쳤다…SKT '수장 교체', KT '교체 수순'
7
거래소, 삼성·한국투자증권 공매도 미공개 내용 유출…"내부통제 구멍" 비판
8
어도어 vs 뉴진스 '전속계약 분쟁', 오늘 1심 선고…향방 주목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2025 APEC이 산업계에 남긴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