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16 수요일
비
서울 24˚C
흐림
부산 26˚C
비
대구 24˚C
흐림
인천 23˚C
비
광주 21˚C
비
대전 22˚C
비
울산 26˚C
비
강릉 26˚C
흐림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신임 회장'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김영만 e스포츠협회장, AESF 부회장 취임…'한국형 e스포츠' 아시아 표준화 나선다
[이코노믹데일리] 한국e스포츠협회 김영만 회장이 아시아 e스포츠의 운영과 정책을 총괄하는 아시아이스포츠연맹(AESF) 동아시아지역 부회장으로서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 이는 한국 e스포츠가 아시아 무대에서 단순한 참가국을 넘어 규칙과 표준을 주도하는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본격적인 신호탄으로 국산 게임의 글로벌 진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한국e스포츠협회는 김 회장이 지난 6월 30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5회 AESF 집행위원회 참석을 시작으로 2029년까지 4년간의 부회장 임기에 돌입했다고 7일 밝혔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가 공인한 아시아 유일의 e스포츠 국제기구인 AESF에서 부회장직을 맡게 됨에 따라 김 회장은 한국 e스포츠의 위상을 한 단계 격상시킬 중책을 맡게 됐다. 첫 공식 일정인 집행위원회에서 김 회장은 산티 로통 신임 회장 등 새 집행부와 만나 한국의 선진적인 e스포츠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소개했다. 특히 △공식 종목 선정 기관 운영 방식 △공정위원회 설치 및 운영 노하우 △선수 보호를 위한 세이프가딩 정책 △투명한 국가대표 선발 시스템 등 한국이 세계적으로 가장 고도화된 e스포츠 생태계를 구축하며 쌓아온 운영 사례를 공유하며 아시아 표준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는 향후 아시안게임과 같은 주요 국제대회에서 한국의 시스템이 표준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더 나아가 김 회장은 국산 게임의 글로벌 활성화를 위해 타 회원국과의 외교적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도 분명히 했다. 이는 국제 무대에서의 영향력을 활용해 국내 e스포츠 산업의 실질적인 이익을 도모하겠다는 의미다. 김영만 회장은 “이스포츠의 지속 성장 가능성이 활발히 논의되는 이 시점에 AESF 동아시아지역 부회장직을 맡게 되어 기쁘면서도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한국의 선진 운영 모델을 아시아 지역에 표준으로 정착시키고 국산 종목 활성화 등 국내 현안 해결을 위한 외교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제1, 2, 11대에 이어 12대 한국e스포츠협회장직을 수행하고 있는 김 회장은 국제이스포츠연맹(IESF) 글로벌 부회장, 항저우 아시안게임 선수단장 등을 역임하며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신뢰와 영향력을 쌓아왔다. 그의 이번 AESF 부회장 취임이 한국 e스포츠의 국제 외교력 강화와 산업 발전에 어떤 기여를 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5-07-07 13:11:03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 신임 회장 취임
[이코노믹데일리] (사)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는 조영기 신임 협회장이 10일부터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조 신임 회장은 앞으로 2년간 협회를 이끌며 국내 게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힘쓸 예정이다. K-GAMES는 지난 2월 주요 회원사들과 함께 정기총회를 열고 조 신임 회장을 차기 협회장으로 추대했다. 그의 임기는 오는 2027년 4월까지다. 조 신임 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많은 분들의 신뢰와 기대 속에 우리나라 게임산업을 대표하는 역할을 맡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K-GAMES가 게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조직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1966년생인 조 신임 회장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삼성전자와 삼성자동차에서 인사 업무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CJ그룹 회장실을 거쳐 2007년 CJ인터넷(현 넷마블)에 최고재무책임자(CFO)로 합류하며 게임 산업과 본격적인 인연을 맺었다. 이후 CJ인터넷게임즈(CJIG) 대표, CJ E&M 게임사업부문(넷마블) 대표를 역임하며 게임 개발, 운영, 사업 전반을 경험했다. 2014년에는 직접 게임 개발사 편플을 창업해 운영하기도 했으며 최근까지 네오위즈에서 경영고문을 맡는 등 게임 산업 현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췄다는 평가다. 또한 CJ ENM에서는 인사지원실장과 영화사업본부장을 지내며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에 대한 폭넓은 시각도 겸비했다.
2025-04-10 11:12:2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2
SK매직, 'SK인텔릭스'로 새 출발…"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
3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4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
5
iM금융, 디지털 전환 박차…'대화형 PB'로 하이브리드 금융혁신 나서
6
갤Z7 사전예약 하려다 '호갱'될라…단통법 폐지 후 '지원금 함정' 피하는 법
7
실적 성장세에도 中 수주량 절반인 K-조선, 돌파구는 친환경 전략
8
[콜마家 전쟁, 능력이냐 핏줄이냐] ④ 상법 개정안 통과, 전환점 맞은 오너 경영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