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08 목요일
맑음
서울 20˚C
맑음
부산 20˚C
구름
대구 21˚C
맑음
인천 19˚C
흐림
광주 22˚C
흐림
대전 22˚C
흐림
울산 20˚C
흐림
강릉 20˚C
맑음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수입규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트럼프 에너지 D-25, 자동차는 능동적 대처 가능...배터리 대응은?
[이코노믹데일리] 트럼프 정부 공식 출범까지 25일 남았다. 트럼프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폐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 기후협약 탈퇴 등 화석연료를 확장하고 재생에너지는 줄이는 정책을 예고했다. 전기차 산업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지만 전기차를 제외한 자동차 산업 전반은 오히려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반면 전기차 판매 둔화로 배터리 업계는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26일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자동차 산업을 활성화한다”며 “현대차·기아는 다양한 차종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전기차 손실을 상쇄할 수 있는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현대자동차가 발표한 당월 미국 판매량은 14만761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4% 높은 실적을 올렸다. 이중 하이브리드 차종의 전체 판매량은 2만1679대로 지난해 동기대비 64.9% 증가했다. 실제 한국무역협회가 지난 19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수출산업 경기 전망지수(EBSI) 조사 보고서’는 자동차·자동차부품 EBSI가 130.7로 수출 경기가 상당폭 호전될 것으로 전망했다. EBSI가 100보다 높을수록 다음 분기 수출이 좋을 것으로 전망하는 시각이 우세하다고 본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배터리 업계 전망은 정반대다. 이차전지를 포함한 전기·전자제품은 EBSI 100을 넘지 못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전자제품 EBSI는 85.3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 영향으로 수입규제·통상마찰 부담이 가중돼 수출 여건이 나빠질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산업연구원도 지난달 발표한 ‘2025년 경제ㆍ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이차전지 수출은 전기차 성장세 둔화로 올해보다 6.7% 감소할 것이란 예상을 내놨다. 이에 따라 IRA 축소 정책 실행으로 세제 지원이 줄어들 경우를 대비해 한국 기업들이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와 협상해 줄 정부가 없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국내외 투자를 전면적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기업들 스스로 플랜을 짜고 있어 대응 한계가 있다”면서도 “배터리 업계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신사업을 진출하는 동시에 연구개발(R&D)을 통해 중국 리튬인산철 배터리(LFP)나 미래 차세대 배터리 시장을 발굴해 반걸음 앞서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터리 시장의 침체가 일시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 원장은 “전기차 고급모델을 살 사람들은 이미 다 샀기 때문에 수요가 줄었다. 저가 모델은 배터리 단가가 낮으므로 감소한 것도 있다”며 잠깐 쉬어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정권 레임덕 들어가면 다시 배터리 시장이 활발해질 것”이라면서도 “그전까지 R&D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 R&D가 전 세계에서 밀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2024-12-26 11:00:3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KISA, SKT 해킹 관련 악성코드 8종 추가 발견… SKT '조사 중 사안'
2
성남지역 새마을금고, 1700억 부당대출 사고 발생
3
배터리 패권 경쟁 속 韓中 동맹 시동… 에코프로비엠, CATL과 협력 추진
4
이창용 한은 총재 "환율 하단 판단 일러…변동성 대응 중요"
5
SKT 이어 CJ까지…CJ올리브네트웍스 인증서도 해킹…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6
SKT 유심 사고에 '증권사'도 인증 중단…보안 강화 총력전
7
[유통가 사모펀드 쇼크] ④ 사모펀드 규제,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8
정부 "韓 의약품, 美 안보에 위협 아냐…관세 불필요" 공식 의견 제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