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
'친환경 제련소'로 탈바꿈… 영풍, 조업정지 끝내고 재가동 "환경·안전 중심 새출발 다짐"
[이코노믹데일리] 영풍 석포제련소가 지난 18일 '석포제련소 Re-Start 선포식'을 열고 조업정지 기간을 마무리했으며 환경·안전·사람·지역을 핵심 가치로 한 새로운 출발을 선언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선포식은 1개월 30일간의 조업정지 이후 공장 재가동을 앞두고 무사고·친환경 조업과 생산 혁신을 다짐하며 한 단계 발전된 제련소로 거듭나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석포제련소 임직원 약 500명, 주민·협력사 직원 약 100명과 박현국 봉화군수, 권영준 봉화군 의회 의장, 박창욱 경상북도의회 의원 및 지역 각계 인사가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제련소 도보 순회, OX 퀴즈대회, 선포식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임직원들은 제련소 1, 2공장의 주요 시설을 한 바퀴 돌며 새출발의 의지를 다지고 환경과 안전의 중요성을 다시금 되새겼다. 도보 순회를 마친 임직원들은 석포운동장에 모여O·X 퀴즈대회에 참여했다. 총 상금 300만 원이 걸린 이 프로그램은 환경과 안전에 관한 업무 지식과 상식을 임직원들이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됐다. 직원들은 사전에 배포된 150문항의 문제집을 바탕으로 일주일간 자율 학습을 진행한 뒤 퀴즈에 참여했으며 대회는 최종 생존 인원 수에 따라 상금이 차등 지급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를 통해 임직원들이 스스로 공부하며 보다 쉽고 즐거운 방식으로 환경·안전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진 선포식에서는 직원들이 함께 환경, 안전, 사람, 지역을 핵심 가치로 삼아 지속 가능한 제련소로 거듭나겠다는 '4대 비전'을 밝혔다. 친환경 설비 도입과 철저한 환경 관리로 낙동강과 자연을 지키겠다고 다짐했으며 예방 중심의 안전 시스템 강화를 통해 무재해 사업장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임직원이 존중받고 함께 성장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해 일하고 싶은 기업,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통해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이웃 기업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영풍석포제련소는 지난 2019년 4월 폐수를 무단배출하다 적발돼 조업정지 처분을 받았으나 이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벌였으며 2023년 대법원에서 최종 패소했다. 환경부는 지난 2월 26일부터 4월 24일까지 58일간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내렸으며 조업정지 기간 하루에 500톤(t) 안팎의 오염 지하수를 처리하도록 요구했다. 김기호 영풍 대표이사는 "석포제련소는 5년 전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탈바꿈했으며 환경투자가 마무리되면 더는 흠잡을 곳 없는 제련소가 될 것"이라며 "100년 이상 지속 가능한 제련소를 향해 임직원이 힘을 모을 것"이라 말했다.
2025-04-21 10:39:26
-
-
이틀 연속 '폭설'에 사고·결항 속출…설 귀성길 '비상'
설 전날인 28일 대설 경보가 발효 중인 경기도 오산시 경부고속도로 오산IC 부근에서 차량이 서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설 당일을 하루 앞둔 28일 이틀 연속 쌓인 눈으로 귀성길에 차질을 빚고 있다. 28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0시부터 금일 정오까지 내린 눈은 △제주 한라산 사제비 61.1㎝ △충북 진천 42.3㎝ △횡성 안흥 30.7㎝ △평창 면온 26.3㎝ △경북 봉화 석포 30.2㎝ △경기 안성 21.8㎝ △서울 관악 15.7㎝ 등으로 집계됐다. 산지에서는 △전북 무주 덕유산 25.9㎝ △강원 고성 향로봉 29.3㎝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어제부터 내린 폭설로 인해 용인경전철의 운행이 중단되거나 사고가 잇따랐다. 용인경전철 양방향 운행이 오전 8시 36분부터 통제됐다가 2시간 30분 후 오전 11시 10분부터 운행을 재개했다. 충남 서산시 지곡면 환성리 일대 도로에서 지난 27시 오후 7시 32분경 대기업 2곳의 통근버스 차량 9대가 눈길에 미끄러져 연쇄 추돌로 이어졌고 버스 운전자와 승객 등 48명이 부상을 입었다. 전날 오후 9시 3분경 평택시 익산평택고속도로 부여 방면 도로에서 빙판길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12중 추돌사고로 2명이 경상을 입었다. 폭설로 전국 산간 도로와 항로, 항공편도 막히면서 귀성객과 이용객이 불편을 겪었다. 제주 산간 지역은 누적 적설량이 130㎝를 기록하면서 한라산을 가로지르는 1100도로와 5·16도로, 중산간의 비자림로 등 산지 도로로 전면 통제됐다. 전남 구례 노고단, 진도 두목재, 화순 돗재와 삭재, 목포 다부재 등 높은 경사가 위치한 전남 고갯길 5곳도 통행이 제한됐다. 제주항여객터미널에서는 이날 모든 여객편을 결항했고, 전북 군산과 선유도 등을 오가는 5개 항로 운항도 중단됐다. 전남도 도서 지역을 통행하는 43개 항로 여객선 59척이 멈춰서면서 귀성객이 고립됐다. 인천의 경우 전날부터 14개 항로 여객선 운항을 통제하면서 섬 귀성객의 발이 묶였다. 인천운항관리센터 관계자는 "어제도 기상악화로 일부 항로 여객선이 운항하려다가 포기하면서 모든 항로가 전면 통제됐다"며 귀성객들은 선사에 여객선 운항 여부를 먼저 확인한 뒤 터미널에 나와달라"고 전했다. 항공기도 대다수 결항됐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에 따르면 오전 11시 기준 △인천공항 68편 △김포 5편 △김해 7편 △제주 16편 △청주 11편 등 결항된 항공편은 111편으로 집계됐다. 기상청은 "금일 오후 14시 기준 경기남부와 강원남부내륙·산지, 충청권, 전라권, 경상내륙, 제주도에 대설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시간당 1~4cm의 눈이 내리는 곳이 있다"며 "오는 29일까지 충청과 전라권에는 최대 15~20㎝, 전국 대부분 지역에는 최대 10㎝의 눈이 내릴 것"이라고 관측했다.
2025-01-28 14:5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