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요일
맑음 서울 21˚C
흐림 부산 25˚C
맑음 대구 24˚C
맑음 인천 22˚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1˚C
흐림 울산 25˚C
흐림 강릉 21˚C
흐림 제주 27˚C
금융

[기자수첩] 카드사 불황의 이면…'규제와 완화' 사이에서 균형을 잃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방예준 기자
2025-07-21 14:58:12
방예준 금융증권부 기자
방예준 금융증권부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카드사들이 연이은 규제와 수익성 악화에 직면하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대출 규제 강화는 곧바로 카드사 실적에 타격을 주고, 소비자 혜택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는 카드사의 핵심 수입원이다. 올해 초 진행된 인하 조치로 업계의 수익성은 약 1700억원가량 줄었다. 이를 방어하기 위해 카드사들은 카드론 등 대출 비중을 늘렸지만, 정부의 DSR 규제 강화와 카드론 신용대출 편입 결정에 또다시 제동이 걸렸다.
 
다급해진 카드사들은 자동차 할부금융, 리스, 프리미엄 카드, PLCC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지만, 가맹점 수수료 감소분을 만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업계 불황의 그림자는 소비자 혜택 축소로 고스란히 옮겨가고 있다. 인기 '알짜카드'는 사라지고, 무이자 할부 기간도 단축됐다. 이달 들어 NH농협카드만 6개월 무이자 할부를 유지 중인 실정이다.
 
카드사 입장에선 출구가 필요하다. 업계가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방안 중 하나가 '지급 결제 전용 계좌' 도입이다. 카드사를 종합 지급결제사업자로 확대해 자체 계좌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게 해달라는 주장이다. 은행권의 반발로 속도는 더디지만, 카드업계는 포기하지 않고 있다.
 
보험료 카드 납부 확대도 숙원 과제다. 보험료 카드 결제가 활성화되면 카드사 수수료 수익 증가와 동시에 소비자 편익까지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보험사들의 수수료 부담으로 활성화는 더디다.
 
신용카드 사업의 수익성과 소비자 혜택, 그리고 서민 자금 공급 기능은 서로 긴밀히 맞물려 있다. 규제만 늘어난다면 소비자 부담 역시 커질 수밖에 없다. 업계와 정부가 상생 금융을 위해 다시 한 번 균형점 찾기에 나서야 할 때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카드
한국토지주택공사
KB금융그룹_3
과실비율정보포털
DB그룹
KB국민은행_2
컴투스
우리은행
KB금융그룹_2
현대
신한은행
KB국민은행_3
우리은행
한화
KB국민은행_1
콜마
KB금융그룹_1
대신증권
삼성물산
NH농협은행
kt
IBK
하나금융그룹
미래에셋
우리은행
우리은행
하이닉스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