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1건
-
-
-
-
-
-
삼성SDI, 인터배터리서 '초격차 배터리 기술력' 대거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삼성SDI가 오는 15일부터 3일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한다.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2023에서 배터리 브랜드 PRiMX(프라이맥스)로 확대해 나아가는 사물 배터리(BoT·Battery of Things) 애플리케이션(앱) 라인업을 공개하고 차별화된 초격차 기술력을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 삼성SDI는 부스 중앙 코어테크놀로지(Core Technology)존을 중심으로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 버튼 배터리 등을 전시한다. 전기자동차, 정보기술(IT)·웨어러블, 전동공구,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해당 배터리가 탑재된 주요 앱으로 공간을 구성한다. 삼성SDI는 배터리 기술력과 히스토리 등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고 일상생활에서 확산되고 있는 배터리에 대한 관람객 이해를 도울 계획이다. 코어테크놀로지 존에서는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혁신적 구조설계, 고효율 급속 충전, 안전 기술 등 배터리 선도기업으로서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SDI가 선보일 전고체 배터리는 독자 조성의 고체 전해질 소재와 리튬 음극재로 수명을 개선한 무음극 기술이 특징이다. 삼성SDI는 국내 유일한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의 완공을 앞두고 있다. 파일럿 라인을 통해 올해 하반기 시제품 샘플 제작을 시작으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ESS 존은 최고의 안전성을 위한 직분사 시스템과 수랭식 냉각시스템을 탑재한 신규 ESS 모듈과 랙을 공개한다. 아이티(IT) 존과 파워(Power) 존을 통해 스마트폰·웨어러블 기기와 인공지능(AI) 로봇, 전동공구 등 다양한 제품들을 살펴볼 수 있다. xEV 존에서는 BMW '뉴 i7', 볼보트럭 'FM 일렉트릭'이 나란히 전시돼 관람객 눈길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BMW '뉴 i7'은 BMW 최초의 순수전기 플래그십 세단으로 삼성SDI의 P5 배터리가 탑재된다. P5 배터리는 니켈 함량 88% 이상의 하이니켈 양극재에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더해져 고에너지 밀도를 구현했다. BMW의 뉴 i7 외에도 iX, i4 등 최신 전기자동차에 탑재된다. 볼보트럭 'FM 일렉트릭'은 한국에서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첫 대형 전기트럭이다. 해당 차량에는 삼성SDI의 21700 원통형 배터리 2만8000여개가 탑재된다. 니켈 함량 91%의 하이니켈 양극재가 적용됐으며 상용 트럭 탑재를 위해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를 구현했다. 다양한 고객 참여 이벤트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해당 트럭에 직접 탑승해 볼 수 있는 체험 기회도 주어진다. 손미카엘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삼성SDI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삼성SDI의 차별화된 기술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3-03-14 11:02:09
-
-
-
-
-
실적 발표 앞둔 SK온, LG엔솔·삼성SDI와 달리 웃지 못하는 '이유'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배터리 3사(社) 중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가 나란히 연간 최고 실적을 거둔 가운데 오는 7일 실적 발표를 앞둔 SK온 성적표에 이목이 쏠린다. 지난해 배터리 업계가 수주 호황을 맞았으나 기업별 분위기는 다른 모습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해 영업이익 '1조 클럽'에 가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2년 매출 25조5986억원, 영업이익 1조2137억원을 달성했다. 전년(2021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43.4%, 57.9% 늘어 사상 처음으로 영업이익 1조원을 넘겼다. 4분기(10~12월) 매출은 8조5375억원, 영업이익은 237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2021년) 같은 기간보다 92.3%, 영업이익은 213.6% 대폭 증가했다. 미국 완성차 업체 GM과 합작법인(JV) 1기 가동 본격화, 전력망 에너지저장장치(ESS) 판매 확대 등 글로벌 시장을 집중 공략해 매출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삼성SDI도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냈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48.5% 늘어난 20조1241억원, 영업이익은 69.4% 급증한 1조8080억원을 기록했다. 연매출이 2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5조9659억원, 영업이익은 49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3%, 84.7% 증가한 수치다. 수요 둔화 우려에도 중대형 전지 판매가 증가하면서 실적이 개선됐다는 관측이다. 이에 반해 SK온은 3사 중 유일하게 흑자 전환에 실패할 것으로 보인다. 유안타 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연간 매출액 전망치는 7조6473억원, 영업적자 9226억원으로 집계됐다. SK온은 지난해 1~3분기(1~9월) 동안 각각 2734억원, 3266억원, 1346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해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실적 악화 요인으로는 먼저 수익성 둔화가 꼽힌다. 올해 1분기(1~3월) 예정이던 미국 조지아 2공장 가동이 앞당겨지면서 감가상각비 등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또한 SK온과 자동차 업체 포드가 설립 예정이던 튀르키예 배터리 합작 공장이 무산될 가능성도 악화 요인으로 꼽힌다. SK온은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당장의 수익보다는 외형 확장에 힘쓰고 있지만 고금리와 고물가 등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자금이 부족한 상태에서 LG에너지솔루션에 지급해야 할 합의금 1조원도 남아 있어 재무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감가상각비 등으로 영업이익에 타격을 받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업계는 해외 공장 수율이 개선되고 신규 공장 가동률이 상승하면 점차 이익률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2023-02-01 17:01:1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