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8 목요일
맑음
서울 25˚C
맑음
부산 24˚C
흐림
대구 25˚C
맑음
인천 25˚C
흐림
광주 26˚C
흐림
대전 25˚C
흐림
울산 25˚C
흐림
강릉 24˚C
맑음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사랑나눔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이젠 카카오T로 편하게" 대전 교통약자 이동 서비스, 민간 앱과 만났다
[이코노믹데일리] 대전광역시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인 '사랑나눔콜'을 26일부터 민간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 T' 앱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전담하는 '국민 체감형 민간 혁신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이 같은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교통 약자들이 익숙한 민간 앱을 통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동 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추진됐으며 대전시, 대전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코나투스, 카카오모빌리티 등이 협력했다. 대전광역시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플랫폼 구축 및 연계 후 지난 3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운영하며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기능을 보완하는 등 서비스 안정화를 추진해왔다. 이 사업에서 대전시는 서비스 운영과 정책 지원을,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앱을 통한 사용자 환경 제공을, 모빌리티 솔루션 전문기업 코나투스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플랫폼 구축 및 지자체 시스템 연계를 포함한 기술 통합을 담당했다. 이를 통해 대전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 이용자들은 익숙한 카카오 T 앱으로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에 구축된 시스템은 지방자치단체가 서비스를 도입할 때 빠르고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구조로 설계됐다. 클라우드 기반의 이 구조는 기능 추가 시 기존 시스템 변경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개선이 가능해 다른 지자체로의 확산도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시는 이번 서비스 외에도 교통약자의 실질적 이동권 보장을 위해 특별교통수단을 2026년까지 131대로 늘리고 차량·차고지 확충 등 인프라 개선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이승현 디플정위 인공지능·플랫폼혁신국장은 "이 서비스는 공공부문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시스템과 민간 모빌리티 플랫폼을 연계한 첫 번째 사례"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간 혁신 프로젝트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이번 서비스는 중앙정부, 지자체, 기업 등 민·관이 함께 협력하여 디지털 공공 혁신을 추진했다는데 더욱 의미가 크다"며 대전시의 지속적인 관리·운영을 당부했다. 이장우 대전광역시장 역시 "앞으로도 교통약자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5-25 12:52:1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아이폰17, 플러스 대신 5.5mm 초슬림 '에어' 나온다
2
AI '데이터 고속도로' 4배 넓힌다...국가 백본망 2030년까지 4배 증설
3
국민성장펀드 100조, 산업 대전환 시험대 올라
4
위메이드, 'P의 거짓' 핵심 개발진 '스튜디오라사'에 100억 투자…콘솔 IP 강화
5
식음료업계에 부는 '저저익선' 트렌드…MZ세대 '충성고객' 됐다
6
넥슨 '아이콘매치', '리버풀의 심장' 제라드 합류… 선예매 10분 만에 매진
7
DL이앤씨, 마곡 사옥 이전에도 '구조조정설' 또 불거져… 연이은 악재에 '뒤숭숭'
8
라이엇게임즈, T1 롤드컵 우승 스킨 9월 11일 출시…'페이커' 요네·사일러스 공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