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20 목요일
맑음
서울 7˚C
맑음
부산 10˚C
흐림
대구 12˚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흐림
울산 8˚C
맑음
강릉 7˚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베트남 사업'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동화약품, 해외 사업 강화…구형모 전무 베트남 사업 이끈다
[이코노믹데일리] 동화약품은 베트남 대표사무소장으로 구형모 전무를 선임했다고 20일 밝혔다. 구 전무는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삼성물산과 홈플러스 창립 멤버로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삼성테스코·롯데쇼핑을 거쳐 2002년 CJ올리브영에 합류했다. 초기 조직 구축을 주도하고 중국 상하이 법인을 설립해 총경리로 현지 영업을 총괄하는 등 글로벌 사업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CJ올리브영의 확장을 이끌어 2017년 1000호점 달성에 기여했으며 이후 호텔신라 TR부문·홍콩 Sun Art Retail Group 합작사 대표이사, LiNK Shanghai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구 전무는 동화약품이 2023년 인수한 중선파마를 비롯한 베트남 사업 전반을 총괄할 예정이며 중선파마는 현재 241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구형모 전무는 “우리나라 기업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동화약품에 합류하게 돼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동화약품 베트남 사업의 성공을 이끌어 동화약품의 해외 진출에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2025-11-20 17:02:02
스마일게이트 '스토브', 베트남 국영기업과 파트너십…'유일 합법 플랫폼'으로 현지 공략
[이코노믹데일리] 스마일게이트가 자사의 게임 플랫폼 '스토브(STOVE)'로 베트남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현지 국영미디어 그룹 계열사와 손잡고 베트남 정부의 강력한 규제 속에서 '유일한 합법 오픈 게임 플랫폼'이라는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스마일게이트는 18일 베트남 국영미디어 그룹 VTC의 계열사인 VTC Online(VTCO)과 '스토브'의 베트남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성장 잠재력이 높지만 정부 규제가 까다로운 베트남 시장의 특수성을 정면으로 돌파하는 해법으로 평가된다. 현재 베트남 정부는 스팀과 같은 글로벌 ESD(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 서비스를 제한하고 있어 현지 법률을 준수하는 공식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높은 상황이다. 스마일게이트는 VTCO와의 오랜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이 기회를 잡았다. VTCO는 베트남에서 '국민 게임'으로 불리는 스마일게이트의 '크로스파이어'를 장기간 성공적으로 서비스해 온 파트너다. 국영 기업으로서 현지 규제 대응 능력이 탁월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양사는 스마일게이트의 플랫폼 기술력과 VTCO의 현지 사업 역량을 결합해 '스토브 베트남'을 공동 구축한다. 스마일게이트가 기술과 운영을 제공하고 VTCO가 심의·관리 등 현지 사업을 총괄하는 방식이다. 2026년 2분기 베타 론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토브 베트남'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베트남 시장에 진출하려는 전 세계 게임사들의 관문 역할을 하게 되어 스마일게이트의 플랫폼 영향력은 막강해질 전망이다. 백영훈 스마일게이트 홀딩스 메가포트 부문 대표는 "스마일게이트의 플랫폼 역량과 VTCO의 현지 네트워크·규제 전문성을 결합해 개발사·퍼블리셔에게 안정적인 서비스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며 "스토브는 앞으로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게임 플랫폼이 되기 위해 적극 시장을 개척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11-18 18:01:35
박창훈 사장, 취임 해에 해외 법인 실적 개선...베트남 사업 성장 '주목'
[이코노믹데일리] 박창훈 신한카드 사장 취임 이후 신한카드의 해외법인 실적이 카자흐스탄·베트남 법인 호조에 힘입어 2배 이상 성장했다. 카드업계는 신사업 창출을 위해 해외 시장을 공략 중으로 KB국민카드·롯데카드 등 카드사도 순익이 개선됐다. 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박창훈 신한카드 사장이 취임한 올해 신한카드의 해외법인 순익이 대폭 상승했다. 신한카드는 △유한회사신한파이낸스(카자흐스탄) △신한인도파이낸스(인도) △신한마이크로파이낸스(미얀마) △신한베트남파이낸스(베트남) 등 총 4개의 해외법인을 운영한다. 올해 상반기 해외법인 당기순이익 합계는 130억6200만원으로 문동권 신한카드 전 대표가 이끌던 전년 동기(64억4100만원) 대비 102.79% 증가했다. 세부 법인별로는 베트남·카자흐스탄 법인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신한카드의 베트남 법인은 지난해 상반기 2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올해 상반기 39억원의 순익을 올리며 흑자 전환했다. 주 사업은 △오토론 △내구재·오토바이 △신용카드사업 등으로 올해 베트남 내수경기가 회복돼 성장에 탄력을 받으면서 적자 탈출에 성공했다. 최근에는 모바일 비대면 대출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디지털 전환도 추진 중이다. 같은 기간 카자흐스탄 법인의 당기순이익은 76억1500만원으로 전년 동기(48억9700만원)보다 55.5% 증가했다. 해당 법인은 지난해 현지 중고자 판매 딜러사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고 제휴처를 확대를 통해 신차 취급액이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인도·미얀마 법인은 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카드 인도 법인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8억5900만원으로 전년 동기(37억8300만원) 대비 24.43% 감소했다. 미얀마 법인은 지난해 상반기 2억원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지난 3월 발생한 지진 및 불안정한 현지 상황의 영향으로 올해 13억1400만원의 적자를 봤다. 지난해 적자를 유지하던 KB국민카드도 올해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KB국민카드의 올해 상반기 해외법인 당기순손익 합계는 40억3500만원으로 전년 동기 –17억3800만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이번 흑자는 태국 법인 'KB J 캐피탈'의 실적 급증이 주 원인으로 지난해 상반기 26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올해 150억원까지 순익이 대폭 늘었다. 같은 기간 카자흐스탄 법인의 실적도 76억1500만원으로 약 4배 증가했다. 다만 인도네시아법인의 경우 실적이 악화해 15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 외 롯데카드 베트남 법인의 순익이 120억원 적자에서 33억원 흑자로 전환했으며 우리카드의 인도네시아 법인의 실적이 소폭 성장하는 등 타 카드사의 해외법인도 성장세를 보였다. 현재 카드업계는 수수료 수익 감소·대출 규제 등 국내 사업에서 하방 압력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수익원 다양화가 주요 과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카드사의 신규 수익원 전략 하나인 해외법인 사업도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건전성과 리스크 관리 및 핵심 사업의 내실 강화를 통해 올해 안정적인 성과를 거뒀다"며 "하반기에도 글로벌내부통제 관리를 개선하고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9-04 06:15: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미등기 임원이 꿀꺽…이마트, 114억원 규모 배임·횡령 발생
2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3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4
[데스크 칼럼] 김택진의 반성문, 그리고 '아이온2'라는 마지막 희망
5
[로컬FOCUS] 인천 원도시 정비사업 속도 낸다
6
클라우드플레어 대규모 장애…X·챗GPT·LoL 등 전 세계 서비스 '먹통'
7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 낸드도 쌓는다...HBM이어 HBF도 주목
8
부산 진해신항 DL이앤씨 공사 현장서 작업자 사망 호스 파열 충격에 해상 추락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금융경제 레드플래그] 금융위의 '모험자본' 독려, 규제 샌드박스부터 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