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26 금요일
흐림
서울 22˚C
흐림
부산 24˚C
흐림
대구 24˚C
흐림
인천 23˚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0˚C
흐림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백민경'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中 가전 '모바' 한국 상륙… 신형 로봇청소기로 프리미엄 시장 출사표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이 중국 브랜드들의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 시장의 강자로 자리 잡은 경쟁자들이 있는 가운데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모바(MOVA)’가 20일 공식 출사표를 던지며 도전장을 내밀었다. 모바는 기술력과 파격적인 사후서비스(A/S)를 앞세워 까다로운 한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모바는 20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열고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이 자리에서 모바 관계자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에 대해 “한국은 트렌드에 민감하고 기준이 높은 소비자층이 많아 단순히 시장 확대를 넘어 제품과 브랜드의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주요한 무대로 여겨진다”고 강조했다. 이날 공개된 플래그십 로봇청소기 ‘Z60 울트라 롤러’는 모바의 자신감이 담긴 제품이다. 25.6cm의 넓은 롤러형 물걸레와 2만 8000Pa의 강력한 흡입력을 갖췄다. 특히 업계 최초로 적용된 ‘오토실드’ 기술은 카펫을 만나면 물걸레를 들어 올리는 것을 넘어 차단판으로 덮어버려 젖은 걸레가 카펫을 오염시키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한다. 후발주자로서의 경쟁 전략에 대해 브랜든 리 아태지역 마케팅 총괄은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한국에는 이미 다양한 로봇청소기 브랜드가 진출해 있지만 모바만의 하이테크 기술로 한국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확신이 있어 진출을 결정했다”며 “후발주자로 시장에 진입했지만 인공지능(AI) 중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자사 로봇청소기가 한국에서도 충분히 선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모바는 ‘프리미엄’ 전략과 ‘신뢰’ 구축에 방점을 찍었다. 백민경 모바 한국 마케팅 매니저는 “‘공간에 예술이 스며든다’라는 브랜드 메시지를 기반으로 프리미엄 가전을 지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파격적인 3년 무상 보증 정책에 대해 “신뢰가 제품 안정성에 비롯된다는 걸 알고 있기에 3년간 무상 제품 보증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브랜드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보안 문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이상엽 모바 한국 산업개발 리더는 “데이터 이중 보호 시스템, 무선 네트워크 보호 강화, 카메라 이중 잠금 등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했다”며 독일 시험인증기관 TUV SUD 인증을 받았음을 강조했다. 한편 모바의 한국 진출은 국내 생활가전 시장에서 중국 기업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을 예고한다. 이미 시장에 안착한 선두 주자들과의 경쟁은 물론 샤오미, TCL 등 다른 중국 브랜드들도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국내 시장은 중국 가전의 최대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모바는 로봇청소기를 시작으로 향후 에어프라이어, 헤어드라이어 등 생활가전 전반으로 제품군을 확대할 계획이다.
2025-08-20 17:25:09
과기정통부, APEC 과학기술 총회 인천서 개막…AI·바이오·기후위기 협력 논의
[이코노믹데일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 협력을 논의하는 국제회의를 주최한다. 11일부터 사흘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제26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과학기술혁신정책파트너십(PPSTI) 총회다. APEC 회원대표와 민간, 학계,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번 총회는 '인적자원 기반, 오픈이노베이션과 신흥기술을 활용한 포용적 발전 선도'를 주제로 열린다. 참석자들은 △과학기술 인재 교류 확대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연구개발 협력 △신흥기술의 사회·경제적 효용 제고 등 3대 중점 과제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간다. 행사 첫날인 11일에는 한국이 주도하는 APEC 과학자 인재 교류와 신흥기술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협력 방안이 다뤄졌다. 12일에는 '기후위험 저감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기반의 과학기술혁신 협력 강화'를 주제로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마지막 날인 13일에는 대표단이 포스코 글로벌 R&D 센터를 방문하고 우수 연구자 시상식을 진행한다. 특히 APEC 역내 40세 이하 우수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아스파이어상' 시상식이 주목된다. 올해 수상의 영예는 '인공지능(AI)-바이오 융합' 연구 성과를 인정받은 서울대학교 백민경 교수에게 돌아갔다. 황성훈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은 축사에서 "APEC 역내 소통과 융합이 과학기술혁신 번영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며 "AI, 바이오 기술과 같은 신흥 기술을 통해 글로벌 도전과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2025-08-11 09:37:4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I 시대 맞손…엔비디아·인텔, 데이터센터·PC 공동개발 나선다
2
업비트 '기와' vs 위메이드 '스테이블 원'…'원화 스테이블코인' 패권, 승자는
3
네이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자회사로 편입…주식교환 추진
4
카카오, AI·SNS 입은 '새 카카오톡' 공개…23일 이프카카오 개막
5
건설사, 사망사고 속출에 뒤늦은 CSO 격상…정부 대책은 여전히 '추진 단계'
6
중국 대신 한국? 美 국방수권법안 통과에 국내 바이오 기업 주목
7
수흐벌드 몽골대사 "한국은 제3의 이웃…핵심광물 협력 새 장 열어"
8
TGS 2025, 韓 게임사들 역대급 라인업으로 일본 열도 공략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롯데카드, 누구도 만족 못한 해명·보상...안전 수준은 여전히 불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