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3 월요일
맑음
서울 1˚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5˚C
맑음
인천 3˚C
맑음
광주 4˚C
맑음
대전 2˚C
맑음
울산 3˚C
흐림
강릉 6˚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배터리 수명'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전기자동차에 가장 적합한 배터리 형태는 '이것'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카(CAR)멜레온 코너는 다양한 몸의 색깔을 띠는 카멜레온처럼 차(車)와 관련해 독자들이 궁금해 할 만한 다양한 소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전기차(EV)에 들어가는 배터리는 각형, 파우치형, 원통형 등 각기 다른 형태의 배터리가 탑재돼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각형 배터리는 690GWh(기가와트시)로 가장 많이 사용됐으며 파우치형은 117.6GWh, 원통형은 91.7GWh의 사용량을 보이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지난 2020년 70.8GWh에서 지난 2021년 176.9GWh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지난 2022년 354.3GWh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후 세 종류의 배터리 중 가장 급격한 성장 속도를 나타내며 전기차에 가장 많이 탑재되고 있다. 각형 배터리가 전기차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배터리 수명이 가장 길고 외부 충격에 강하기 때문이다. 각형 배터리는 단단한 알루미늄 캔에 배터리의 내용물을 담고 뚜껑을 덮어 레이저로 용접한 뒤 밀봉한다. 또한 각형 배터리는 열전도도가 좋아 열 방출이 우수하다. 배터리 충전, 방전 시 열이 발생하는데 열을 제대로 배출하지 않으면 배터리 내부에 열이 축적돼 배터리 수명 단축이나 내부 손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각형 배터리는 우수한 열 방출 성능으로 보다 안전한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각형 배터리는 에너지밀도가 높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로써 삼성SDI 등에서는 각형 배터리를 다양한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아우디, 현대차·기아, 폭스바겐 등 글로벌 기업들은 삼성SDI의 각형 배터리를 일부 모델에 탑재하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안전성에 중점을 둔 자사의 각형 배터리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각형 고용량 배터리에 알루미늄 캔 타입을 적용해 안전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03 07: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4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5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6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7
대형카드사 신한·삼성카드 3분기 실적도 하락...수익성 악화에 전업 카드사도 '먹구름' 전망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