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19 일요일
흐림
서울 12˚C
흐림
부산 18˚C
흐림
대구 17˚C
흐림
인천 13˚C
흐림
광주 15˚C
흐림
대전 14˚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14˚C
흐림
제주 2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민생회복쿠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수출 훈풍에 소비자심리지수 7년 반 만에 최고치
[이코노믹데일리] 이재명 정부의 재정 확대로 소비 개선과 수출 호조세가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소비자심리지수가 7년 반 만에 최고 수준을 보였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8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1.4로 전월(111.0)대비 0.6p 올랐다. 이는 지난 2018년 1월(111.6) 이후 최고치다. 이번 소비자동향조사는 이달 11일부터 19일까지 전국 도시 25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고 2278가구가 응답했다. 해당 지수가 장기평균치(2003~2023년)인 100선을 넘으면 소비심리가 낙관적지수는 100을 밑돌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10월 101.8까지 올랐지만 이후 11월 소폭 내려갔다가, 12월(88.2)에는 계엄과 탄핵 정국에 12.5p나 떨어진 바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현재경기판단CSI는 93은 전월보다 7p 올랐다. 소비 개선 및 수출 호조세 지속 등이 영향을 미쳤으나, 트럼프 관세 부과에 향후경기전망CSI는 100으로 전월보다 6p 하락했다. 현재경기판단CSI는 장기 평균(72)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좋게 보는 의견이 많았고, 추경과 소비 쿠폰 등의 영향도 반영됐다는 게 한은 측 설명이다. 향후경기전망CSI도 관세 불확실성 반영에도 불구하고 장기 평균(85)보다 높았다. 향후 1년 기대인플레이션율(2.6%)은 석유류 가격의 하락 전환 등으로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소폭 낮아졌지만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폭 확대 등으로 0.1%p 올랐다. 3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5%로 전월보다 0.1%p 상승했고, 5년 후에는 2.5%로 전월과 동일했다.
2025-08-26 08:35:1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먹튀' 해외 게임사 막는다…해외 게임사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화
2
넥슨 떠난 '블루 아카이브' PD, 결국 검찰로…'표절 논란'이 '기술 유출'로
3
[2025국감] 과방위 국감 13일 시작…'역대급' 과방위 국감, '해킹·갑질' 정조준
4
PF 만기 13조원… 건설업계, '11월 분기점' 앞두고 신뢰 시험대
5
[2025국감] 현대건설, 국감서 '3대 의혹' 정조준… 관저 안전관리·파인그라스·가덕도 신공항까지
6
[2025국감] 이재명 정부 '3차 부동산 대책' 조만간 발표…"세금은 최후의 수단, 규제 지역 확대·공급 속도전 병행"
7
"AI 반도체용 유리기판 시대"… SKC·삼성·LG, 상용화 경쟁 본격화
8
SK텔레콤, AI 사내회사(CIC) 출범 앞두고 희망퇴직 시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네이버-두나무 빅딜, '간절함'이 빚어낸 ICT 지형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