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7 일요일
흐림
서울 28˚C
흐림
부산 32˚C
흐림
대구 28˚C
흐림
인천 27˚C
흐림
광주 27˚C
흐림
대전 28˚C
비
울산 28˚C
흐림
강릉 28˚C
흐림
제주 3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무인공장'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KAIST, '피지컬 AI' 국책사업 수주…전북에 글로벌 혁신 거점 구축
[이코노믹데일리] KAIST가 차세대 제조 혁신의 핵심으로 꼽히는 ‘피지컬 AI’ 대형 국책사업을 이끈다. KAIS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피지컬 AI 핵심기술 실증’ 시범사업을 수주해 연구 총괄을 맡는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KAIST가 연구 기획을 주도하고 전라북도, 전북대학교, 성균관대학교가 참여해 향후 5년간 진행된다. 사업 목표는 전라북도를 협업지능 피지컬 AI 기술의 글로벌 허브로 구축하는 것이다. 피지컬 AI는 인공지능이 시공간 개념을 이해해 로봇, 자율주행차 등 물리적 장치가 사람의 지시 없이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최신 AI 기술이다. 특히 여러 로봇과 장비가 서로 협력해 목표를 달성하는 ‘협업지능 피지컬 AI’는 반도체·2차전지·자동차 분야의 무인공장, 이른바 ‘다크 팩토리’ 구현의 핵심 기반으로 주목받는다. 이 기술은 방대한 과거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학습해 변화가 잦은 제조 환경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KAIST는 이미 지난 4월 세계 최대 산업공학 학회(INFORMS)에서 협업지능 피지컬 AI 사례연구로 MIT와 아마존을 제치고 우승하며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의 KAIST 총괄책임자는 2016년부터 관련 연구를 선도해 온 장영재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가 맡는다. 장영재 교수는 “이번 대형 국책사업 수주는 지난 10여 년간 축적해 온 KAIST의 협업지능 피지컬 AI 연구 역량이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결과”라며 “대한민국 제조 산업이 글로벌 선도형 ‘피지컬 AI 제조혁신 모델’을 구축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학문적 연구를 넘어 국가 전략기술의 실질적 산업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이번 성과를 계기로 전북대학교, 전라북도와 협력하여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피지컬 AI 혁신 거점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25-08-28 17:37:5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슈카월드가 쏘아올린 '빵값 논쟁'…가격 형성 핵심 요인은
4
KT·LGU+ '김수키 해킹' 의혹 증폭…정부 "정밀 분석 중" 뒤늦게 밝혀
5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6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7
[K-제약, 뷰티 트렌드①] '먹는 화장품 시대'...제약업계, 신성장 동력으로 이너뷰티 선택
8
인천공항사고로 드러난 공기업산재 실태… 이학재사장 책임론 확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