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6 월요일
비
서울 18˚C
흐림
부산 22˚C
흐림
대구 21˚C
비
인천 19˚C
흐림
광주 25˚C
비
대전 19˚C
흐림
울산 22˚C
비
강릉 16˚C
구름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두산비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HD한국조선해양, 두산비나 인수…사업 집중화 나선다
[이코노믹데일리] HD한국조선해양이 두산에너빌리티의 베트남 현지법인 두산비나 매각 계약을 체결하며 기자재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할 전망이다. 21일 HD한국조선해양에 따르면 회사는 두산에너빌리티의 두산비나 주식 전량을 인수했으며, 총 거래 금액은 2900억원 규모다. 앞서 베트남 꽝응아이성 중꾸엇 산업공단에 위치한 두산비나는 지난 2006년 설립돼 화력 발전 보일러, 항만 크레인, 액화천연가스(LNG) 플랜트 모듈 등을 생산했다. 현재 두산에너빌리티가 추진하는 대형원전, 소형모듈원전(SMR), 가스터빈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대한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금융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분석 에이전트 스탁이지의 '두산에너빌리티: 최근 이슈 분석 및 성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체코 원전 수주 지연은 아쉬운 수준이긴 하지만 향후 유럽 및 기타 지역 원전 수출 수혜를 지속적으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오는 2027년까지 1조3000억원을 투자해 가스터빈 생산 설비 증설 계획을 통해 증가하는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ASTI 마켓인사이트의 '친환경 LNG선박기자재' 리포트에 따르면 친환경 LNG선박 기자재의 시장은 친환경 선박의 성장과 비례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난 2019년 기준 27억3700만 CGT규모에서 지난 2023년 31억4600만 CGT 규모로 연평균 3.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에 두산에너빌리티는 주력 사업이 바뀌기도 했으며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기자재 중심의 성장 사업 확대를 위한 적시 투자 목적으로 이번 매각을 진행한 것이다. 이 외에도 앞으로 베트남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해 현지 에너지 안보 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매각과는 상관 없이 본사 차원에서 베트남 사업은 지속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 오몬4 가스복합발전 건설공사를 신규 수주했다. 오몬4 가스복합발전소는 베트남 호치민에서 남서쪽 180㎞ 떨어진 곳에 있으며 총 발전용량 1155MW 규모로 오는 2028년 준공 예정이다. 이를 통해 베트남 남부 지방의 전력 안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이번 딜은 양사의 이해관계가 충족한 가운데 정부의 협조와 지원이 뒷받침돼 이뤄질 수 있었다"며 "친환경 기자재 생산 능력이 확충된 만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선박 라인업을 확대해 수익성을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8-21 17:04:1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2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3
추석 연휴에도 해외 주식 '24시간 거래'…국내 증시 5일간 휴장
4
SK그룹-오픈AI, '메모리·AI 데이터센터' 초대형 합작…'K-AI' 동맹 결성
5
[단독] ETRI,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징계 급증...방승찬 원장 취임 후 17건
6
[편집국장 칼럼] '국빈 일정' 사전 노출이 남긴 것
7
네이버, '증권플러스비상장'에 60억 투자…'네·나무 빅딜'의 마지막 퍼즐 맞추기
8
"헛걸음 하지 마세요"…추석 연휴 백화점·대형마트 휴무일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국감에 설 예정인 건설사 CEO들, 책임 공방을 넘어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