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8 화요일
맑음
서울 1˚C
구름
부산 3˚C
맑음
대구 4˚C
흐림
인천 5˚C
흐림
광주 3˚C
흐림
대전 1˚C
맑음
울산 2˚C
맑음
강릉 1˚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두바이 에어쇼'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KAI, 두바이 에어쇼서 KF-21 전면 배치…중동 시장 공략 속도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항공우주기업 KAI(한국항공우주산업)이 중동 최대 항공·방산 전시회인 '두바이 에어쇼 2025'에 참가해 차세대 국산 전투기 KF-21을 비롯한 주력 기종을 공개하고 중동·아프리카 시장 공략에 나선다. KAI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개최되는 두바이 에어쇼에 참가한다고 18일 밝혔다. 17일(현지시간)부터 5일간 열리는 두바이 에어쇼는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최대 규모의 항공·방산 행사로 지난 전시에는 1500여개 기업과 15만명 이상 참관객이 참석한 바 있다. KAI는 이번 행사에서 차세대 전투기 KF-21을 집중 홍보하고 FA-50·수리온·LAH 등 주력 항공기와 초소형 SAR(합성개구레이다) 위성 등 주요 제품군을 전시한다. 특히 UAE는 KAI와 협력 확대 가능성이 높은 전략 시장으로 꼽힌다. KAI에 따르면 UAE 공군은 올해 4월 KAI 본사를 방문해 생산라인을 둘러봤으며 알사흐란 알누아이미 UAE 공군전투센터 사령관이 직접 KF-21에 탑승하며 관심을 보여왔다. 차재병 KAI 대표이사는 "동남아·남미·유럽 등에서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운용되면서 글로벌 시장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수출 확대와 미래 방위산업의 협력 파트너 관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1-18 16:54:53
에이치쓰리알, 고출력 전력추진 시스템으로 글로벌 시장 정조준
[이코노믹데일리] 차세대 항공·국방 파워트레인 전문기업 ㈜에이치쓰리알(H3R)이 자체 개발한 고출력 전력추진 시스템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에이치쓰리알은 국제 인증과 수출 실적을 바탕으로 미래 항공 모빌리티 분야의 핵심 기술 국산화와 수출 확대를 이끌고 있다. 에이치쓰리알은 질화갈륨(GaN) 및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반의 고출력 인버터, 항공용 모터, 전자속도제어기(ESC) 기술을 통해 드론, 도심항공교통(eVTOL), 자폭형 기체 등에 적용 가능한 전력변환 시스템을 개발했다. 주요 제품 라인업은 △2kg 미만 자폭드론용 전력모듈 △분산추진기체용 고정밀 ESC △미연방항공청(FAA) 인증 대응형 전기수직이착륙기(eCTOL) 추진 시스템 등 전술형부터 상용형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특히 오는 11월 열리는 '두바이 에어쇼 2025'에서는 35kW급 질화갈륨(GaN) 기반 국방용 ESC를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에이치쓰리알은 이미 북미와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7건 이상의 수출 계약 및 기술 납품을 완료했으며, 10건 이상의 관련 특허를 등록했다. 또한 파리 에어쇼, CES, 싱가포르 에어쇼 등 주요 국제 전시회에 꾸준히 참가하며 해외 기업들과의 기밀유지협약(NDA) 및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에이치쓰리알은 국산 전력계통의 자립화와 공급망 독립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기체와 전력계통을 통합한 수출형 모델을 개발해 민항기와 군용체계 시장 모두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포트폴리오를 구축 중이다. 현재 항공 및 모빌리티용 인버터의 해외 수출화 과제도 병행 추진 중이다. 송채윤 에이치쓰리알 대표는 “에이치쓰리알이 설계한 전력계통이 미래 항공기와 무인체계의 심장으로 작동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며 “고출력·고신뢰 전력전자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항공·국방 산업의 핵심 추진시스템 국산화와 글로벌 수출화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이어 “차세대 항공·국방 모빌리티의 심장을 설계하는 기업으로서, 국내외 협력 및 투자 확대를 통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파워트레인 기술 리더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8-04 16:36: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신영증권, 시스템 장애...투자자 피해 속출
2
[지다혜의 금은보화] 결제·대출 넘어 생활 속 금융으로…농협은행, '임베디드 금융' 확장 속도
3
[로컬FOCUS] 인천 원도시 정비사업 속도 낸다
4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 낸드도 쌓는다...HBM이어 HBF도 주목
5
부산 진해신항 DL이앤씨 공사 현장서 작업자 사망 호스 파열 충격에 해상 추락
6
현대·DB·메리츠 등 손보사, 3분기 실적 줄줄이 하락...업계 손익 늘어도 본업 '빨간불'
7
이커머스 시장 "사라지고·합치고·독자 생존까지"
8
T1 '구마유시' 이민형, 7년 만에 계약 종료…월즈 MVP 직후 FA 선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김택진의 반성문, 그리고 '아이온2'라는 마지막 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