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7 일요일
안개
서울 25˚C
흐림
부산 27˚C
비
대구 28˚C
흐림
인천 25˚C
흐림
광주 26˚C
비
대전 25˚C
맑음
울산 25˚C
흐림
강릉 25˚C
맑음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기업내 고령화 심화...신입 많은 기업, "드라마 속 풍경일뿐"
[이코노믹데일리] "드라마 '미생'에 나오는 사무실 분위기가 아니었어요. 부장 아래 차장, 그 아래 젊은 직원들이 몇 명 씩 있는 부서들이 있고, 이사나 상무는 '가뭄에 콩 나듯' 만날 수 있는 회사가 아니더라고요." 경기 안성 소재 에너지 기업 A사의 관리팀에 지난 7월 1일부터 인턴직원으로 출근하게 된 김모 씨(26)는 처음 출근 당시 애초 기대와는 많이 달랐던 사무실 분위기에 "솔직히 좀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미생'처럼 입사 동기들끼리 서로 경쟁도 하고 '사수'라고 해 봤자 몇 년 터울 위 선배였을, 젊은 열정들이 '뿜뿜' 하는 회사 사무실을 꿈꾸며 문을 열었으나 사무실 안에 본인 또래 20대 사원은 단 한 명뿐이었다. 그는 "직원 한 명 빼고는 전부 차장 이상이어서 출근한 뒤 한동안은 매일 긴장의 연속이었다"며 "회사 생활이나 고충에 대해 가볍게 이야기 나눌 사람이 없다는 점도 힘들었다"고 말했다. 알고 보니 해당 회사 관리팀은 총 10명으로 50대 이사 1명, 40·50대 부장 4명, 40대 차장 1명, 30대 과장 2명으로 '40대 이상'이 10명 중 6명이고 20대는 고작 2명이었다. 충남 천안에 위치한 부동산 기업 B사의 유일한 20대 신입사원 유모 씨(24‧여)는 "항상 평가받는 입장이라는 느낌을 받는다"고 했다. 해당 회사의 연령별 비중은 20대 사원 비중이 10%, 40·50대는 50%다. 유씨는 "차장급인 직속 상사들 연령대가 나보다 훨씬 많다 보니 같은 동료라기보다 나를 평가하는 교수님 같은 느낌이 더 많이 들었다"며 "뭔가 질문하고 싶을 때에도 능력 부족한 신입이 들어왔다고 생각할까봐 못한 적이 많았다"고 연령 차이가 많은 직속 상사를 대하는 고충을 토로했다. 이는 최근 취업한 새내기 사원 개개인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통계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20대 비중이 50대 이상보다 낮아지는 '세대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지난 5일 발표한 500대 기업 대상 연령별 인력 구성 분석 결과 2024년 기준 이들 기업의 30세 미만 인력 비중이 5분의1도 안 되는 19.8%로 집계됐다. 조사는 공시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기반으로 2022년부터 연령별 인력 구성이 비교 가능한 매출 기준 500대 기업 가운데 124개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결과 30대 미만 직원 비중은 전년보다 1.2%p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50세 이상 비중은 19.5%에서 20.1%로 증가했다. 두 연령대의 비중이 역전된 건 리더스인덱스가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5년 이후 처음이다. 최근 3년간 30세 미만 직원은 △2022년 23만5923명(21.9%) △2023년 23만888명(21.0%) △2024년 22만1369명(19.8%)으로 계속해서 줄어들었다. 반면 50세 이상 직원은 △2022년 20만6040명(19.1%) △2023년 21만4098명(19.5%) △2024년 22만4438명(20.1%)으로 소폭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듯이 인구구조가 변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통계'에 따르면 이번에 발표된 리더스인덱스 조사 기간과 같은 2022~2024년 동안 30세 미만 인구는 △2022년 673만4021명(13.03%) △2023년 654만8381명(12.66%) △2024년 637만2432명(12.31%)으로 매년 감소했다. 반면 50대는 같은 기간 △2022년 860만3509명(16.65%) △2023년 859만6363명(16.62%) △2024년 870만5899명(16.82%)으로 전체적인 증가세 속에 특히 지난해 10만9536명 증가했다. 특히 중위연령은 2022~2024년 동안 △2022년 44.9세 △2023년 45.5세 △2024년 46.1세로 매년 증가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저출산 고령화 시대 이러한 현상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50대 이상 사원이 20·30대 사원보다 많아지는 회사가 증가하면 기업의 창의성과 혁신성이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젊은 피'를 수혈해야 하는데 청년 인구수가 줄어들고 정규직 고용을 안 하니 노동시장 환경에서 이러한 인구 구조 역전 현상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활발한 기업 활동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향후 기업들은 수평적인 기업 문화를 지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러한 인구 구조 등 기업 내외 환경에 맞춰 변화를 시도하는 기업도 나타나고 있다. 서울의 한 관리회사에 최근 입사한 조모 씨(28)는 환갑을 바라보는 50대 상사에게도 "ㅇㅇ님 ~~~할까요?"라고 말을 건넨다. 이 회사는 서로를 닉네임으로 칭하는 기업 문화를 장려하고 있다. 조씨는 자신이 입사한 회사에 대해 "유연한 업무 분위기가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완두콩처럼 귀여워서 '완두콩', 발랄하게 인사하는 사람이 되고 싶어서 '올라' 등 닉네임을 지었다고 한다. 왜 그런 닉네임을 짓게 됐는지 물어보는 과정에서 대화 주제가 만들어지고 계속해서 친밀감이 쌓이게 됐다"고 조씨는 덧붙였다. 일명 '다나까' 등 '회사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대신 친밀한 언어로 대화함으로써 회사 생활과 관련한 고민을 말하는 것도 쉬워졌다고 한다. 서 교수는 "결국 중요한 건 '상사들의 변화'"라고 말했다. 그는 "40·50대도 디지털 기술 등 신입들에게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만 기업이 발전할 수 있다"며 "서로 서로 배우고 가르치는 기업 문화가 형성돼야 인구구조 변화에 맞는 기업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06 11:23:33
김정은이 선택한 '이 차'…럭셔리에 오프로드 주행을 더해 한국 상륙했다
[이코노믹데일리] 서울 성동구 전시공간 '앤더슨 씨'에 현대 미술 작품을 연상시키는 '험지를 지나는 자동차' 한대가 설치됐다. 렉서스코리아가 17일 공개한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디 올 뉴 LX 700h'다. 디 올 뉴 LX 700h는 대형 SUV 시장에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가장 큰 이점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차량이 돌이 울퉁불퉁한 험지 위에 설치된 이유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디 올 뉴 LX 700h는 북한 김정은이 지난해 홍수 사태때 탑승한 사진이 찍히며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공개적으로 인정받았다. 당시 차량 절반 수준이 잠기는 상황임에도 디 올 뉴 LX는 무리없이 주행했다. 렉서스가 강조하는 '어디든 갈 수 있고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는 전동화 모델'를 눈으로 보여준 순간이었다.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가능하게 한 여러가지 요소 중 하나는 '보디 온 프레임'이다. 디 올 뉴 LX 700h는 전통적으로 보디 온 프레임 구조를 적용해 여유로운 실내 공간과 뛰어난 오프로드 성능이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됐다. 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도 새롭게 개발했다. 3.5L V6 트윈 터보 엔진과 10단 자동 변속기 사이에 클러치가 포함된 모터 제너레이터(MG)를 배치해 엔진과 모터의 강력한 출력과 토크를 효과적으로 노면에 전달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개량된 'GA-F 플랫폼'을 적용해 저중심화, 경량화, 차체 강성 향상 등 차량의 기본 성능을 한층 강화했다. 보조배터리 위치도 주행 성능에 최적화해 설치했다. 12V 보조 배터리를 차량 후방으로 이동시켜 배터리 교체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차체 강성을 더욱 강화해 오프로드 주행 성능과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최적의 균형을 이뤘다. 오프로드만 신경쓴 건 아니다. 회장님 차의 대명사로 불리는 렉서스 답게 고급스런 인테리어와 기능들로 소비자를 사로잡는다. 실제 이날 전시장에 설치된 4인승 'VIP 그레이드'의 2열 우측 좌석에 탑승하니 무중력 의자에 앉은 듯한 느낌을 받았다. 이러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로는 가장 먼저 세미아닐린 가죽을 사용해 오프로드 주행 및 장거리 이동시에도 탑승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뒷좌석 우측에는 오토만 기능이 적용돼 리클라이닝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전해지는 압력 없이 사람의 몸이 자유로워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설계했다. 회장님을 위한 뒷좌석으로 손색없었다. 1열 시트에 앉을 승객의 편의성도 놓치지 않았다. 신장 차이에 관계없이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는 헤드레스트 디자인과 마사지 기능이 포함된 리프레시 시트 옵션을 탑재했다. 회장님만을 위한 VIP 그레이드가 있다면 5인승 오버트레일, 7인승 럭셔리 그레이드도 마련해 소비자 선택 폭도 넓혔다. 이날 공개된 디 올 뉴 LX 700h는 국내 소비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대형 SUV라는 모델 사이즈에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더해 시장을 사로잡을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자료를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 2월 신차 등록 대수 자료를 보면 지난달 대형 차량은 1만6270대 등록되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강대환 렉서스코리아 부사장은 "렉서스 최초의 SUV인 LX는 오랜 기간 전 세계 고객들에게 사랑받아온 모델로, 견고한 오프로드 성능과 럭셔리한 주행 경험을 원하는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켜 왔다"며 "장인정신이 깃든 신뢰성과 내구성 그리고 온로드는 물론 강력한 오프로드 주행 성능까지 갖춘 '디 올 뉴 LX 700h'의 진정한 가치를 직접 경험해 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03-17 12:51:0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DL·대우·현대건설 줄줄이 사망사고… 정부, 입찰금지·과징금 정조준
4
슈카월드가 쏘아올린 '빵값 논쟁'…가격 형성 핵심 요인은
5
KT·LGU+ '김수키 해킹' 의혹 증폭…정부 "정밀 분석 중" 뒤늦게 밝혀
6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7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8
[K-제약, 뷰티 트렌드①] '먹는 화장품 시대'...제약업계, 신성장 동력으로 이너뷰티 선택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