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건
-
긴 연휴, 영유아 응급질환 주의보…'사소한 사고도 대비 필요'
[이코노믹데일리] 연휴가 길어질수록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선 응급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경우 작은 사고도 큰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배우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아응급실 교수에 따르면 연휴 기간 영유아가 소아 응급실을 찾는 사유는 △발열 △복통 △구토 △기침 △호흡곤란 순이고 손상으로는 낙상, 운수사고, 부딪힘, 중독이나 화상 순으로 빈번하다. 특히 발열은 영유아 응급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직장 체온 38℃ 이상이면 발열로 보며 3개월 미만 영아의 발열, 4~5일 이상 지속되는 발열, 의식 저하·축 처짐을 동반한 경우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열성 경련이 15~30분 이상 이어질 경우에도 위험할 수 있어 지체 없는 진료가 필요하다. 발열의 대표적인 원인은 바이러스 또는 세균 감염이고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종양이다. 발열을 동반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폐렴, 모세기관지염, 위장염, 수족구병, 구내염, 뇌수막염, 요로감염 등의 질환에 주의가 필요하다. 발열 외에도 호흡곤란, 입술·얼굴이 파래지는 청색증, 자다가 깰 정도의 복통이나 심한 두통·흉통, 반복 구토, 경련 발작 등도 응급실 방문이 권고되는 증상이다. 또한 영유아는 적은 양의 수분 부족만으로도 쉽게 탈수가 발생하므로 구토·설사로 수분 섭취가 어렵다면 주의 깊은 관찰과 치료가 필요하다. 연휴 동안 음식이나 작은 물건으로 인한 이물질 사고도 잦다. 전문가들은 음식을 잘게 썰어 천천히 먹이고 뛰거나 웃으며 먹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만약 기도가 막히면 영아(1세 미만)는 등을 두드리고 흉부 압박을 반복하고 1세 이상은 하임리히법(복부 밀어올리기)을 시행한다. 외상이나 골절, 머리 손상이 의심될 경우에는 아이를 움직이지 말고 곧바로 119에 신고해야 한다. 응급실 방문 후에도 아이의 상태를 꾸준히 관찰하고 의사 지시에 따라 약 복용 시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 변화를 기록해두면 추후 진료에도 도움이 된다. 아이가 평소와 달리 처지거나 의식이 흐려지고 경련·호흡곤란·복통·혈변 등이 발생하면 지체 없이 재진료를 받아야 한다. 배 교수는 “영유아는 성인보다 회복력이 약해 작은 증상도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며 “추석 연휴 동안 부모의 세심한 관찰과 빠른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5-10-07 09:00:00
-
성묘·벌초 시즌, 가을철 '쯔쯔가무시병' 주의보...뇌수막염 합병증 발생⭡
[이코노믹데일리] 추석을 앞두고 성묘·벌초 등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가을철 풍토병인 쯔쯔가무시병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쯔쯔가무시병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국내에서는 주로 9~11월 사이 환자가 집중된다. 최근 3년간 환자의 74.3%가 이 시기에 발생했는데 이는 평균기온이 20도 이하로 떨어지는 9월부터 털진드기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감염은 주로 풀이나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가 사람의 피부를 물면서 이뤄진다. 특히 농작업, 벌초, 성묘 과정에서 풀밭에 장시간 머물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쯔쯔가무시병은 6일에서 18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발진,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피부에 딱지가 생기는 ‘가피’가 대표적인 특징이다. 가피는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허리, 복부 주름 등 피부가 얇고 접히는 부위에 잘 발생하며 이는 쯔쯔가무시병 진단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치료가 늦어지면 기관지염, 폐렴, 심근염, 수막염 등 합병증으로 악화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신부전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고령층은 치명률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까지 쯔쯔가무시병의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진드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최선이다. 성묘와 벌초 시에는 긴팔과 긴 바지를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하고 기피제를 뿌리는 것을 권장된다. 또한 풀밭 위에 직접 앉거나 눕지 말고 작업 후에는 반드시 샤워와 세탁으로 몸과 의류에 붙은 유충을 제거해야 한다. 시혜진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병은 추석을 전후한 가을철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며 "조기 진단이 늦어지면 뇌수막염이나 신부전 같은 합병증으로 악화될 수 있고 고령층에서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야외활동 후 갑작스러운 고열이나 심한 감기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절대 가볍게 넘기지 말고 반드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2025-10-03 0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