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17 수요일
흐림
서울 21˚C
흐림
부산 27˚C
비
대구 27˚C
흐림
인천 22˚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7˚C
비
강릉 20˚C
흐림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노브랜드 버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노브랜드 버거' 힘주는 신세계푸드, 수익성·점유율 두 토끼 잡을까
[이코노믹데일리] 신세계푸드가 버거 브랜드 ‘노브랜드 버거’를 통해 수익성·점유율 동시 사냥에 나선다. 창업 비용을 낮춘 신규 가맹 모델과 신메뉴로 성장을 꾀해 업계 키플레이어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 신세계푸드는 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노브랜드 버거의 성장 전략과 신규 가맹 모델 ‘콤팩트 매장’을 발표했다. 콤팩트 매장은 49.6㎡(약 15평)의 소형 매장으로 기존 대비 60% 수준인 1억원 초반대의 비용으로 창업이 가능하다. 기존 스탠다드 모델은 82.5㎡(약 25평) 규모로 점포 개설 비용으로 약 1억8000만원의 비용이 필요했다. 콤팩트 매장은 주방 공간 효율화와 고객 동선 개선 등 매장 운영에 필요한 요소만 남기고 불필요한 요소는 덜어냈다. 공사 기간을 4주에서 3주로 단축했고, 생산 설비는 동일하게 적용해 버거 생산량은 유지하면서도 조리 동선을 최소화했다. 신세계푸드는 가맹비도 기존 대비 대폭 낮춰 예비 창업 경영주의 부담을 더 낮춘다는 계획이다. 현재 노브랜드 버거 점포 수는 국내 약 250개로 집계됐다. 강승협 신세계푸드 대표는 “신규 가맹 모델은 가맹점주분들의 창업 부담을 덜어주고 노브랜드 버거 사업이 성장하는 데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신규 가맹 모델을 통한 사업 확장으로 오는 2030년까지 버거 업계 톱3에 진입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신세계푸드는 노브랜드 버거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신메뉴 출시와 재료 품질 개선을 통해 버거 경쟁력도 높여나간다는 방침이다. 가성비 신메뉴 라인으로 신제품 ‘NBB어메이징 더블’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업계 더블 패티 버거 대비 패티 중량을 30% 더 무겁게 해 고기 맛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메뉴들도 버거 핵심 재료들을 개선해 버거 본질인 맛과 품질을 높이는 작업을 마쳤다. 이같은 전략으로 신세계푸드가 올해 수익성 개선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신세계푸드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53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늘었지만, 영업이익 208억원으로 21.4% 감소했다. 신세계푸드의 영업이익은 2020년 77억원에서 2021년 293억원으로 뛴 동안 200억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높은 매출 대비 낮은 영업이익이 과제로 남아 수익성 확대에 전력을 다 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지난해 본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각 사업을 수익성 및 효율성 중심으로 운영했다”며 “올해도 각 사업의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실있는 경영을 통해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08 14:27:16
신세계푸드, 노브랜드 버거·사이드 가격 평균 2.3% 인상
[이코노믹데일리] 신세계푸드가 다음 달 1일부터 노브랜드 버거의 버거와 사이드 메뉴 판매가격을 평균 2.3% 상향 조정한다. 28일 신세계푸드에 따르면 버거 단품 및 세트 19종은 200원, 사이드 단품 19종은 100원 각각 상향된다. 노브랜드 버거의 가성비 대표 상품인 그릴드 불고기와 갈릭앤갈릭은 단품 3000원대와 세트 5000원대에 이용이 가능하다. 음료 메뉴 12종은 가격을 동결해 고객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노브랜드 버거 운영에 소요되는 각종 직·간접 비용 상승이 지속적으로 누적됨에 따라 가격 조정을 진행하게 됐다”며 “신메뉴 개발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 만족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28 16:54:2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삼성중공업, 산업재해 보고의무 2회 이상 위반…대기업 중 유일
2
엔비디아, AI 추론용 GPU에 GDDR7 탑재…삼성 반격 기회 열리나
3
'레전드 축제' 2025 아이콘매치 오늘 개막…벵거·베니테스 지략 대결 '관심 집중'
4
[단독]삼성전자, 헤드셋·스피커 출시 '초읽기'...오디오 명가 거듭난다
5
새 판 짜는 유통업계, 핵심은 '생존'
6
KT, '가짜 기지국'에 뚫려 신뢰 추락…김영섭 대표, '리더십·연임' 최대 위기
7
'아이콘매치 2025 ' 첫날, FC스피어 '이벤트 매치' 승리…내일 본경기 '설욕전' 예고
8
KT·LGU+, '해킹 침해 없다'더니…협력업체는 KISA에 '해킹 신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가짜 기지국'의 공포, 통신사를 넘어 국가 인증 시스템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