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0 월요일
맑음
서울 6˚C
맑음
부산 15˚C
구름
대구 14˚C
맑음
인천 7˚C
흐림
광주 11˚C
흐림
대전 15˚C
흐림
울산 15˚C
비
강릉 12˚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고분양가청약'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청약통장 이탈 가속화…고분양가·가점 장벽에 청년층 '포기 선언'
[이코노믹데일리] 내 집 마련의 지름길로 불렸던 청약통장이 고분양가와 가점 장벽에 막혀 인기를 잃고 있다. 일부 단지에서는 수만 명이 몰리며 ‘로또 청약’ 열기가 여전하지만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청약통장 해지 움직임은 갈수록 확산되는 모양새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636만630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대비 11만8922명이 줄어든 수치다. 2022년 7월 말 2858만1171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3년간 무려 221만4870명이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요인은 분양가 급등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2022년 말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 가격지수는 147.2였으나 올해 7월 말 기준 224.2로 52.3% 상승했다. 수도권 역시 같은 기간 156.7에서 212.7로 35.7% 올랐다. 실제로 지난 8월 서울 송파구 ‘잠실 르엘’은 1순위 청약에서 110가구 모집에 6만9476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631.6대 1을 기록했다. 특별공급에서도 106가구에 3만6695명이 접수해 346.2대 1을 기록했다. 하지만 전용 74㎡ 최고 분양가가 18억7430만원에 달해 청년층에겐 그림의 떡이라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가점제 구조와 금융 규제도 문제로 지목한다.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 연구소장은 “가점제는 부양가족 수가 핵심이라 1~2인 가구인 청년층에게 불리하다”며 “청년층을 위한 추첨 물량 확대와 금리 성과급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09-02 09:49:2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먹튀' 해외 게임사 막는다…해외 게임사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화
2
넥슨 떠난 '블루 아카이브' PD, 결국 검찰로…'표절 논란'이 '기술 유출'로
3
PF 만기 13조원… 건설업계, '11월 분기점' 앞두고 신뢰 시험대
4
[2025국감] 이재명 정부 '3차 부동산 대책' 조만간 발표…"세금은 최후의 수단, 규제 지역 확대·공급 속도전 병행"
5
"AI 반도체용 유리기판 시대"… SKC·삼성·LG, 상용화 경쟁 본격화
6
SK텔레콤, AI 사내회사(CIC) 출범 앞두고 희망퇴직 시행
7
최태원·노소영 이혼 8년만에 대법 '파기환송'…1.3조 재산분할금 다시 따져야
8
애플, 게섯거라…삼성 '갤럭시 XR' 출격…구글·네이버 동맹으로 맞선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네이버-두나무 빅딜, '간절함'이 빚어낸 ICT 지형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