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09 금요일
비
서울 15˚C
비
부산 15˚C
비
대구 14˚C
비
인천 15˚C
비
광주 16˚C
비
대전 14˚C
비
울산 14˚C
비
강릉 13˚C
비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고객지원'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빗썸, SKT 유심 유출 안내 후 계정 차단 해제 공지… 혼란 수습 나서
[이코노믹데일리] 빗썸이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유출 관련 보안 강화 안내 후 혼란이 일자 계정 차단 해제를 안내하며 수습에 나섰다. 빗썸은 23일 알림톡을 통해 계정 차단 해제 안내글을 발송했다. 빗썸은 "오늘 발송된 SKT 유심 정보 유출 관련 보안 강화 안내 알림톡은 고객 계정 유출과는 관련 없는 단순 유의 안내였다"며 "실수로 계정 차단 신청을 하신 고객들은 해제를 신청할 수 있다"고 다시 안내했다. 계정 차단 해제 신청은 모바일 앱과 PC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모바일에서는 하단 메뉴 더보기, 고객센터, 증빙센터, 기타증빙 순서로 이동해 정보 입력과 신분증 사본을 제출하면 된다. PC에서는 상단 고객지원, 증빙센터, 기타증빙 메뉴에서 같은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빗썸은 "신분증을 제출해 주면 심사 후 계정 차단 해제를 진행하겠다"며 "이번 알림톡은 고객 자산 보호를 위한 안내이며 계정 잠금은 선택 사항으로 안전한 거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빗썸은 22일 홈페이지 공지와 고객 대상 문자 발송을 통해 SKT 유심 정보 유출 정황을 알렸다. 당시 빗썸은 "SKT를 이용하는 일부 고객의 USIM 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발표된 가운데 본인 외 계정 접속 시도가 발생한 경우나 복제폰으로 인한 이상 징후 발견 시 빗썸 ‘거래소 내 계정 잠금 설정’을 진행해 출금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2025-04-24 08:06:44
LG유플러스, 국회 과방위와 AI 기술력 강화 방안 모색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와 손잡고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에 나섰다. LG유플러스는 15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 최민희 과방위원장 등 과방위 소속 위원 및 관계자 50여 명을 초청, 자체 개발 AI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는 LG AI연구원이 개발한 초거대언어모델(LLM) '엑사원(EXAONE)'과 이를 기반으로 LG유플러스가 상담·고객지원 업무에 특화해 개발한 소형언어모델(sLM) '익시젠(ixi-GEN)'이 소개됐다. 회사는 익시젠을 활용한 상담 자동화, 대화 요약, 고객 지원 챗봇 등 다양한 기능을 시연하며 병원과 콜센터 같은 여러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업 간 거래(B2B) 특화 AI컨택센터(AICC) 서비스를 집중 조명했다. LG유플러스의 AICC는 음성인식 및 텍스트분석(STT/TA) 기술로 자연어 이해도와 응답 정확성을 높였으며 AI 상담지원, 상담 내용 자동 요약·분류 등 고도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LG AI연구원은 기업용 챗봇 '챗 엑사원'의 실제 작동 모습을 시연하며 광범위한 전문 분야 지식을 학습한 LLM으로서의 역량을 부각했다. 특히 산업 현장의 생산성 및 업무 효율 극대화에 초점을 맞춰 경량화·최적화된 '엑사원 3.5' 모델은 최근 스탠포드대 인간 중심 AI 연구소(HAI)의 '2025 AI 인덱스' 보고서에서 주목할 만한 국내 AI 모델로 선정되기도 했다.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LG유플러스는 AI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집중하는 사람 중심의 AI를 통해 ‘밝은 세상’을 만들고자 신뢰하고 안심하고 쓸 수 있는 AI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AI가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2025-04-15 11: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KISA, SKT 해킹 관련 악성코드 8종 추가 발견… SKT '조사 중 사안'
2
배터리 패권 경쟁 속 韓中 동맹 시동… 에코프로비엠, CATL과 협력 추진
3
SKT 이어 CJ까지…CJ올리브네트웍스 인증서도 해킹…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4
이창용 한은 총재 "환율 하단 판단 일러…변동성 대응 중요"
5
정부 "韓 의약품, 美 안보에 위협 아냐…관세 불필요" 공식 의견 제출
6
첫 미국 출신 교황 탄생…레오 14세, 통합과 변화의 상징으로
7
삼성전자, 美 마시모 오디오 인수…하만 잇는 전장사업 '볼륨 업' 나선 이유는
8
SKT 해킹 추가 악성코드 8종 발견…합동 조사단, 유입 경로 추적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