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1 화요일
맑음
서울 14˚C
비
부산 18˚C
흐림
대구 18˚C
맑음
인천 13˚C
흐림
광주 15˚C
흐림
대전 14˚C
흐림
울산 17˚C
비
강릉 13˚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가상머신'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SK쉴더스, 해킹으로 내부 자료 유출…"허니팟 로그인 실수" KISA 신고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대표 보안기업 SK쉴더스가 해킹 조직에 의해 내부 문서 일부가 유출되는 사고를 당했다. 당초 “해커를 유인하기 위한 가짜 데이터”라고 해명했던 것과 달리 직원의 개인 이메일에 보관된 실제 업무 문서가 포함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뒤늦게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 사고를 신고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해킹을 넘어 국내 최고 수준의 보안 기업마저 기본적인 보안 원칙을 지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업계 전반의 신뢰성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이번 사건은 지난 17일 신생 해커 조직 ‘블랙 슈란탁’이 다크웹을 통해 “SK쉴더스의 고객 정보, 네트워크 자료 등 24GB 규모의 데이터를 해킹했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이들은 통신·금융·제조·공공기관 고객 정보, 내부 네트워크 구성도, API 키, 심지어 대형 통신사와 반도체사의 기술검증(PoC) 자료까지 포함돼 있다고 주장하며 샘플 파일을 공개했다. 이에 대해 SK쉴더스는 즉각 “해커를 유인하기 위한 가짜 시스템인 허니팟이 공격당한 것일 뿐 실제 내부 자료 피해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해커가 공개한 샘플 파일에서 다른 기업의 자료와 개인 증명사진 등 실제 데이터로 의심되는 정황이 발견되면서 SK쉴더스는 하루 만에 입장을 번복했다. 내부 조사 결과 허니팟을 구축하는 데 사용된 가상머신(VM) 브라우저에 특정 직원의 개인 이메일 계정(지메일)이 자동 로그인 상태로 남아있었고 해커가 이를 통해 메일함에 보관된 실제 업무 문서를 탈취한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결국 ‘가짜 덫’ 안에 있던 ‘진짜 통로’를 통해 자료가 유출되는 황당한 사고가 발생한 셈이다. SK쉴더스 관계자는 초기 대응 미비를 인정하며 “샘플 데이터를 다시 점검하던 중에 직원 개인 이메일에 있던 일부 업무 문서를 확인했다”며 “메일을 전수 조사하고 포렌식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SK쉴더스는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18일 오전 KISA에 침해 사고를 공식 신고했다. 이번 사고는 국내 보안 생태계 전반에 심각한 경고음을 울리고 있다. 보안 기업은 고객사의 시스템 구조, 네트워크 인프라, 인증정보 등 최고 수준의 민감 데이터를 다룬다. 보안 기업이 뚫릴 경우 그 피해는 해당 기업에만 머무르지 않고 고객사를 겨냥한 연쇄적인 2차, 3차 공급망 공격으로 확산될 수 있다. 특히 SK쉴더스가 SK그룹 계열사의 보안 관제까지 담당해 온 만큼 공격 범위가 그룹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마저 제기된다. 업계의 한 보안 전문가는 “SK쉴더스가 SK 그룹 계열사 관제 등을 제공해 온 만큼 공격 범위가 SK 그룹 전체로 확산될 위험도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한편 과거 2020년 미국의 소프트웨어 업체 ‘솔라윈즈(SolarWinds)’가 해킹당해 미 정부 기관을 포함한 전 세계 1만8000여 곳의 고객사가 피해를 본 공급망 공격의 악몽이 국내에서도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보안 회사가 가장 안전하다’는 믿음이 깨진 이번 사건은 단순히 SK쉴더스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내 전체 보안 생태계의 신뢰성을 시험하는 중대 국면으로 번지고 있다.
2025-10-19 12:57:27
"개인정보 유출 없다"던 KT의 말바꾸기…'가짜 기지국' 사태, 늑장대응 논란 확산
[이코노믹데일리] KT가 ‘유령 소액결제’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된 ‘가짜 기지국’을 통해 5561명의 개인정보(IMSI) 유출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공식 인정하고 대국민 사과에 나섰다. 불과 하루 전 “개인정보 해킹 정황은 없다”고 단언했던 입장을 뒤집은 것으로 늑장·은폐 대응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KT는 11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소액결제 피해 사고로 크나큰 불안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사과드리고자 무거운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국민과 고객 유관기관 여러분께 염려를 끼쳐 죄송하고 피해 고객에게 머리 숙여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KT는 자체 조사 결과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통해 일부 이용자의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구재형 KT 네트워크 기술본부장은 “불법 기지국 2개의 신호를 수신한 적이 있는 1만9000명을 확인했고 이 중 단말기에서 IMSI 신호를 보낸 이력이 있는 5561명을 특정했다”고 설명했다. IMSI는 유심(USIM)에 저장되는 고유 식별 번호로 개인정보에 해당한다. 구 본부장은 “IMSI 유출은 (KT) 서버에서 유출된 것이 아니고 단말기에서 불법 기지국으로 위치 등록을 위해 쏜 메시지가 통과되었기 때문에 유출 정황으로 보고 신고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유출 가능 고객 5561명에는 현재까지 집계된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278명(피해액 1억7000만원)이 포함된다. KT는 불법 기지국 신호 수신 이력이 있는 1만9000명 전원에게 무료 유심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를 지원할 방침이다. ◆ 늑장·은폐 대응 논란, 신뢰 ‘추락’ 하지만 KT의 뒤늦은 대응과 말 바꾸기에 대한 비판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황태선 KT 정보보안 실장은 “9월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분석 의뢰를 접수받았으나 당시에는 스미싱 가능성을 포함해 검토했다”며 초기 대응이 미흡했음을 시인했다. KT가 비정상 패턴을 인지하고 네트워크 차단 조치를 취한 것은 5일 새벽에서였다. 특히 최근 국회에서 제기된 ‘서버 폐기’ 의혹에 대해서도 일부 사실을 인정했다. 황 실장은 ‘프랙’ 보고서가 지목했던 원격상담시스템 서버와 관련해 “KISA로부터 해킹 정황 통보를 받고 이상 없음을 회신했다”며 “추가 요청이 없어 자체 서비스 전환 계획에 따라 VM(가상머신)이 삭제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금만 더 신경 썼다면 KISA에 보존 여부를 문의했을 텐데 그 부분에 있어 정보보호 책임자로서 깊이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서도 핵심적인 의문들은 명쾌하게 해소되지 않았다. 미등록된 불법 기지국이 어떻게 KT의 인증 절차를 뚫고 핵심망에 접속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구재형 본부장은 “기존에 망에 연동됐던 장비를 불법 취득해 개조했거나 일부를 떼서 옮겼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답했다. 또한 소액결제에 필요한 이름, 생년월일 등 추가 개인정보의 확보 경로에 대해서도 “불법 기지국에서 유출될 수 없는 정보”라며 “경찰 수사가 끝나야 확인될 것 같다”고 답해 또 다른 정보 유출 경로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김영걸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은 피해 고객에 대한 보상과 관련 “위약금 면제도 보상 계획에 포함해 전향적으로 고객 입장에서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개인정보위는 이날 KT의 신고를 접수하고 “구체적인 유출 경위와 피해 규모, 안전조치 의무 준수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라며 법 위반 확인 시 엄정 처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단순 소액결제 피해를 넘어 국가 기간 통신망의 보안 근간이 흔들린 중대 사건으로 번지며 통신업계 전반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되고 있다.
2025-09-11 17:30:2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넥슨 떠난 '블루 아카이브' PD, 결국 검찰로…'표절 논란'이 '기술 유출'로
2
[단독] 한화생명 vs 한화투증, 펀드 투명성 온도차
3
PF 만기 13조원… 건설업계, '11월 분기점' 앞두고 신뢰 시험대
4
"AI 반도체용 유리기판 시대"… SKC·삼성·LG, 상용화 경쟁 본격화
5
삼성물산·현대건설, 해외시장 '투톱' 굳히기…중동 대형 프로젝트로 존재감 강화
6
카카오 '운명의 날' D-1…김범수 창업자 SM 시세조종 혐의 21일 1심 선고
7
애플, 게섯거라…삼성 '갤럭시 XR' 출격…구글·네이버 동맹으로 맞선다
8
SK텔레콤, AI 사내회사(CIC) 출범 앞두고 희망퇴직 시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캄보디아로 간 청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