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
-
-
-
TMAP 데이터가 예측한 설, "연휴 전날인 24일부터 밀려요"
설 귀성·귀경길 교통정체 예측이 발표됐다. 귀성길은 연휴 전날인 24일 오후 5시경 교통 정체가 최고조에 달하고, 귀경길은 설 당일인 29일 교통 정체가 가장 심할 것으로 예측됐다. 티맵모빌리티와 SK텔레콤이 과거 티맵(TMAP) 명절 기간 이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울에서 광주, 부산, 대전, 강릉 등 주요 지역의 일별∙시간대별 이동 소요시간 예측치를 22일 발표했다. 귀성길 교통이 가장 혼잡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설 연휴 전날인 24일 오후로 분석됐다. 당일 오후 5시경 서울-부산 구간은 최대 6시간 51분, 서울-광주 구간은 5시간 18분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대전 구간도 오후 2시부터 혼잡이 시작돼 최대 4시간 37분이 소요될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서울-강릉 구간은 24일보다 26일에 더 혼잡할 것으로 나타났는데 당일 점심 시간대 최대 4시간 18분가량의 소요 시간이 예측됐다. 귀성길 교통정체는 24일 늦은 밤부터 풀려 25일 자정에 평상시 수준으로 돌아올 전망이다. 해당 시간대 서울-광주 구간은 3시간 29분, 서울-부산 구간은 4시간 35분, 서울-대전 구간은 2시간 10분, 서울-강릉 구간은 2시간 41분 등으로 전 구간이 한산할 것으로 나타났다. 연휴 시작일인 25일에는 점심쯤 귀성길 교통 혼잡이 다시 증가했다가 30일부터 평소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설 당일인 29일 점심쯤에는 역귀성 영향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해당 시간대 서울-부산 구간은 6시간 32분, 서울-광주 구간도 4시간 20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귀경길의 경우 설 당일인 29일 오전 7시부터 교통 혼잡도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정오를 기해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날 오후 12시 기준 부산-서울 구간은 최대 7시간 42분, 광주-서울 구간은 최대 5시간 29분이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서울 구간도 오후 1시경 3시간 42분 안팎이 예상되며 강릉-서울 구간은 정오 기준 5시간 20분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귀경길 교통 혼잡이 가장 덜한 날은 30일 이른 새벽(0시~2시)으로 확인됐다. 해당 시간대 부산-서울 구간은 4시간 31분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밖에 광주-서울 구간도 같은 시간대 3시간 32분가량, 대전-서울 구간은 2시간 10분가량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2025-01-22 10:34:48
-
-
-
쌍용건설, 3200억 규모 두바이 '이머시브 타워' 단독 시공
쌍용건설은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국제금융센터 지역에 '이머시브 타워'(IMMERSIVE TOWER) 고급 오피스 공사를 단독 시공으로 수주했다고 22일 밝혔다. 공사비는 약 3200억 원(2억 3000만 달러) 규모다. 지하 3층, 지상 36층, 연면적 11만 4474㎡의 최고급 오피스 타워 1개 동을 신축하는 공사로 세계적 친환경 건축물 기준 최고 등급인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플래티넘이 적용된다. 프로젝트 발주처인 DIFC(Dubai International Financial Centre)는 2004년 설립돼 빠르게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의 선두 금융 기관으로 자리 잡은 기업이다. 쌍용건설은 기존 두바이 최대 발주처인 두바이투자청(ICD), 와슬(WASL), 에마르(Emaar)에 이어 이번에 DIFC를 발주처로 확보하게 됐다. 쌍용건설이 JV로 2020년 지하 7층 지상 54층 규모로 완공한 최고급 오피스 타워인 ICD-Brookfield Place도 DIFC내에 자리 잡고 있다. 쌍용건설은 1997년 두바이 첫 진출 후 현재까지 총 15개 PJT, 약 4조 2000억 원 규모의 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두바이에서 그동안 쌍용건설이 보여준 최상위 수준의 공사 품질에 힘입어 발주처 확대, 수의계약, 최저가가 아님에도 수주를 하는 등의 성과를 달성해 내고 있다"며 "특히 두바이 아틀란티스 더 로얄 준공 이후 기술력과 명성을 발주처들이 높게 평가하고 있어 당사의 강점인 고급 건축 분야에서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25-01-22 09:54:52
-
-
자동차 누적등록 2629만8000대…인구 1.95명당 1대
우리나라에 등록된 자동차가 누적 260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95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한 셈이다. 2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동차 등록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동차 누적등록대수가 2629만8000대로, 전년 말 대비 1.3%(34만9000대) 증가했다. 2024년도 신규등록 차량대수는 총 164만6000대다. 친환경 자동차(전기, 수소, 하이브리드)는 66만3000대가 신규등록돼 전체 신규등록 건수의 40%를 차지했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144만대, 승합 2만6000대, 화물 17만3000대, 특수 7000대 등이다. 규모별로는 경형 10만대, 소형 15만5000대, 중형 97만2000대, 대형 41만9000대 등으로 나타났다. 연료별로는 휘발유 68만6000대, 경유 12만9000대, LPG 16만1000대, 하이브리드 51만2000대, 전기 14만7000대, 수소 4000대, 기타(트레일러 등) 7000대다. 지난해 말 기준 누적등록대수를 차종별로 보면 승용 2177만1000대, 승합 66만6000대, 화물 37만1700대, 특수 14만4000대 등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친환경 자동차는 274만6000대가 누적등록돼, 전년 대비 62만6000대 증가했다. 그 중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48만2000대 늘어나 가장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연기관 자동차는 2337만대가 누적등록돼, 전년 대비 27만7000대 감소했다. 특히 경유 자동차가 유일하게 39만9000대 감소해 내연기관 자동차의 감소세를 이끌고 있다.
2025-01-22 09:3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