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관IT온라인부
seon@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최수연 네이버 대표, 파리 AI 정상회의 참석…글로벌 AI 리더십 강화 나선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인공지능(AI) 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글로벌 AI 무대에서 네이버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이번 회의 참석을 통해 3년 연속 AI 정상회의에 참여하는 유일한 국내 기업으로서 책임 있는 AI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국제적 논의를 주도하고, 글로벌 IT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는 10일부터 이틀간 프랑스 파리 그랑 팔레에서 개최되는 AI 행동 정상회의는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대두되는 윤리적 문제, 안전성 확보,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 등 다양한 과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 회의에는 각국 정부 대표, 기업 CEO, 학계 전문가, 시민사회 관계자 등 1000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분야의 미래를 좌우할 주요 의제들이 심도 있게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회의에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J.D. 밴스 미국 부통령 등 국가 정상급 인사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 다리오 아모데이 앤스로픽 CEO, 아르튀르 멘슈 미스트랄 AI 공동창업자 등 글로벌 AI 기술 혁신을 이끄는 거물들이 대거 참석한다. 최수연 대표는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네이버가 보유한 AI 기술력과 비전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글로벌 AI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혁신과 문화, △일자리의 미래, △AI에 대한 신뢰 구축, △공익을 위한 AI 활용, △글로벌 AI 거버넌스 수립 등 5가지 주요 의제에 대한 논의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특히 네이버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와 AI 윤리 준수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AI 기술을 개발해 온 만큼 'AI에 대한 신뢰 구축' 및 '글로벌 AI 거버넌스 수립' 분야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네이버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고 공익에 기여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최수연 대표의 이번 AI 정상회의 참석은 네이버가 글로벌 AI 기술 경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네이버는 '서치GPT'를 비롯한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를 통해 국내 AI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 'HyperCLOVA X'를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이번 회의를 통해 네이버는 글로벌 AI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고 해외 유력 기업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AI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네이버는 이미 지난 두 차례의 AI 정상회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2023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첫 번째 회의에는 하정우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이 참석했으며 지난해 서울에서 개최된 2차 회의에는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직접 참석하여 네이버의 AI 기술 비전을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을 모색했다. 이처럼 네이버는 AI 정상회의에 꾸준히 참여하며 글로벌 AI 기술 논의를 주도하고 책임 있는 AI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2025-02-06 14:21:31
-
-
-
-
-
-
-
-
딥시크 사용 금지 확산… 카카오·LG유플러스·한수원·한전KPS 동참, 보안 우려 고조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가 AI 학습을 위해 과도한 정보를 수집한다는 의혹이 확산되면서 국내 기업과 기관들이 잇따라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에 나서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LG유플러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한전KPS 등이 딥시크 사용 금지 대열에 합류했다. 오픈AI와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한 카카오는 최근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사내에 공지했다. 이는 국내 대형 IT 기업 중 첫 번째 사례다. LG유플러스 역시 이날 딥시크 사용 금지에 대한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하며 사내망에서의 업무용 활용을 금지하고 개인 PC를 이용한 사용도 자제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중요하거나 민감한 정보는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공공기관 중에서는 원전 기술을 다루는 한수원과 한전KPS가 선제적으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한수원은 지난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 공문을 게시했으며 한전KPS는 원자력 담당 사업부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이러한 조치는 딥시크가 이용자의 기기 정보, IP 주소,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한다는 보안 우려에 따른 것이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 AI 센터장은 지난달 말 SNS를 통해 "딥시크가 사용 장비 정보는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 리듬, IP 정보, 장치 ID, 쿠키까지 모두 수집하며 이는 중국 내 보안 서버에 저장된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한전KPS 관계자는 “원전 사업장은 국가 1급 보안시설이기 때문에 주요 정보들이 중국에 서버를 둔 AI로 수집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현재 딥시크 사내 사용 금지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금지 공지나 권고는 내리지 않은 상태다. 삼성전자, SK,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사내 PC에서 허가되지 않은 외부 프로그램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 딥시크 사용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딥시크 등장 이전부터 생성형 AI 사용 및 활용에 대한 내부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었고 특히 중국산 AI 모델에 대한 불신이 커 기업에서 사용을 허락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경계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호주, 일본, 대만, 미국 텍사스주 등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이탈리아는 앱 마켓에서 딥시크를 전면 차단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토니 버크 호주 내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딥시크가) 용인할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하며 즉각적인 금지 조치는 호주 국가 안보와 국익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31일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 절차, 처리·보관 방법 등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했다.
2025-02-05 17:16:07
-
-
네이버 D2SF, '멀티모달 AI' 커머스 스타트업 '스튜디오랩'에 신규 투자…이커머스 혁신 가속화
네이버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D2SF(D2 Startup Factory)가 멀티모달 AI 기술을 활용해 이커머스 상세페이지 제작 솔루션을 개발한 스타트업 '스튜디오랩'에 신규 투자했다. 이번 '스튜디오랩'의 프리시리즈A 투자 유치 금액은 33억 원으로, SBI인베스트먼트가 주도했다. '스튜디오랩'(대표 강성훈)은 의류의 특징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추출하는 패션 특화 AI 모델을 자체 개발,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쇼핑몰 상세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솔루션 'GENCY'를 선보였다. 기존 솔루션들과 달리 'GENCY'는 단 몇 장의 제품 사진만 업로드하면 해당 제품에 최적화된 마케팅 문구, 썸네일 이미지, 레이아웃, 세부 디자인 등을 포함한 고품질의 상세페이지를 15~30초 만에 완성한다. 온라인 쇼핑에서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세페이지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스튜디오랩'은 A/B 테스트와 검색 최적화(SEO) 기능을 통해 구매 전환율을 높이는 상세페이지를 제작, 궁극적으로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스튜디오랩'은 LF, W컨셉, GS리테일, 신세계 등 30여 개에 달하는 국내 주요 패션 기업들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사업 확장을 진행 중이다. '스튜디오랩' 솔루션 도입 이후 쇼핑몰 사용자의 상품 페이지 유입 및 클릭 수가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일본,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도입 문의가 쇄도하고 있으며 향후 패션 분야를 넘어 주얼리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스튜디오랩'의 공동창업진은 삼성전자에서 패션 데이터 연구를 전담했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커머스 산업과 이에 특화된 AI 솔루션 개발에 대한 깊은 이해와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뛰어난 세일즈 및 기획 역량과 빠른 실행력을 바탕으로 견고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커머스 분야는 생성형 AI, 3D, 로보틱스 등 다양한 최신 기술들이 활발하게 적용되는 영역으로 스튜디오랩은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네이버와 협력하여 SME(중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등 다방면으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올해에도 AI, 커머스 등 분야를 막론하고 유망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 D2SF는 국내에서도 네이버와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 기술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이미 커머스 분야에서는 네이버 D2SF의 투자 스타트업들이 네이버 쇼핑과 높은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네이버 도착보장 서비스를 운영하는 물류 스타트업 '테크타카'와 커머스 솔루션 마켓에 입점하여 SME의 비즈니스 효율화를 지원하는 '유니드컴즈' 등이 있다.
2025-02-05 11: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