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다혜금융부
dahyeji@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
-
-
-
-
-
"환전하고 랜덤 경품 받자"…신한銀, 이종통화 복주머니 이벤트
신한은행은 다음 달 31일까지 신한 SOL뱅크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이종통화 다이렉트 환전 서비스를 이용해 환전하고 현찰 수령하는 모든 고객에게 여행 인기 아이템을 랜덤으로 경품 제공하는 '이종통화 복주머니'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종통화 다이렉트 환전 서비스'는 최근 인기 여행지로 떠오른 체코 코루나, 터키 리라 등 20개 통화를 편리하게 환전 신청하고 원하는 날짜에 수령하는 서비스다. 외화수령은 신청일 포함 3영업일 이후로 지정할 수 있으며 서울지역 영업점에서 수령 가능하다. 최소 환전금액은 미화(USD)기준 300 달러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색다른 여행지를 찾는 트렌드에 맞춰 편리하게 환전할 수 있는 방법 안내를 위해 이번 이벤트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금융 편의성을 높이고 고객 가치를 높이는 일에 정성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종통화 다이렉트 환전 서비스로 환전 가능한 20개 통화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노르웨이 크로네, 덴마크 크로네, 마카오 파타카, 멕시코 페소, 방글라데시 타카, 브라질 레알,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스웨덴 크로네, 이집트 파운드, 체코 코루나, 칠레 페소, 터키 리라, 바레인 다나르, 폴란드 폴리티, 카자흐스탄 튕게, 쿠웨이트 디나르, 케냐 실링, 헝가리 포린트다.
2025-02-10 12:53:34
-
-
-
[지다혜의 알쓸보카] 우울증 환자 100만 '훌쩍'…정신질환 보장 나선 보험사들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정신과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가 100만명 이상으로 늘어나면서 보험사들이 정신질환 확정 진단 시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을 내놓고 있다. 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한화손해보험은 업계 최초로 정신건강 관련 보험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배타적 사용권을 지난해 획득한 뒤 상품을 독점 판매하고 있다. 한화손보의 '한화 시그니처 여성건강보험 3.0'은 스트레스 관련 대표 질환인 식사(섭식)·수면·정신장애 진단비와 특정수면 검사지원비 등을 보장한다. 배타적 사용권은 생명보험협회나 손해보험협회의 신상품 심의위원회가 창의적인 보장이나 서비스를 개발한 회사에 일정 기간 독점적인 판매권을 제공하는 제도로 '보험업계 특허권'으로 불린다. 특히 가장 주목받는 특약은 '식사장애 입원 직접치료비(4일 이상·연간 1회 한도)'다. 정신건강질환 중 여성 환자 수 비율·치사율이 가장 높은 대표적인 질환인 '식욕부진'과 '폭식증'에 대해 입원치료비를 보장하는 것은 업계 처음이다. 증상이 심할 경우 입원치료가 필수적인 장애에 대한 보장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독창성과 유용성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배타적 사용권은 올해 4월 중순까지 유지된다. 디지털 보험사인 캐롯손해보험도 기존 직장인 생활건강보험 내에 정신질환을 보장해 주는 '마음케어모듈'을 탑재해 판매하고 있다. 마음케어모듈은 우울증, 조현증, 공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등의 정신질환 확정 진단을 받고 진단일로부터 1년 이내에 치료제를 90일 이상 처방 받은 경우 중증도에 따라 보험금을 차등 지급한다. 특약별 최초 1회 한도로 5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까지 보장한다. 롯데손해보험은 자사 보험 플랫폼 '앨리스(ALICE)'를 통해 산후우울증으로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엄마들을 위해 '마이 팸(MY FAM) 알파맘보험'을 판매 중이다. 산모에게 발생하기 쉬운 질병과 상해만 따로 보장하는 건 롯데손보가 최초다. 산후우울증뿐 아니라 손목과 무릎의 관절통과 인대장애인 'VDT증후군(누적외상성질환)'도 보장한다. 질환 종류에 따라 보험계약일로부터 수술 시점까지 기간이 1년 미만이라면 50만원, 1년 이상일 경우엔 100만원(수술 1회당)을 보험금으로 지급한다. 그간 정신질환은 만성적인 특성과 재발 우려로 보험 약관에서 면책 사항으로 여겨져 보장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상품 개발이 더딘 분위기였다. 하지만 최근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변화로 보험 필요성이 확대되고, 우울증 환자도 증가세를 보이면서 관련 보장 상품이 강화되고 있다. 실제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108만9919명으로, 2020년(87만1926명)보다 약 25% 증가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많은 이들이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만큼, 합리적인 보험료로 관련 질환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새로운 보장 영역을 발굴하려는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2025-02-08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