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싱턴=신화통신) 미국 연방정부의 일부 기능이 중단되는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10일(현지시간)로 열흘째에 접어든 가운데, 백악관이 연방정부 공무원 해고 절차에 돌입했다.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구체적인 해고 인원이나 부서를 밝히지 않았으며, 인력 감축이 시작됐다는 단 한 문장만 게시했다.
미 언론은 이번 해고가 대규모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국토안보부, 보건복지부, 재무부 등이 해고 대상 부처로 알려졌다.
미국연방정부고용인연맹(AFGE)은 보트 국장의 게시글을 공유하며 "이미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에버렛 켈리 AFGE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셧다운'을 구실로 전국 각지 지역사회에서 핵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천 명의 직원을 불법 해고했다며 수치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회가 책임을 다해 즉각 협상에 나서 '셧다운'을 끝내야 할 때라고 부연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백악관 관료들은 연방정부가 일단 '셧다운'되면 해고가 불가피하다고 여러 차례 밝히며 그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 지도부는 공화당이 이번 예산 갈등에서 연방 직원을 정치적 '협상 카드'로 삼고 있다며, 이를 협박과 위협의 수단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셧다운은 미 상원이 새 임시예산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면서 발생했다. 연방정부의 예산이 소진되자 지난 1일 0시(미 동부시간)부로 연방정부는 약 7년 만에 다시 셧다운에 들어갔다.
9일 기준 상원은 여전히 새 임시예산안을 통과시키지 못했으며, 민주당과 공화당이 각각 발의한 예산안이 모두 부결되면서 교착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