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요일
맑음 서울 16˚C
부산 16˚C
흐림 대구 17˚C
맑음 인천 15˚C
광주 13˚C
흐림 대전 15˚C
흐림 울산 15˚C
흐림 강릉 13˚C
제주 18˚C
신화통신

[경제동향] 신중국 수립 75년, 경제력과 함께 과학기술력∙국력 대폭 신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姜婷婷,潘洁,张栩(一读)
2024-10-02 16:44:45
지난 1월 31일 헤이룽장(黑龍江)성 자유무역시험구 헤이허(黑河)구역의 작업장에서 일에 몰두한 직원. (사진/신화통신)

(베이징=신화통신) 신중국 수립 75년 동안 중국의 경제력, 과학기술력, 종합 국력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얼마 전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1979~2023년 중국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8.9%로 같은 기간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인 3%를 훨씬 웃돌았다. 세계 경제 성장에 대한 중국의 연평균 기여율은 24.8%로 집계됐다.

신중국 수립 초기 중국은 경제 기반이 취약했다. 하지만 개혁개방을 거치면서 경제 총량이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지난 1952년 300억 달러에 불과했던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978년 1천495억 달러로 증가하며 세계 경제의 1.7%를 차지하게 됐다. 지난해 중국의 GDP는 17조8천억 달러로 세계 전체의 16.9%를 점하며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서 입지를 굳혔다.

경제 총량 확대와 더불어 중국의 과학기술 및 혁신 능력도 동반 상승했다.

1985년 8천558건이었던 중국의 발명 특허 출원 건수는 2011년 52만6천 건으로 급증하며 세계 1위로 부상했다. 또한 2022년 말 기준 중국의 발명 특허 출원 건수는 161만9천 건을 기록하며 세계 선두 자리를 지켰다.

대외무역과 관련해 1950년 중국의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은 11억 달러로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9%에 불과했지만 2013년 중국은 세계 최대 상품 무역국으로 성장했다. 지난해 중국의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은 5조9천억 달러를 기록하며 7년 연속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4%에 달했다.

서비스 무역도 크게 성장했다. 신중국 수립 초기 중국의 서비스 무역은 사실상 전무했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은 세계 4위 규모인 9천331억 달러의 서비스 무역 수출입 총액을 달성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카카오
한화
한국투자증권
우리은행
스마일게이트
신한투자증권
삼성전자
포스코
경주시
신한은행
하나금융그룹
kb금융그룹
DB손해보험
신한금융지주
SC제일은행
NH
교촌
KB국민은행
삼성증권
씨티
삼성화재
db
한화투자증권
NH투자증
하이닉스
롯데캐슬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